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라북도 장수군 오미자 자생지 토양 및 환경 특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943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전라북도 장수군 오미자 자생지 토양 및 환경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식생, 입지환경 및 토양조사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미자는 고도 500~700 m의 준산간지 산록 북서쪽 방향의 계곡에 자생하고 있으며, 경사도는 17.6~36.4%, 토층은 마사토와 부엽토가 쌓여 배수가 용이한 지반이 형성된 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미자 자생지 식물상은 34과 55종으로 나타났다. 갯버들은 거의 모든 조사지점에서 분포하였으며, 칡, 싸리, 옻나무, 쑥과 같은 식물의 세력이 자생지 내에서 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미자 자생지 토양의 화학적인 지표는 우리나라 일반 오미자 인공재배 토양과 비교시 식물영양물질이 풍부하고 완충능력이 더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오미자 인공재배 적지 분석 및 기후변화에 따른 재배지역 이동에 따른 재배기술 확립시 자생지 토양특성을 고려한 합리적인 토양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전라북도 장수군 오미자 자생지 토양 및 환경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식생, 입지환경 및 토양조사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미자는 고도 500~700 m의 준산간지 산록 북서쪽 방향의 계곡에...

      전라북도 장수군 오미자 자생지 토양 및 환경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식생, 입지환경 및 토양조사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미자는 고도 500~700 m의 준산간지 산록 북서쪽 방향의 계곡에 자생하고 있으며, 경사도는 17.6~36.4%, 토층은 마사토와 부엽토가 쌓여 배수가 용이한 지반이 형성된 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미자 자생지 식물상은 34과 55종으로 나타났다. 갯버들은 거의 모든 조사지점에서 분포하였으며, 칡, 싸리, 옻나무, 쑥과 같은 식물의 세력이 자생지 내에서 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미자 자생지 토양의 화학적인 지표는 우리나라 일반 오미자 인공재배 토양과 비교시 식물영양물질이 풍부하고 완충능력이 더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오미자 인공재배 적지 분석 및 기후변화에 따른 재배지역 이동에 따른 재배기술 확립시 자생지 토양특성을 고려한 합리적인 토양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soil and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habitat as a part of establishment of conservation plan for important medicinal crop resources in Jangsu-gun, Jeollabuk-do. These habitats are mostly located on the slopes of mountains facing northwest at an altitude of 500 m to 700 m with angles of inclination ranging from 17.6 to 36.4%. Average yearly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habitat were 1,493.4 mm and 16.9℃, respectively. The number of plant species growing in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habitat was found 55 species. Salix gracilistyla, Lespedeza bicolor, and Artemisia princeps var. were shown higher density and coverage. Chemical quality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habitats soils was relatively higher than artificial cultivation soil.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soil and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habitat as a part of establishment of conservation plan for important medicinal crop resources in Jangsu-gun, Jeollabuk-do. These habitats 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soil and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habitat as a part of establishment of conservation plan for important medicinal crop resources in Jangsu-gun, Jeollabuk-do. These habitats are mostly located on the slopes of mountains facing northwest at an altitude of 500 m to 700 m with angles of inclination ranging from 17.6 to 36.4%. Average yearly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habitat were 1,493.4 mm and 16.9℃, respectively. The number of plant species growing in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habitat was found 55 species. Salix gracilistyla, Lespedeza bicolor, and Artemisia princeps var. were shown higher density and coverage. Chemical quality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habitats soils was relatively higher than artificial cultivation soi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인용문헌
      • 서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인용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영희, "한국에서의 자생 복분자딸기 분포 및 자생지의 생태적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21 (21): 176-185, 2007

      2 김순임, "추출 조건에 따른 오미자 추출물의 항산화 및 혈당 강하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 22 (22): 41-47, 2009

      3 최선영, "오미자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학회 21 (21): 35-42, 2008

      4 윤용갑, "오미자 효소가수분해물에 의한 장내 세균총 개선 및장관 염증 억제 효과의 효소학적 평가" 한국생약학회 38 (38): 363-371, 2007

      5 고병섭, "오미자 추출물의 혈당 강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7 (47): 258-264, 2004

      6 김현구, "오미자 추출물의 추출특성 및 항산화 효과"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 (19): 484-490, 2004

      7 김세현, "밀원수종 흑오미자 제주도 선발집단의 입지환경 및 개화·결실 특성" 한국양봉학회 25 (25): 45-51, 2010

      8 박성혜, "기능성 식품으로의 활용을 위한 한약자원에 관한 연구. 1. 오미자 열수추출물이 흰쥐의 국소 뇌혈류량과 혈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34-40, 2004

      9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The analysis method of soil and plant. Suwon, Korea"

      10 Jeollabuk-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Manual of environment- friendly cultivation for Omija. Iksan, Korea"

      1 안영희, "한국에서의 자생 복분자딸기 분포 및 자생지의 생태적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21 (21): 176-185, 2007

      2 김순임, "추출 조건에 따른 오미자 추출물의 항산화 및 혈당 강하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 22 (22): 41-47, 2009

      3 최선영, "오미자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학회 21 (21): 35-42, 2008

      4 윤용갑, "오미자 효소가수분해물에 의한 장내 세균총 개선 및장관 염증 억제 효과의 효소학적 평가" 한국생약학회 38 (38): 363-371, 2007

      5 고병섭, "오미자 추출물의 혈당 강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7 (47): 258-264, 2004

      6 김현구, "오미자 추출물의 추출특성 및 항산화 효과"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 (19): 484-490, 2004

      7 김세현, "밀원수종 흑오미자 제주도 선발집단의 입지환경 및 개화·결실 특성" 한국양봉학회 25 (25): 45-51, 2010

      8 박성혜, "기능성 식품으로의 활용을 위한 한약자원에 관한 연구. 1. 오미자 열수추출물이 흰쥐의 국소 뇌혈류량과 혈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34-40, 2004

      9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The analysis method of soil and plant. Suwon, Korea"

      10 Jeollabuk-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Manual of environment- friendly cultivation for Omija. Iksan, Korea"

      11 Lee, K.Y., "Habitat environment and vegetation structure of forest communities growing Schisandra nigra Maxim. in Cheju island of Korea" 1 : 81-89, 1999

      12 Kim, P.G., "Foliar characteristics and photosynthetic efficiency of three species of Schisandraceae trees distributed in Korea" 1 : 90-96, 1999

      13 조재영, "Characteristics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Orchard Soils Located in Jangsu-gun, Jeollabuk-do" 한국토양비료학회 43 (43): 478-483, 2010

      14 Jangsu-gun, "A study on the manufacture and commercialization for Omija. Jangsu, Korea"

      15 Jangsu-gun Regional Meteorological Office, "2000-2010 Meteorological data"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5-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한국토양비료학회지(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KCI등재
      2006-06-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41 0.54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