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완화를 위한 챗봇 상담 알고리즘 설계 및 유용성 검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818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억제하기 위한 기술적 방지책의 하나로 바람직한 스마트폰 습관 형성을 돕는 상담 챗봇 대화 시나리오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상담자...

      이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억제하기 위한 기술적 방지책의 하나로 바람직한 스마트폰 습관 형성을 돕는 상담 챗봇 대화 시나리오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상담자 역할을 하는 챗봇을 통한 직접 개입 프로그램의 유용성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행동수정 이론을 기반으로 챗봇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또한 챗봇 상담 시나리오를 구현할 스마트폰 앱을 개발하여 스마트폰 의존도 측정에서 기초선 측정, 목표설정 및 강화, 일일 점검 및 주간 점검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스마트폰 사용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유용성 평가를 위해 한 광역시의 중고등학교 청소년 50명을 대상으로 2주간의 시범 운영 결과 스마트폰 과의존 자가진단척도 고위험군이 2명에서 1명으로 감소하였고, 잠재적 위험군이 26명에서 12명으로 감소하였으며, 전체적으로 스마트폰 과의 존 위험군 28명에서 13명으로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기존의 청소년 유해 앱 차단, 사용시간 설정 후 잠금 기능 등 스마트폰 사용을 강제로 통제하여 스마트폰 사용시간을 조절하도록 하는 접근 방식에서 벗어나 스마트폰 내에서 사용 시간을 확인하고 행동수정 프로그램을 챗봇 형식으로 구현하여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할 수 있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청소년 대상 상담 챗봇 시나리오 설계와 검증이 요구되며, 일상생활의 여러 영역에 적용 가능한 챗봇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counseling chatbot conversation scenarios and smartphone applications that help to build desirable smartphone use habits as a technical preventive measure to alleviate youth"s addiction on smartphones, and to verify the effe...

      This study aims to develop counseling chatbot conversation scenarios and smartphone applications that help to build desirable smartphone use habits as a technical preventive measure to alleviate youth"s addiction on smartphone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programs through chatbots as counselors. Firstly researchers developed chatbot scenarios based on behavioral modification. And a smartphone app was developed that can implement a chatbot counseling scenario so that smartphone use time can be reduced. The process consists of smartphone dependency measurement, base line measurement, goal setting, and daily and weekly monitoring with its reinforcement. A two-week trial of 5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a metropolitan city for effectiveness assessment found that the number of high-risk smartphones on the self-diagnosis scale decreased from two to one, and that the number of potential risks decreased from 26 to 12, and overall from 28 to 13. This suggests that smartphone use time can be monitored and behavior modification programs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hatbots, which results in positive changes away from the existing approach of controlling smartphone use, such as blocking harmful apps and locking time. It is necessary to design and verify various counseling chatbot scenarios for adolescents and to develop chatbots applicable to various areas of daily life in the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스마트폰 과의존 개입을 위한 행동수정 방향 설정
      • 3. 챗봇 상담 시나리오 개발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스마트폰 과의존 개입을 위한 행동수정 방향 설정
      • 3. 챗봇 상담 시나리오 개발
      • 4. 스마트폰 앱 개발
      • 5. 시범 운영을 통한 유용성 평가
      • 6. 결론 및 향후 과제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인숙, "초등학교 고학년의 인터넷 게임 및 스마트폰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21 (21): 421-432, 2020

      2 황매향, "초등교사를 위한 행동수정 길잡이" 학이시습 2016

      3 이상준,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및 스마트폰 게임중독에 따른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의 비교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7 (17): 55-79, 2015

      4 허민지, "요인분석과 군집분석을 이용한 청소년 스마트폰중독의 그룹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5 이미라, "아동ㆍ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강요, 자율성지지, 스마트폰 과의존 및 문제행동간의 구조적 관계: 학교급에 따른 다집단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7 (27): 169-191, 2020

      6 정송화, "스마트폰 중독 초등학생을 위한 개입프로그램 메타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20 (20): 144-152, 2019

      7 김동일, "스마트폰 중독 예방 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자기조절력을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21 (21): 315-338, 2020

      8 조은숙, "스마트폰 과의존 초등학생을 위한 드라마심리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한국문화교육학회 12 (12): 121-144, 2017

      9 박정혜,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행태와 의존에 대한 자기인식" 한국자료분석학회 21 (21): 2095-2105, 2019

      10 Lee, Y., "The dark side of smartphone usage : psychological traits, compulsive behavior and technostress" Elsevier 31 : 373-383, 2014

      1 이인숙, "초등학교 고학년의 인터넷 게임 및 스마트폰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21 (21): 421-432, 2020

      2 황매향, "초등교사를 위한 행동수정 길잡이" 학이시습 2016

      3 이상준,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및 스마트폰 게임중독에 따른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의 비교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7 (17): 55-79, 2015

      4 허민지, "요인분석과 군집분석을 이용한 청소년 스마트폰중독의 그룹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5 이미라, "아동ㆍ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강요, 자율성지지, 스마트폰 과의존 및 문제행동간의 구조적 관계: 학교급에 따른 다집단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7 (27): 169-191, 2020

      6 정송화, "스마트폰 중독 초등학생을 위한 개입프로그램 메타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20 (20): 144-152, 2019

      7 김동일, "스마트폰 중독 예방 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자기조절력을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21 (21): 315-338, 2020

      8 조은숙, "스마트폰 과의존 초등학생을 위한 드라마심리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한국문화교육학회 12 (12): 121-144, 2017

      9 박정혜,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행태와 의존에 대한 자기인식" 한국자료분석학회 21 (21): 2095-2105, 2019

      10 Lee, Y., "The dark side of smartphone usage : psychological traits, compulsive behavior and technostress" Elsevier 31 : 373-383, 2014

      11 Holland, J. L., "Making vocational choices: A theory of vocational personalities and work environments"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97

      12 Martin, G., "Behavior modification : What it is and how to do it" Routledge 2019

      1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0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지능원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5 0.05 0.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6 0.15 0.411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