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교육대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초등 임용시험을 고려한 초등과학탐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 한 후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총 15차시의 초등과학탐구교육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529988
202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40-155(1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초등 임용시험을 고려한 초등과학탐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 한 후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총 15차시의 초등과학탐구교육 ...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초등 임용시험을 고려한 초등과학탐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 한 후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총 15차시의 초등과학탐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프로그램은 기초탐구와 통합탐구 기능을 중점적으로 다루면서도 실제 임용시험과의 관련성을 높였다. 개발한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사전, 사후 참가자의 변화를 확인하였고, 4명의 참가자를 선발해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 적용 결과 프로그램 참가자들은 초등과학탐구와 임용시험과의 관계와 관련해서 ‘지식, 중요성 인식, 가치관 및 의지, 학습 경험’ 등 4가지 영역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심층인터뷰를 통해 본 프로그램이 자신의 생각과 가치관 의지, 이후 학습 경험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확인하였다. 향후 교육대학교 강좌들은 이론적인 내용보다는 실습 등 학교 현장 적합도를 높이고, 임용시험과의 관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evaluate an elementary science inquiry education program for second-year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preparation for the Elementary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The 15-session program emphasized fundamental an...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evaluate an elementary science inquiry education program for second-year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preparation for the Elementary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The 15-session program emphasized fundamental and integrated inquiry skills while enhancing alignment with the certification examination. Pre- and post-surveys assessed changes in participant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selected participants. The results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four areas: knowledge, perception of importance, values and motivation, and learning experience related to elementary science inquiry and the certification exam. In-depth interviews further highlighted how the program shaped participants’ perspectives, reinforcing their values, motivation, and subsequent learning experiences. The findings suggest that future education courses must prioritize practical activities over theoretical content to better reflect classroom realities and align with certification examination requirements.
구름 발생 실험에 관한 초등학생의 증거 기반 설명구성 활동에서 생산적 과학학습 참여의 양상
코로나19 관련 사회 상황 변화에 따른 초등학생의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 추이 분석
Reflecting on Class Talks in Online Science Classes and Fostering Scientific Creativity
초등학교 물리학 학습을 위한 가상현실 및 핸드트래킹 기반 시뮬레이터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