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10-1930년대 활자본 고소설의 몇 가지 문법적 특징 연구 = Som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in the Hwalja-bon Gososeol of the 1910’s-193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54929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Gososeol of the 1910's-1930's in the hwalja-bon from the viewpoint of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korean linguistics and study its grammatical characteristics.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is as follows: First, there are some phrases which show the literal translation from Chinese to Korean. Second, The universal change of the grammar is appeared in the Gososeol of the 1910's-1930's in the hwalja-bon. The change of the grammar have application to the principle of contraction in the grammaticalization. for example, verb which has object is turned into verb which has adverbials or main verb is turned into ancillary verb. Third, there is a particular change as opposed to the universal change. The use of a particular morpheme is reduced and the use of other morpheme is increased, the extension of '-ge' is a striking feature in the sentence structure and caus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Gososeol of the 1910's-1930's in the hwalja-bon from the viewpoint of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korean linguistics and study its grammatical characteristics.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is as follow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Gososeol of the 1910's-1930's in the hwalja-bon from the viewpoint of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korean linguistics and study its grammatical characteristics.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is as follows: First, there are some phrases which show the literal translation from Chinese to Korean. Second, The universal change of the grammar is appeared in the Gososeol of the 1910's-1930's in the hwalja-bon. The change of the grammar have application to the principle of contraction in the grammaticalization. for example, verb which has object is turned into verb which has adverbials or main verb is turned into ancillary verb. Third, there is a particular change as opposed to the universal change. The use of a particular morpheme is reduced and the use of other morpheme is increased, the extension of '-ge' is a striking feature in the sentence structure and caus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은섭, "?‘굴다’ 구문의 유형과 통사 구조" 국어학회 (48) : 203-231, 2006

      2 김건희, "형용사의 부사적 쓰임에 대하여 -‘-이’와 ‘-게’ 결합형을 중심으로-" 8 (8): 313-337, 2006

      3 홍윤표, "한국어 전자 자료의 수집과 정리 및 활용 방안" 국립국어연구원 11 (11): 2001

      4 권재일, "한국어 인용 구문의 변화" 서울: 태학사 45-78, 1999

      5 서은아, "풀이씨 이름법 씨끝 ‘-ㅁ, -기’의 변화 양상" 한말연구학회 10 : 83-114, 2002

      6 김건희, "일본어와 한국어의 사동법 대조 연구 -언어유형론적 특징을 중심으로-" 2000

      7 정길남, "신소설의 격조사 연구" 한글학회 245 : 139-160, 1999

      8 정길남, "수정증보판 개화기 교과서의 우리말 연구" 서울: 박이정 1999

      9 이규호, "복합조사 ‘이라고’의 생성과 분화" 국어학회 (47) : 145-177, 2006

      10 이성하, "문법화의 이해" 서울: 한국문화사 1998

      1 이은섭, "?‘굴다’ 구문의 유형과 통사 구조" 국어학회 (48) : 203-231, 2006

      2 김건희, "형용사의 부사적 쓰임에 대하여 -‘-이’와 ‘-게’ 결합형을 중심으로-" 8 (8): 313-337, 2006

      3 홍윤표, "한국어 전자 자료의 수집과 정리 및 활용 방안" 국립국어연구원 11 (11): 2001

      4 권재일, "한국어 인용 구문의 변화" 서울: 태학사 45-78, 1999

      5 서은아, "풀이씨 이름법 씨끝 ‘-ㅁ, -기’의 변화 양상" 한말연구학회 10 : 83-114, 2002

      6 김건희, "일본어와 한국어의 사동법 대조 연구 -언어유형론적 특징을 중심으로-" 2000

      7 정길남, "신소설의 격조사 연구" 한글학회 245 : 139-160, 1999

      8 정길남, "수정증보판 개화기 교과서의 우리말 연구" 서울: 박이정 1999

      9 이규호, "복합조사 ‘이라고’의 생성과 분화" 국어학회 (47) : 145-177, 2006

      10 이성하, "문법화의 이해" 서울: 한국문화사 1998

      11 최동주, "국어 사동구문의 통시적 변화" 한국언어학회 27 : 303-327, 2000

      12 김건희, "구어 조사의 특성 -문법 표준화를 위한 계량적 연구-" 한말연구학회 15 : 1-22, 2005

      13 이현희, "개화기와 국어학" 한국어학회 29 : 89-106, 2005

      14 신중진, "개화기 한글자료 말뭉치의 구축 방안"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9 : 261-283, 2003

      15 홍종선, "개화기 시대 문장의 문체 연구" 국어국문학회 117 : 33-58, 1996

      16 이현희, "개화기 국어 자료" 국립국어연구원 4 : 235-279, 1999

      17 김형철, "개화기 국어 연구" 경남대학교 출판부 1997

      18 민현식, "개화기 국어 문법" 국립국어연구원 4 : 163-234, 1999

      19 심재기, "“개화기의 교과서 문체에 대하여" 1992181-194

      20 민현식, "“개화기 국어사 자료에 대하여 ”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연구회 편 문학과 지성사" 690-708, 1993

      21 홍종선, "“개화기 교과서의 문장과 종결어미 ” ?한국학연구?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94181-211

      22 김형배, "‘-시키다’에 의한 합성적 사동법 연구" 한말연구학회 1 : 53-79, 1995

      23 안주호, "‘-기’형 연결어미 ‘-기에, -길?, -기로’의 특성과 문법화 과정" 한국언어학회 24 : 187-212, 1999

      24 "?‘한자어+시키다’에 대한 연구?" 1992

      25 권재일, "20세기 초기 국어의 명사화 구문 연구" 한글학회 229 :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5 1.647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