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Cu₂ZnSn(SSe)₄ 흡수층의 실시간 온도 측정을 통한 급속 열처리 공정의 최적화 = Optimization of a Rapid Thermal Process by Measuring the Real-time Temperature of the Cu₂ZnSn(SSe)₄Absorption Lay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048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Via an in-situ monitoring tool of phase change during CZTSSe crystallization, we measured the temperature of the Cu₂ZnSn(SSe)₄ (CZTSSe) absorption layer during a selenization process with a rapid thermal process (RTP). The precursor of Cu/SnS/ZnS was prepared using a DC and RF sputtering process. On top of Cu/SnS/ZnS, Se was deposited by using a thermal evaporator. We also measured the real-time temperature of the CZTS precursor layer by using a thermocouple placed on the surface of the precursor. Initially, the precursor temperature showed a drop of 50℃ in 1 minute and returned to initial temperature after 2 minute. X-ray diffraction (XRD)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were adopted to investigate the cause of the initial temperature drop. The initial temperature drop was due to the growth o fCu1−xSe. Subsequently, Cu₂ZnSn(SSe)₃ and Cu₂ZnSn(SSe)₄ were formed and the temperature gradually returned to its initial value. Additional annealing after the temperature had returned to its initial value increased the XRD intensity of the ZnSSe peak.
      번역하기

      Via an in-situ monitoring tool of phase change during CZTSSe crystallization, we measured the temperature of the Cu₂ZnSn(SSe)₄ (CZTSSe) absorption layer during a selenization process with a rapid thermal process (RTP). The precursor of Cu/SnS/ZnS ...

      Via an in-situ monitoring tool of phase change during CZTSSe crystallization, we measured the temperature of the Cu₂ZnSn(SSe)₄ (CZTSSe) absorption layer during a selenization process with a rapid thermal process (RTP). The precursor of Cu/SnS/ZnS was prepared using a DC and RF sputtering process. On top of Cu/SnS/ZnS, Se was deposited by using a thermal evaporator. We also measured the real-time temperature of the CZTS precursor layer by using a thermocouple placed on the surface of the precursor. Initially, the precursor temperature showed a drop of 50℃ in 1 minute and returned to initial temperature after 2 minute. X-ray diffraction (XRD)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were adopted to investigate the cause of the initial temperature drop. The initial temperature drop was due to the growth o fCu1−xSe. Subsequently, Cu₂ZnSn(SSe)₃ and Cu₂ZnSn(SSe)₄ were formed and the temperature gradually returned to its initial value. Additional annealing after the temperature had returned to its initial value increased the XRD intensity of the ZnSSe peak.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급속 열처리 공정 (rapid thermal process: RTP)을 이용한 전구체의 셀렌화 공정에서 Cu₂ZnSn(SSe)₄(CZTSSe) 흡수층의 온도를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결정화 과정을 연구하였다. Cu/SnS/ZnS 전구체는 DC와 RF 스퍼터링 공정을 이용하여 몰리브덴이 증착된 소다-라임 유리 위에 증착하였으며, 이어서 Se을 열증착기를 이용하여 증착하였다. 흡수층 표면의 실제 온도는 열전대 (thermocouple) 온도계를 흡수층의 표면에 접촉하여 실시간으로 측정하였다. 초기에 650℃까지 상승한 흡수층의 온도가 이후 1분동안 약 50℃ 하락하였다가 2분 동안 다시 상승하여 초기 온도로 복귀하였다. X-선 회절 (X-ray diffraction: XRD) 및 주사 전자 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측정 결과로부터 초기 온도 하락의 원인이 Cu1−xSe의 형성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어서Cu₂ZnSn(SSe)₃와 Cu₂ZnSn(SSe)₄이 형성되면서 온도가 점차 상승하여 초기 온도로 복귀하였다. XRD 결과에서 초기 온도 복귀 후에 열처리 시간이 증가하면 ZnSSe 신호의 세기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급속 열처리 공정 (rapid thermal process: RTP)을 이용한 전구체의 셀렌화 공정에서 Cu₂ZnSn(SSe)₄(CZTSSe) 흡수층의 온도를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결정화 과정을 연구하였다. Cu/SnS/ZnS 전구체는 DC와 RF ...

      급속 열처리 공정 (rapid thermal process: RTP)을 이용한 전구체의 셀렌화 공정에서 Cu₂ZnSn(SSe)₄(CZTSSe) 흡수층의 온도를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결정화 과정을 연구하였다. Cu/SnS/ZnS 전구체는 DC와 RF 스퍼터링 공정을 이용하여 몰리브덴이 증착된 소다-라임 유리 위에 증착하였으며, 이어서 Se을 열증착기를 이용하여 증착하였다. 흡수층 표면의 실제 온도는 열전대 (thermocouple) 온도계를 흡수층의 표면에 접촉하여 실시간으로 측정하였다. 초기에 650℃까지 상승한 흡수층의 온도가 이후 1분동안 약 50℃ 하락하였다가 2분 동안 다시 상승하여 초기 온도로 복귀하였다. X-선 회절 (X-ray diffraction: XRD) 및 주사 전자 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측정 결과로부터 초기 온도 하락의 원인이 Cu1−xSe의 형성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어서Cu₂ZnSn(SSe)₃와 Cu₂ZnSn(SSe)₄이 형성되면서 온도가 점차 상승하여 초기 온도로 복귀하였다. XRD 결과에서 초기 온도 복귀 후에 열처리 시간이 증가하면 ZnSSe 신호의 세기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P. Jackson, 19 : 894-, 2011

      2 S. Siebentritt, 20 : 512-, 2012

      3 S. Delbos, 3 : 35004-, 2012

      4 P. A. Fernandes, 115 : 157-, 2013

      5 C. Platzer-Bj¨arkman, 98 : 110-, 2012

      6 C. Persson, 107 : 53710-, 2010

      7 T. K. Todorov, 3 : 34-, 2013

      8 K. Ito, 127 : 2094-, 1988

      1 P. Jackson, 19 : 894-, 2011

      2 S. Siebentritt, 20 : 512-, 2012

      3 S. Delbos, 3 : 35004-, 2012

      4 P. A. Fernandes, 115 : 157-, 2013

      5 C. Platzer-Bj¨arkman, 98 : 110-, 2012

      6 C. Persson, 107 : 53710-, 2010

      7 T. K. Todorov, 3 : 34-, 2013

      8 K. Ito, 127 : 2094-, 198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6-09-0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ae Mulli(New Physics) -> New Physics: Sae Mulli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5 0.14 0.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