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구절초를 대상으로 물과 에탄올을 이용하여 확보한 각각의 추출물에 대하여 추출 수율,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linarin 함량, ABTS 라디칼 소거능과 DPPH 라디칼 소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161312
2016
Korean
KCI등재,SCOPUS
학술저널
1414-1421(8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구절초를 대상으로 물과 에탄올을 이용하여 확보한 각각의 추출물에 대하여 추출 수율,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linarin 함량, ABTS 라디칼 소거능과 DPPH 라디칼 소거...
본 연구에서는 구절초를 대상으로 물과 에탄올을 이용하여 확보한 각각의 추출물에 대하여 추출 수율,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linarin 함량, ABTS 라디칼 소거능과 DPPH 라디칼 소거능, α-glucosidase 저해 활성, lip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구절초는 70°C, 50% 주정 추출조건에서 추출 수율과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linarin 함량, ABTS 라디칼 소거능과 DPPH 라디칼 소거능, α-glucosidase 저해 활성, lipase 저해 활성이 가장 높았다. 또한, linarin 함량이 구절초 추출물의 생리활성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절초 추출물은 linarin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탄수화물 및 지방 흡수 지연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구절초의 추출조건에 따른 생리활성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구절초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소재 등으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of Chrysanthemum zawadskii (CZ) with high yield of bioactive compounds (linarin, polyphenols, and flavonoids) and improved in vitro activities. Ethanol extracts were examined at diff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of Chrysanthemum zawadskii (CZ) with high yield of bioactive compounds (linarin, polyphenols, and flavonoids) and improved in vitro activities. Ethanol extracts were examined at different concentrations (0, 30, 50, 70, and 95%) and temperatures (50 and 70°C). The recommended extraction conditions were 50% ethanol at 70°C for 4 h, which gave the highest yield of linarin, polyphenols, and flavonoids. This extract appeared to have the greatest AB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87.81% and 51.42% at 500 μg/mL, respectively) and α-glucosidase (74.59%) and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activities (90.44%). As contents of linarin increased, antioxidative activity, inhibitory effects of carbohydrates and lipid absorption of CZ extracts increased as well. From these results, CZ extracts can be used in functional food industries.
참고문헌 (Reference)
1 우정향, "추출 방법에 따른 남구절초와 코스모스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원예학회 28 (28): 462-468, 2010
2 김경곤, "청미래덩굴 잎 및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α-Glucosidase 억제 및 항염증 활성비교" 한국영양학회 46 (46): 315-323, 2013
3 권오준, "지모 추출물의 항산화 및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 평가"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1 (21): 421-426, 2014
4 이보배, "제비꽃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α-Amylase와 α-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405-409, 2008
5 추미애, "의학강좌/한국 소아청소년 비만과 대사 증후군" 대한의사협회 53 (53): 142-152, 2010
6 정해정, "구절초의 부위별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8 (18): 739-745, 2011
7 우정향, "구절초와 남구절초의 항산화 효과에 미치는 수확시기의 영향" 한국자원식물학회 21 (21): 128-133, 2008
8 박정애, "구절초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 한국생명과학회 25 (25): 299-306, 2015
9 한지영, "구절초 꽃 추출물의 Nitric Oxide 생성과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발현 억제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685-1690, 2009
10 김희연, "강원도 자생 산채 추출물의 α-Amylase, α-Glucosidase, Lipase 효소 저해활성 탐색"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308-315, 2011
1 우정향, "추출 방법에 따른 남구절초와 코스모스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원예학회 28 (28): 462-468, 2010
2 김경곤, "청미래덩굴 잎 및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α-Glucosidase 억제 및 항염증 활성비교" 한국영양학회 46 (46): 315-323, 2013
