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상지추출물의 단회/반복투여 독성 및 복귀돌연변이능 평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613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상지추출물의 독성을 복귀돌연변이, 단회투여 및 반복투여독성 등 다각적으로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상지추출물의 복귀돌연변이 실험을 Salmonella Typhimurium의 히스티딘 요구성 균주 4종과 Escherichia coli의 트립토판 요구성 균주 1종을 이용하여 대사활성계 적용 및 비적용 하에서 Ames test를 실시하였다. 대사활성계 유무에 상관없이 5,000 μg/plate의 처리 농도까지 복귀돌연변이 콜로니 수는 증가되지 않았으므로 상지추출물은 복귀돌연변이를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SD rats 암수에 1,250, 2,500 및 5,000mg/kg의 농도로 단회 경구투여 하고 14일 동안 일반증상, 운동성, 식이섭취량, 사망 여부 및 체중 변화를 조사한 결과, 사망동물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동물의 암수 모두에서 시험물질 투여에 따른 일반적인 증상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대조군과 시험군은 모두 정상적인 체중 증가가 관찰되었고 대조군과 비교하여 상지추출물 투여군의 유의적인 체중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LD50은 암수 모두 5,000 mg/kg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상지추출물을 500, 1,000 및 2,000 mg/kg/d의 용량으로 28일간 반복 경구투여 하면서 실험동물의 일반증상, 사망동물의 유무, 체중 변화, 식이섭취량, 혈액학적 및 혈액생화학적 변화, 부검 후 육안적 검사를 통한 병변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시험기간 동안 암수 모든 군에서 반복 투여로 인한 사망동물이 없었으며 정상적인 체중 증가가 나타났다. 대조군과 비교하여 상지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체중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없었으며 암수 모두 대조군과 비교하여 식이섭취량의 차이 및 유의할만한 일반증상도 관찰되지 않았다. 시험물질의 투여에 따른 장기 무게, 혈액학적 분석 결과 및 혈액생화학적 분석 결과 등에서도 독성 및 이상소견이 발견되지 않았다.
      번역하기

      상지추출물의 독성을 복귀돌연변이, 단회투여 및 반복투여독성 등 다각적으로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상지추출물의 복귀돌연변이 실험을 Salmonella Typhimurium의 히스티딘 요구성 균주 4종과 Esch...

      상지추출물의 독성을 복귀돌연변이, 단회투여 및 반복투여독성 등 다각적으로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상지추출물의 복귀돌연변이 실험을 Salmonella Typhimurium의 히스티딘 요구성 균주 4종과 Escherichia coli의 트립토판 요구성 균주 1종을 이용하여 대사활성계 적용 및 비적용 하에서 Ames test를 실시하였다. 대사활성계 유무에 상관없이 5,000 μg/plate의 처리 농도까지 복귀돌연변이 콜로니 수는 증가되지 않았으므로 상지추출물은 복귀돌연변이를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SD rats 암수에 1,250, 2,500 및 5,000mg/kg의 농도로 단회 경구투여 하고 14일 동안 일반증상, 운동성, 식이섭취량, 사망 여부 및 체중 변화를 조사한 결과, 사망동물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동물의 암수 모두에서 시험물질 투여에 따른 일반적인 증상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대조군과 시험군은 모두 정상적인 체중 증가가 관찰되었고 대조군과 비교하여 상지추출물 투여군의 유의적인 체중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LD50은 암수 모두 5,000 mg/kg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상지추출물을 500, 1,000 및 2,000 mg/kg/d의 용량으로 28일간 반복 경구투여 하면서 실험동물의 일반증상, 사망동물의 유무, 체중 변화, 식이섭취량, 혈액학적 및 혈액생화학적 변화, 부검 후 육안적 검사를 통한 병변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시험기간 동안 암수 모든 군에서 반복 투여로 인한 사망동물이 없었으며 정상적인 체중 증가가 나타났다. 대조군과 비교하여 상지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체중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없었으며 암수 모두 대조군과 비교하여 식이섭취량의 차이 및 유의할만한 일반증상도 관찰되지 않았다. 시험물질의 투여에 따른 장기 무게, 혈액학적 분석 결과 및 혈액생화학적 분석 결과 등에서도 독성 및 이상소견이 발견되지 않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toxicity of ethanolic extracts of Morus alba L. branch (ME). In the reverse mutation test, Salmonella Typhimurium TA98, TA100, TA1535, TA1357, and Escherichia coli WP2uvrA were used to estimate the mutagenic potential of ME. Sprague-Dawley rats were orally administered ME at levels of 1,250, 2,500, and 5,000 mg/kg for the single-dose toxicity test and 500, 1,000, and 2,000 mg/kg/d for the repeated-dose toxicity test for 28 consecutive days. As expected, reverse mutation was not detected at any concentration of ME, regardless of application of the metabolic activation system with or without S9 mix. In the single-dose toxicity test, ME caused neither significant visible signs of toxicity nor mortality in rats, and LD50 was estimated to be over 5,000 mg/kg. In the repeated-dose toxicity test, ME administration at 500, 1,000, and 2,000 mg/kg for 28 days to male or female rats did not result in mortality. Similarly, no toxicologically significant treatment-related changes in body weight, food intake, or organ weights were noted. Several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parameters in both gend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ut these were within normal ranges. These results support the safe use of ME.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toxicity of ethanolic extracts of Morus alba L. branch (ME). In the reverse mutation test, Salmonella Typhimurium TA98, TA100, TA1535, TA1357, and Escherichia coli WP2uvrA were used to estimate the mutagenic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toxicity of ethanolic extracts of Morus alba L. branch (ME). In the reverse mutation test, Salmonella Typhimurium TA98, TA100, TA1535, TA1357, and Escherichia coli WP2uvrA were used to estimate the mutagenic potential of ME. Sprague-Dawley rats were orally administered ME at levels of 1,250, 2,500, and 5,000 mg/kg for the single-dose toxicity test and 500, 1,000, and 2,000 mg/kg/d for the repeated-dose toxicity test for 28 consecutive days. As expected, reverse mutation was not detected at any concentration of ME, regardless of application of the metabolic activation system with or without S9 mix. In the single-dose toxicity test, ME caused neither significant visible signs of toxicity nor mortality in rats, and LD50 was estimated to be over 5,000 mg/kg. In the repeated-dose toxicity test, ME administration at 500, 1,000, and 2,000 mg/kg for 28 days to male or female rats did not result in mortality. Similarly, no toxicologically significant treatment-related changes in body weight, food intake, or organ weights were noted. Several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parameters in both gend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ut these were within normal ranges. These results support the safe use of M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혜미, "추출방법에 따른 상지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1709-1715, 2014

