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analysed Guwen movement that has been studied as a literary thought in terms of Rhetoric. First, Guwen movement emphasized that literary works was to clarify moral principles(道). This consciousness of 明道(Ming-dao) can be compared wit...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sed Guwen movement that has been studied as a literary thought in terms of Rhetoric. First, Guwen movement emphasized that literary works was to clarify moral principles(道). This consciousness of 明道(Ming-dao) can be compared wit...
This paper analysed Guwen movement that has been studied as a literary thought in terms of Rhetoric.
First, Guwen movement emphasized that literary works was to clarify moral principles(道). This consciousness of 明道(Ming-dao) can be compared with the logos that prove the thesis of speech in Rhetoric. 明道 and logos lead the central context in literary works and reach the goals of edification and persuasion respectively. The elements have something in common. However, the difference is that logos pursues logical words and 明道 pursues moral words, Rhetoric seeks to speak well in speech and Guwen movement seeks good words in literary works .
Guwen movement also asserted the necessity of 'moral discipline' in terms of internal manifestations. This is a view of identifying literary works with a person and can be connected with ethos, which refers to the speaker's character in Rhetoric. In Rhetoric,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speech and ethos is not as close as that of literary works and moral discipline in Guwen movement. In Guwen movement, the author's level of discipline and the quality of the sentence are the same, but in Rhetoric, the speaker's Ethos and speech quality are not necessarily identical.
Guwen movement embodied the criticism of reality in literary works. It played an active role for social edification with the consciousness of '不平則鳴', which makes a sound if it is unstable. The criticism of reality in Guwen movement are in line with fathos, which appeals to the emotions of the audience in Rhetoric seeks to change readers and audiences. The difference is that the criticism reality in Guwen movement seeks change based on morality, whereas the pathos in Rhetoric focus on change itself rather than morality.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정희, "한유 고문운동의 문화적 지향성 연구" 중국어문연구회 (31) : 179-201, 2006
2 김장환, "중국의 명문장 감상" 한국학술정보 2011
3 김학주, "중국문학사" 신아사 2000
4 양태종, "수사학이 있다-수사학의 이해" 유로 2002
5 박성창, "수사학" 문학과지성사 2000
6 미셀 메이에르, "수사의 문제―언어·이성·유혹" 고려대학교출판부 2012
7 김월회, "말 닦기와 뜻 세우기[수사입기성](1)―고대 중국인의 수사담론과 그 저변"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43) : 2005
8 김헌, "레토리케는 수사학(修辭學)인가?" 철학문화연구소 (61) : 2004
9 송미령, "공자의 수사관(修辭觀) 고찰- 『논어』를 중심으로" 한국수사학회 (24) : 147-162, 2015
10 만프레트 푸어만, "고대수사학" 시와 진실 2012
1 황정희, "한유 고문운동의 문화적 지향성 연구" 중국어문연구회 (31) : 179-201, 2006
2 김장환, "중국의 명문장 감상" 한국학술정보 2011
3 김학주, "중국문학사" 신아사 2000
4 양태종, "수사학이 있다-수사학의 이해" 유로 2002
5 박성창, "수사학" 문학과지성사 2000
6 미셀 메이에르, "수사의 문제―언어·이성·유혹" 고려대학교출판부 2012
7 김월회, "말 닦기와 뜻 세우기[수사입기성](1)―고대 중국인의 수사담론과 그 저변"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43) : 2005
8 김헌, "레토리케는 수사학(修辭學)인가?" 철학문화연구소 (61) : 2004
9 송미령, "공자의 수사관(修辭觀) 고찰- 『논어』를 중심으로" 한국수사학회 (24) : 147-162, 2015
10 만프레트 푸어만, "고대수사학" 시와 진실 2012
11 이주해, "雜文과 唐代 古文運動과의 관계" 중국어문학연구회 (26) : 619-638, 2004
12 錢冬父, "唐宋古文運動" 학고방 2009
13 조은상, "唐代 고문운동 집단에 관한 再토론" 한국중국학회 49 : 119-136, 2004
14 조은상, "唐代 古文運動과 唐傳奇의 관계에 대한 再論" 중국어문학회 (19) : 85-109, 2005
15 서윤석, "唐 韓愈와 朝鮮 正祖의 ‘文論’에 대한 考察- 古文運動과 文體醇正을 중심으로 -" 중국인문학회 (40) : 351-370, 2008
16 남철진, "古文運動 先驅者들의 功利的 文學觀 小考" 중국어문학연구회 (34) : 365-383, 2005
明·淸시기 4종 古詩選集에 나타난 漢代 詩歌 비교 분석 ― 『古詩紀』와 『采菽堂古詩選』·『古詩源』·『古詩賞析』을 중심으로
빅데이터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국내 중국어 교육 관련 학위 논문 동향 분석 ― 2000-2019년까지 20년간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4 | 0.24 | 0.2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9 | 0.19 | 0.477 | 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