3 권오준, "지모 추출물의 항산화 및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 평가"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1 (21): 421-426, 2014
4 이보배, "제비꽃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α-Amylase와 α-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405-409, 2008
5 추미애, "의학강좌/한국 소아청소년 비만과 대사 증후군" 대한의사협회 53 (53): 142-152, 2010
6 정해정, "구절초의 부위별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8 (18): 739-745, 2011
7 우정향, "구절초와 남구절초의 항산화 효과에 미치는 수확시기의 영향" 한국자원식물학회 21 (21): 128-133, 2008
8 박정애, "구절초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 한국생명과학회 25 (25): 299-306, 2015
9 한지영, "구절초 꽃 추출물의 Nitric Oxide 생성과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발현 억제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685-1690, 2009
10 김희연, "강원도 자생 산채 추출물의 α-Amylase, α-Glucosidase, Lipase 효소 저해활성 탐색"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308-315, 2011
11 Eum MA.,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otato extracts" 12 : 478-483, 1999
12 ShinhaHan, "The Effect of Linarin on LPS-Induced Cytokine Production and Nitric Oxide Inhibition in Murine Macrophages Cell Line RAW264.7" 대한약학회 25 (25): 170-177, 2002
13 Westerterp-Plantenga MS., "Sensory and gastrointestinal satiety effects of capsaicin on food intake" 29 : 682-688, 2005
14 Ramos A., "Screening of antimutagenicity via antioxidant activity in Cuban medicinal plants" 87 : 241-246, 2003
15 Kim SJ., "Protective effect of linarin against D-galactosamine and lipopolysaccharide-induced fulminant hepatic failure" 738 : 66-73, 2014
16 서지연, "Protection by Chrysanthemum zawadskii extract from liver damage of mice caused by carbon tetrachloride is maybe mediated by modulation of QR activity" 한국영양학회 4 (4): 93-98, 2010
17 Azuma K., "Phenolic antioxidants from the leaves of Corchorus olitorius L" 47 : 3963-3966, 1999
18 김도현, "Orlistat 복용과 관련된 급성 담즙정체성 간염 유발 증례" 대한간학회 8 (8): 317-320, 2002
19 Lou H., "Neuroprotective effects of linarin through activation of the PI3K/Akt pathway in amyloid-β-induced neuronal cell death" 19 : 4021-4027, 2011
20 Li J., "Linarin promotes osteogenic differentiation by activating the BMP-2/RUNX2pathway via protein kinase A signaling" 37 : 901-910, 2016
21 Feng X., "Linarin inhibits the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in-vitro and ex-vivo" 14 : 949-954, 2015
22 Hadvay P., "Inhibition of pancreatic lipase in vitro by the covalent inhibitor tetrahydrolipstatin" 256 : 357-361, 1988
23 Pi-Sunyer FX, "Health implications of obesity" 53 : 15955-16035, 1991
24 Asano N, "Glycosidase inhibitors : update and perspectives on practical use" 13 : 93-104, 2003
25 Mattes RD., "Effects of(-)-hydroxycitric acid on appetitive variables" 71 : 87-94, 2000
26 Re R.,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26 : 1231-1237, 1999
27 Jang DS., "Antibacterial substances of the flower of Chrysanthemum zawadskii Herbich var. latilobum Kitamura" 40 : 85-88, 1997
28 Leung L., "Anti-diabetic and hypoglycaemic effects of Momordica charantia(bitter melon) : a mini review" 102 : 1703-1708, 2009
29 Folin O., "A colorimetr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phenols(and phenol derivatives)in urine" 22 : 305-308, 1915
상지추출물의 단회/반복투여 독성 및 복귀돌연변이능 평가
감귤 콤부차 발효액의 인체 방광암세포에 대한 성장억제와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
품종별 발아 콩(Glycine max)의 아이소플라본 조성 및 In Vitro 에스트로겐 유사활성
과열증기 처리에 따른 마늘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품질 특성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
2014-06-2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2014-04-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3 | 1.03 | 1.1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8 | 1.2 | 1.993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