      2 김윤배, "상백피의 4주 반복투여독성 평가" 한국실험동물학회 20 (20): 283-290, 2004

      3 정향리, "삼백초, 뽕나무 줄기, 닥나무 줄기 등을 함유한 복합수목추출물의 화장품소재 특성" 한국화학공학회 50 (50): 610-613, 2012

      4 김현수, "桑枝추출물이 고지방식이에 의한 체중 변화와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 23 (23): 714-722, 2002

      5 차윤엽, "桑枝와 桑白皮의 항산화효과 비교 연구" 한의병리학회 21 (21): 934-939, 2007

      6 함인혜, "桑枝가 흰쥐의 혈압 및 Streptozotocin유발 당뇨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 23 (23): 203-212, 2008

      7 박서영, "Whitening Effects of Mori Ramulus, Mori Cortex Radicis and Mori Folium Herbal-acupuncture Solution after Fermentation and Heating" 대한침구의학회 26 (26): 91-98, 2009

      8 Shi YW., "Uricosuric and nephroprotective properties of Ramulus mori ethanol extract in hyperuricemic mice" 143 : 896-904, 2012

      9 Zimmerman HJ., "Toxicology of the Liver" Raven Press 1-45, 1982

      10 Shin JY, "Screening of natural products that have activities against skin-aging" 14 : 568-572, 2001

      1 박혜미, "추출방법에 따른 상지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1709-1715, 2014

      2 김윤배, "상백피의 4주 반복투여독성 평가" 한국실험동물학회 20 (20): 283-290, 2004

      3 정향리, "삼백초, 뽕나무 줄기, 닥나무 줄기 등을 함유한 복합수목추출물의 화장품소재 특성" 한국화학공학회 50 (50): 610-613, 2012

      4 김현수, "桑枝추출물이 고지방식이에 의한 체중 변화와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 23 (23): 714-722, 2002

      5 차윤엽, "桑枝와 桑白皮의 항산화효과 비교 연구" 한의병리학회 21 (21): 934-939, 2007

      6 함인혜, "桑枝가 흰쥐의 혈압 및 Streptozotocin유발 당뇨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 23 (23): 203-212, 2008

      7 박서영, "Whitening Effects of Mori Ramulus, Mori Cortex Radicis and Mori Folium Herbal-acupuncture Solution after Fermentation and Heating" 대한침구의학회 26 (26): 91-98, 2009

      8 Shi YW., "Uricosuric and nephroprotective properties of Ramulus mori ethanol extract in hyperuricemic mice" 143 : 896-904, 2012

      9 Zimmerman HJ., "Toxicology of the Liver" Raven Press 1-45, 1982

      10 Shin JY, "Screening of natural products that have activities against skin-aging" 14 : 568-572, 2001

      11 Maron DM., "Revised methods for the Salmonella mutagenicity test" 113 : 173-215, 1983

      12 임영희, "Oxyresveratrol의 기원, 생합성, 생물학적 활성 및 약물동력학" 한국식품과학회 47 (47): 545-555, 2015

      13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National standard of traditional medicinal (herbal and botanical)materials" Shinilbooks 197-, 2013

      14 Ames BN., "Methods for detecting carcinogens and mutagens with the Salmonella/mammalian-microsome mutagenicity test" 31 : 347-364, 1975

      15 Petterino C., "Clinical chemistry and haematology historical data in control Sprague-Dawley rats from pre-clinical toxicity studies" 57 : 213-219, 2006

      16 Kim BS., "Antihypertensive effect of active compounds from stem of Morus alba" Konyang University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