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에 이르러 대규모의 전쟁과 환경 재난을 경험하게 되면서 자연과 인간이 서로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상호 의존하며 존재하고 있다는 상생의 생태주의 패러다임이 등장했다. 이제 생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에 이르러 대규모의 전쟁과 환경 재난을 경험하게 되면서 자연과 인간이 서로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상호 의존하며 존재하고 있다는 상생의 생태주의 패러다임이 등장했다. 이제 생태...
현대에 이르러 대규모의 전쟁과 환경 재난을 경험하게 되면서 자연과 인간이 서로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상호 의존하며 존재하고 있다는 상생의 생태주의 패러다임이 등장했다. 이제 생태주의 패러다임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건축 등 모든 분야에서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예술분야에서도 도시 산업주의 문명을 생태주의 문명으로 전환하기 위한 노력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더 이상 ‘자연’과 ‘인간의 문화’를 각각 다른 영역으로 간주하지 않고 인간과 자연, 인간과 인간이 상호 조화를 이루는 예술을 추구하게 되었다.
음악은 작곡가, 연주가, 청중의 유기적 상호작용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연주형태도 합창, 합주의 영역 뿐 아니라 독주분야에서도 독주자와 반주자의 동반자적 역할 등으로 인해 가장 생태적인 예술분야라고 할 수 있다.
자연을 상징하는 반주 성부와 인간이 부르는 성악 성부가, 이름다운 자연을 노래한 시와 음악이, 그리고 순환형식으로 되어 있는 연가곡들이 유기적으로 얽혀 하나가 되어 있는 슈만의 ‘예술가곡’은 자연과 인간이 유기적 관계 속에서 하나의 세계를 형성하는 생태주의적 세계관을 표현하고 있어 환경 위기와 생태계 위기의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예술사회에 음악에 대한 생태주의적 연구가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experiencing world wars and environmental catastrophes, which claimed too many human lives in modem times, some peopl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n ecology philosophy paradigm, which stresses interdependence and symbiosis of nature and human k...
After experiencing world wars and environmental catastrophes, which claimed too many human lives in modem times, some peopl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n ecology philosophy paradigm, which stresses interdependence and symbiosis of nature and human kind.
At the present time, the ecology philosophy paradigm becomes an important issue in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and architecture. In the area of arts, "nature" and "human civilization" is no longer considered a separate identity because a great effort is being exerted to transform a metropolitan industrial life into and ecological and philosophical based life. Mutual harmonic art is being pursued between human nature and among human beings.
Among all arts, music is the most ecologically important because creating good music necessitates not only the organic mutual interdependence of composers, performers, and auditors, but also the harmonic cooperation of soloists and accompanists during the chorus ensemble and even a solo performance.
Robert Alexander Schumann's "art song" expresses an ecological viewpoint most satisfactory because its accompaniment symbolizes nature, vocal which represents human singing, and poetry and music which glorifies the beauty of nature and through this circulating system composed song, is organically related into each other.
