1 이은섭, "?‘굴다’ 구문의 유형과 통사 구조" 국어학회 (48) : 203-231, 2006
2 김건희, "형용사의 부사적 쓰임에 대하여 -‘-이’와 ‘-게’ 결합형을 중심으로-" 8 (8): 313-337, 2006
3 홍윤표, "한국어 전자 자료의 수집과 정리 및 활용 방안" 국립국어연구원 11 (11): 2001
4 권재일, "한국어 인용 구문의 변화" 서울: 태학사 45-78, 1999
5 서은아, "풀이씨 이름법 씨끝 ‘-ㅁ, -기’의 변화 양상" 한말연구학회 10 : 83-114, 2002
6 김건희, "일본어와 한국어의 사동법 대조 연구 -언어유형론적 특징을 중심으로-" 2000
7 정길남, "신소설의 격조사 연구" 한글학회 245 : 139-160, 1999
8 정길남, "수정증보판 개화기 교과서의 우리말 연구" 서울: 박이정 1999
9 이규호, "복합조사 ‘이라고’의 생성과 분화" 국어학회 (47) : 145-177, 2006
10 이성하, "문법화의 이해" 서울: 한국문화사 1998
1 이은섭, "?‘굴다’ 구문의 유형과 통사 구조" 국어학회 (48) : 203-231, 2006
2 김건희, "형용사의 부사적 쓰임에 대하여 -‘-이’와 ‘-게’ 결합형을 중심으로-" 8 (8): 313-337, 2006
3 홍윤표, "한국어 전자 자료의 수집과 정리 및 활용 방안" 국립국어연구원 11 (11): 2001
4 권재일, "한국어 인용 구문의 변화" 서울: 태학사 45-78, 1999
5 서은아, "풀이씨 이름법 씨끝 ‘-ㅁ, -기’의 변화 양상" 한말연구학회 10 : 83-114, 2002
6 김건희, "일본어와 한국어의 사동법 대조 연구 -언어유형론적 특징을 중심으로-" 2000
7 정길남, "신소설의 격조사 연구" 한글학회 245 : 139-160, 1999
8 정길남, "수정증보판 개화기 교과서의 우리말 연구" 서울: 박이정 1999
9 이규호, "복합조사 ‘이라고’의 생성과 분화" 국어학회 (47) : 145-177, 2006
10 이성하, "문법화의 이해" 서울: 한국문화사 1998
11 최동주, "국어 사동구문의 통시적 변화" 한국언어학회 27 : 303-327, 2000
12 김건희, "구어 조사의 특성 -문법 표준화를 위한 계량적 연구-" 한말연구학회 15 : 1-22, 2005
13 이현희, "개화기와 국어학" 한국어학회 29 : 89-106, 2005
14 신중진, "개화기 한글자료 말뭉치의 구축 방안"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9 : 261-283, 2003
15 홍종선, "개화기 시대 문장의 문체 연구" 국어국문학회 117 : 33-58, 1996
16 이현희, "개화기 국어 자료" 국립국어연구원 4 : 235-279, 1999
17 김형철, "개화기 국어 연구" 경남대학교 출판부 1997
18 민현식, "개화기 국어 문법" 국립국어연구원 4 : 163-234, 1999
19 심재기, "“개화기의 교과서 문체에 대하여" 1992181-194
20 민현식, "“개화기 국어사 자료에 대하여 ”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연구회 편 문학과 지성사" 690-708, 1993
21 홍종선, "“개화기 교과서의 문장과 종결어미 ” ?한국학연구?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94181-211
22 김형배, "‘-시키다’에 의한 합성적 사동법 연구" 한말연구학회 1 : 53-79, 1995
23 안주호, "‘-기’형 연결어미 ‘-기에, -길?, -기로’의 특성과 문법화 과정" 한국언어학회 24 : 187-212, 1999
24 "?‘한자어+시키다’에 대한 연구?" 1992
25 권재일, "20세기 초기 국어의 명사화 구문 연구" 한글학회 229 :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