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동 보호를 위한 외국의 아동 학대 신고제도 연구 = Mandatory Reporting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Children's Rights in Major Count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461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andatory reporting systems of seven countries such as America, Canada, Australia, United Kingdom, Taiwan, Japan, and Korea. To detect abused children easily, the system of UK focuses on improved information sh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andatory reporting systems of seven countries such as America, Canada, Australia, United Kingdom, Taiwan, Japan, and Korea. To detect abused children easily, the system of UK focuses on improved information sharing and inter-agency cooperation. But most countries incrementally expand mandatory reporting requirements in legislation. Some of these countries adopt various ways to promote telephone reporting, in most countries the agencies of government are responsible for investigation of reported cases, and increase the number of the agencies for easy access. This paper discusses how these are likely to apply in the Korea situ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대만, 일본, 그리고 한국 7개국의 아동보호서비스 관련법의 신고 조항과 관련 기관의 운영 현황을 비교 분석하였다. 피학대 아동의 발견을 위...

      본 연구는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대만, 일본, 그리고 한국 7개국의 아동보호서비스 관련법의 신고 조항과 관련 기관의 운영 현황을 비교 분석하였다. 피학대 아동의 발견을 위해 영국은 관련법을 개정하여 관련 기관의 협력과 모든 아동의 데이터 구축을 의무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부분의 국가는 신고 대상이 되는 아동학대와 방임의 유형, 신고 사유, 그리고 신고의무자의 범위를 확대하거나 신고의무 불이행에 대한 처벌 규정을 강화하고 있다. 그리고 국가에 따라서 신고를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신고 전화 운영과 더불어 대부분 정부기관을 중심으로 현장조사를 하고 기관수를 늘려 피학대 아동의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신고의무 불이행에 대한 처벌규정 신설, 관련 기관 협력의 의무화, 상담원의 강제조사권 부여, 대폭적인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증설 등이 논의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혜미, "효과적인 아동 학대 예방을 위한 외국 법 현황" 굿네이버스 21-41, 2004

      2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해외선진지 연구보고서:대만, 싱가폴" 2007

      3 박주영, "피학대 아동에 대한 법적 보호" 고려대학교 2008

      4 보건복지가족부, "전국아동학대 현황보고서" 2008

      5 박천만, "일본의 아동 학대" 계축문화사 2007

      6 이재연, "아동학대 연구와 조사의 윤리" 한국아동학회 26 (26): 243-256, 2005

      7 허남순, "아동학대 신고의무자들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과 신고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3 : 209-230, 2003

      8 양영임, "아동의 권리보호를 위한 외국의 아동정책 연구" 9 (9): 661-690, 2005

      9 황옥경, "아동보호체계의 딜레마:신고제도, 아동보호서비스 개입과 도전" 한국아동학대예방 협회 3-15, 2009

      10 오승환,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아동복지서비스 현황" 굿네이버스 3-18, 2004

      1 윤혜미, "효과적인 아동 학대 예방을 위한 외국 법 현황" 굿네이버스 21-41, 2004

      2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해외선진지 연구보고서:대만, 싱가폴" 2007

      3 박주영, "피학대 아동에 대한 법적 보호" 고려대학교 2008

      4 보건복지가족부, "전국아동학대 현황보고서" 2008

      5 박천만, "일본의 아동 학대" 계축문화사 2007

      6 이재연, "아동학대 연구와 조사의 윤리" 한국아동학회 26 (26): 243-256, 2005

      7 허남순, "아동학대 신고의무자들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과 신고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3 : 209-230, 2003

      8 양영임, "아동의 권리보호를 위한 외국의 아동정책 연구" 9 (9): 661-690, 2005

      9 황옥경, "아동보호체계의 딜레마:신고제도, 아동보호서비스 개입과 도전" 한국아동학대예방 협회 3-15, 2009

      10 오승환,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아동복지서비스 현황" 굿네이버스 3-18, 2004

      11 한연숙, "아동 학대 신고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신고의무자 인식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2007

      12 윤혜미, "아동 학대 및 방임사례와 신고제에 대한 학부모 태도조사" 3 : 169-203, 1995

      13 김소연, "보육교사의 아동 학대 인식과 신고의무에 대한 태도" 7 : 121-140, 2003

      14 김진선, "간호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 영향요인" 아동간호학회 11 (11): 211-220, 2005

      15 Daro, D, "World perspectives on child abuse (8th ed.)" International Society for Prevention of Child Abuse and Neglect 2008

      16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Skills (DFES), "Working Together to Safeguard Children:A guide to interagency working to safeguard and promote the welfare of children"

      17 Office of Child Abuse Prevention, "The California Child Abuse and neglect Reporting Law:Issues and Answers for Mandated Reporters"

      18 Office of Children and Family Services(OCFS), "Summary Guide for MANDATED REPORTERS in New York State"

      19 Minisiry of Children, "Reporting child abuse and neglect It's your duty" Queen’s Printer for Ontario 2005

      20 박세경, "OECD 국가와 한국의 아동보호체계 비교연구" 보건사회연구원 2005

      21 Department of Community Services, "New South Wales Interagency Guidelines For Child Protection Intervention" NSW Government

      22 Bromfield, L, "National comparison of child protection systems" Australian Institude Of Family Studies 2005

      23 Higgins, D., "Mandatory reporting of child abuse and neglect (Resource sheet No. 3)"

      24 Harries, M, "Mandatory Reporting of Child Abused:Evidence and Options, Report for The Western Australian Child protection Council" University of Western Australia, Discipline of Social Work and Social Policy 2002

      25 Office for Children, Youth & Family Support(OCYFS), "Keeping Children and Young People Safe:A shared community responsibility"

      26 Munro, E, "How far is England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a mandatory reporting system" 16 (16): 5-16, 2007

      27 Carpenter, A. M, "Examination of clinical and legal issues relevant to child maltreatment reporting" University of Nevada 2008

      28 USDHHS-ACF, "Child Maltreatment 2009"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09

      29 National Society for the Prevention of Cruelty to Children (NSPCC), "An introduction to child protection legislation in the UK:Child protection fact sheet"

      30 Wallace, I, "An examination of loc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arrangements for the mandatory reporting of child abuse:the implications for Northern Ireland"

      31 Department of Children and Family Service(DCFS), "A Manual for Mandated Reporter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2-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J Children's Rights -> 아동과 권리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s Rights ->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 & Right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2 1.02 1.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 1.26 1.56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