Therefore, this author would like to recommend the "art song" as an alternative music, to overcome a modem environment and an ecological crisis in this plac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엄선애, "하인리히 하이네의 노래의 책과 로베르트 슈만의 시인의 사랑" 한국독일어문학회 15 (15): 349-369, 2007
2 서인정, "초기 낭만주의 음악미학에 대한 연구" 학국미학예술학회 8 : 30-, 1998
3 장견식, "조성구조로 본 슈만의 연가곡 구상" 민족음악학회 (16) : 214-, 1998
4 문영석, "인류의 제4혁명기에 선 문화와 환경"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1 : 149-, 2002
5 권정선, "유토피아에 대한 낭만적인 그리움: 바켄로더와 티크의 음악미학" 한국서양음악학회 8 : 213-240, 2005
6 김용민, "유럽의 생태주의 사유의 전통" 독일어문학연구회 15 : 422-, 2001
7 인성기, "유럽 계몽주의와 독일 낭만주의" 독일어문학연구회 13 : 213-229, 2000
8 한흥식, "심층생태학의 비판적 고찰" 부산대학교 39 : 101-102, 2000
9 윤상열, "슈만의 예술과 사랑" 성음 14 : 100-, 1981
10 황정원, "슈만의 연가곡 <여인의 사랑과 생애>에 나타난 내용과 양식" 민족음악학회 (14) : 223-, 1997
1 엄선애, "하인리히 하이네의 노래의 책과 로베르트 슈만의 시인의 사랑" 한국독일어문학회 15 (15): 349-369, 2007
2 서인정, "초기 낭만주의 음악미학에 대한 연구" 학국미학예술학회 8 : 30-, 1998
3 장견식, "조성구조로 본 슈만의 연가곡 구상" 민족음악학회 (16) : 214-, 1998
4 문영석, "인류의 제4혁명기에 선 문화와 환경"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1 : 149-, 2002
5 권정선, "유토피아에 대한 낭만적인 그리움: 바켄로더와 티크의 음악미학" 한국서양음악학회 8 : 213-240, 2005
6 김용민, "유럽의 생태주의 사유의 전통" 독일어문학연구회 15 : 422-, 2001
7 인성기, "유럽 계몽주의와 독일 낭만주의" 독일어문학연구회 13 : 213-229, 2000
8 한흥식, "심층생태학의 비판적 고찰" 부산대학교 39 : 101-102, 2000
9 윤상열, "슈만의 예술과 사랑" 성음 14 : 100-, 1981
10 황정원, "슈만의 연가곡 <여인의 사랑과 생애>에 나타난 내용과 양식" 민족음악학회 (14) : 223-, 1997
11 Berthold Litzmann, "슈만과 클라라" 우석 24-25, 1983
12 문순홍, "서구 생태 패러다임의 등장과 그 분화" 범양사 26-27, 2002
13 노상우, "생태학적 위기와 현대교육의 과제"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3 : 38-39, 2003
14 김욱동, "생태학적 상상력" 나무심는사람 19-, 2004
15 David Burnie, "생태학을 잡아라" 궁리 174-, 2002
16 하정남, "생태적 삶, 에코페미니즘, 새로운 문명" 환경과 생명사 27 : 51-57, 2001
17 곽삼근, "생태여성주의 이념의 평생교육학적 시사점" 한국교육학회 40 (40): 1-20, 2002
18 Roy Morrison, "생태민주주의" 교육과학사 38-39, 2005
19 박순복, "로베르트 슈만 : 노래의 해와 만년의 가곡" 월간음악사 182 : 56-, 1986
20 차수정, "로베르트 슈만" 예음 82 : 204-206, 1990
21 이인자, "로베르트 슈만" 예음 82 : 201-203, 1990
22 M.H.에이브럼즈, "노튼 영문학개관Ⅱ 낭만주의-20세기" 까치글방 2005
23 Catherine Lepront, "네 손의 인생 클라라 슈만" 삼진기획 18-23, 1991
24 김미애, "낭만주의의 불꽃 슈만의 가곡세계, In 음악교육" 세광음악출판사 47-, 1989
25 여홍상, "근대 영문학의 흐름-낭만주의에서 포스트모더니즘까지"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3
26 지형주, "구월의 신부를 위한 노래 <미르텐Myrt(h)en>에 담겨있는 슈만의 낭만성" 서양음악연구소 11 : 21-40, 2006
27 진회숙, "‘고전의 틀’ 깨고 청중의 다양한 욕구와 타협" 동아일보사 73 : 215-217, 1990
28 Green, Lucy, "Music on Deaf Ears: Musical Meaning, Ideology, Education"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88
29 Ballantine, Christopher John, "Music and Its Social Meanings" Gordon and Breach 1984
30 Miller, G. Tylor, Jr., "Living in the Environment" Wadsworth 1982
31 Karen Warren, "Feminism and Ecology(Making Connections)"
32 Brian Easlea, "Fathering the Unthinkable, Masculinity, Scientists and the Nuclear Arms Race" Pluto Press 1986
33 Carnody, J., "Ecology and Religion: Toward a New Christian Theology of Nature" Paulist Press 1983
34 Walter Fernades, "Development, Displacement and Rehabilitation" Indian Social Institute 1989
35 Rey M. Longyear, "19세기 낭만주의 음악" 도서출판다리 2001
음악, 정치, 매체 - 68혁명이 열어젖힌 현대음악의 새로운 지대
쇤베르크의 음렬 음악에 나타난 사고적 접근에서의 브람스의 영향력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