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자의 연구과제는 방법상 크게 두 분야로 나누어 진행될 수 있다. 즉, 첫 번째 과제에서는 다국적기업의 기업 활동에 필요한 도덕원리들을 탐구하는 데 주력하고, 두 번째 과제에서는 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58149
2017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지원자의 연구과제는 방법상 크게 두 분야로 나누어 진행될 수 있다. 즉, 첫 번째 과제에서는 다국적기업의 기업 활동에 필요한 도덕원리들을 탐구하는 데 주력하고, 두 번째 과제에서는 이...
지원자의 연구과제는 방법상 크게 두 분야로 나누어 진행될 수 있다. 즉, 첫 번째 과제에서는 다국적기업의 기업 활동에 필요한 도덕원리들을 탐구하는 데 주력하고, 두 번째 과제에서는 이런 도덕원리들을 최근에 심각하게 다시 부각되고 있는 기업유치국의 환경파괴 문제에 적용하는 데 주력하는 것이다. 이런 까닭에 이론과 실제에 해당하는 이런 두 가지 연구주제들을 한 논문으로 처리하는 것은 주제 자체를 자칫 주마간산 격의 논의에 그치게 할 뿐만 아니라 연구 목적의 실질적 의의를 상실시킬 가능성이 클 수 있다고 보고, 지원자는 일반적 연구 하나와 집중 연구 하나씩 연차별로 탐구하는 연구계획을 수립하였다. 먼저, “통합된 국제기업윤리 지침 마련”이라는 1년차 과제를 통해, 지원자는 다국적기업 경영자가 반드시 숙지해야 할 국제기업윤리 통합 지침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다국적기업에 의해 기업유치국에서 벌어지는 인권유린, 아동학대, 환경파괴와 같은 심각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통합 지침의 목록 속에 자기중심주의 배제, 자유와 평등의 이념 실현, 인간의 기본권 구현, 해악금지의 원리와 선행의 원리 도입 등과 같은 도덕원리의 기본적 내용들이 결코 빠질 수는 없다고 보았다. 그리고 다음으로, “다국적기업의 환경파괴 행위에 대한 새로운 통찰”이라는 2년차 과제를 통해, 지원자는 이런 원리들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이해에 도달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지원자는 최근 아프리카나 남미의 저개발국가에서 벌어지고 있는 환경 파괴의 유형에 주목하여 이런 문제들에 대한 해법을 국제기업윤리 통합 지침을 통해 마련될 수 있다고 보았으며, 여기에 환경윤리의 근본 원리들 역시 결코 빠져서는 안 된다는 생각에도 도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