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코로나19 관련 사회 상황 변화에 따른 초등학생의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 추이 분석 = Analysis of Trends in Problem-Solving Approache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Based on Changes in Social Situations Related to COVID-19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5299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코로나19 엔데믹이 선언된지 1년 이상의 시간이 흘렀지만 팬데믹 기간 동안의 학습 환경 변화로 인한 학력저하와 그 회복 여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과 코로나19의 영향이 극대화 되었던 2022년, 그리고 엔데믹 이후인 2023년에 실시한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 검사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코로나19가 끼친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도별 점수를 비교하기 위하여 문항반응이론(Item Response Theroy; IRT)으로 피험자들의 능력 점수를 분석하고 공통피험자 특별실험설계를 통해 능력 척도를 연계하는 동등화 작업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3학년의 점수는 2022년에 하락했다가 2023년에 다시 상승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학년은 2022년의 점수가 유의하게 하락하였으며, 4학년과 6학년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상⋅하위권의 교육 격차를 살펴봤을 때 5학년과 6학년은 팬데믹 기간 동안 교육 격차가 심화되었고, 이후 회복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코로나19 팬데믹과 같은 외부적 요인이 학생들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다층적임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코로나19 엔데믹이 선언된지 1년 이상의 시간이 흘렀지만 팬데믹 기간 동안의 학습 환경 변화로 인한 학력저하와 그 회복 여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코...

      코로나19 엔데믹이 선언된지 1년 이상의 시간이 흘렀지만 팬데믹 기간 동안의 학습 환경 변화로 인한 학력저하와 그 회복 여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과 코로나19의 영향이 극대화 되었던 2022년, 그리고 엔데믹 이후인 2023년에 실시한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 검사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코로나19가 끼친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도별 점수를 비교하기 위하여 문항반응이론(Item Response Theroy; IRT)으로 피험자들의 능력 점수를 분석하고 공통피험자 특별실험설계를 통해 능력 척도를 연계하는 동등화 작업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3학년의 점수는 2022년에 하락했다가 2023년에 다시 상승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학년은 2022년의 점수가 유의하게 하락하였으며, 4학년과 6학년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상⋅하위권의 교육 격차를 살펴봤을 때 5학년과 6학년은 팬데믹 기간 동안 교육 격차가 심화되었고, 이후 회복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코로나19 팬데믹과 같은 외부적 요인이 학생들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다층적임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re than a year has passed since COVID-19 transitioned to an endemic phase. However, concerns about learning loss and recovery from the changes in the learning environment during the pandemic continue to grow. In response to this situation,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COVID-19 by analyzing results from science’s cre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y tests conducted in 2019 (before COVID-19), 2022 (during the peak of the pandemic), and 2023 (after COVID-19 was declared endemic). To compare the scores by year, we analyzed participants' ability scores using Item Response Theory (IRT) and performed an equating process that linked the ability scales through a common person equating design.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ird-grade scores dropped significantly in 2022, followed by a marked recovery in 2023,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fifth graders exhibited a significant score decline in 2022,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fourth and sixth graders. When examining the educational gap between highand low-achieving students, it was observed that disparities for fifth and sixth graders widened during the pandemic but showed signs of recovery afterward.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COVID-19 pandemic, have complex and multilayered effects on students’ learning.
      번역하기

      More than a year has passed since COVID-19 transitioned to an endemic phase. However, concerns about learning loss and recovery from the changes in the learning environment during the pandemic continue to grow. In response to this situation, this stud...

      More than a year has passed since COVID-19 transitioned to an endemic phase. However, concerns about learning loss and recovery from the changes in the learning environment during the pandemic continue to grow. In response to this situation,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COVID-19 by analyzing results from science’s cre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y tests conducted in 2019 (before COVID-19), 2022 (during the peak of the pandemic), and 2023 (after COVID-19 was declared endemic). To compare the scores by year, we analyzed participants' ability scores using Item Response Theory (IRT) and performed an equating process that linked the ability scales through a common person equating design.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ird-grade scores dropped significantly in 2022, followed by a marked recovery in 2023,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fifth graders exhibited a significant score decline in 2022,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fourth and sixth graders. When examining the educational gap between highand low-achieving students, it was observed that disparities for fifth and sixth graders widened during the pandemic but showed signs of recovery afterward.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COVID-19 pandemic, have complex and multilayered effects on students’ learning.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