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환보, "한국의 세계시민교육 연구동향 분석" 한국교육학회 54 (54): 197-227, 2016
2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3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4 최미란, "역량 기반 교육과정 실천 : 함께해서 즐거운 세계시민교육" 교육과학사 2017
5 김대성,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다문화교육 내용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초·중등 도덕·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대학원 2016
6 조지민, "세계시민교육의 측정 지표 개발 및 국제적 확산 지원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7 UNESCO, "세계시민교육 : 학습주제 및 학습 목표"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2015
8 한경구, "새로운 교육과정에 담은 세계시민교육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맞춤 교수학습 가이드"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2017
9 김경은, "사회과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 - 세계적 문제에 대한 민감성 함양을 중심으로 -" 교과교육연구소 16 (16): 231-256, 2012
10 김진희, "다문화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의 이론과 쟁점" 박영스토리 2019
1 박환보, "한국의 세계시민교육 연구동향 분석" 한국교육학회 54 (54): 197-227, 2016
2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3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4 최미란, "역량 기반 교육과정 실천 : 함께해서 즐거운 세계시민교육" 교육과학사 2017
5 김대성,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다문화교육 내용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초·중등 도덕·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대학원 2016
6 조지민, "세계시민교육의 측정 지표 개발 및 국제적 확산 지원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7 UNESCO, "세계시민교육 : 학습주제 및 학습 목표"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2015
8 한경구, "새로운 교육과정에 담은 세계시민교육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맞춤 교수학습 가이드"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2017
9 김경은, "사회과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 - 세계적 문제에 대한 민감성 함양을 중심으로 -" 교과교육연구소 16 (16): 231-256, 2012
10 김진희, "다문화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의 이론과 쟁점" 박영스토리 2019
11 김진희, "다문화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의 담론과 함의 고찰" 한국교육개발원 40 (40): 155-181, 2013
12 Banks, J. A., "다문화교육 입문" 아카데미프레스 2010
13 Bennet, C. I., "다문화교육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1
14 권오현, "다문화 교육의 이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15 Banks, J. A., "다문화 교육 : 현안과 전망" 박학사 2011
16 김진희, "글로벌 시대의 세계시민교육 : 이론과 실제" 박영스토리 2017
17 원진숙, "글로벌 시대의 다문화교육" 사회평론 2010
18 현은자, "그림책을 활용한 세계시민교육" 학지사 2017
19 최미숙, "국어 교육의 이해 : 국어교육의 미래를 모색하는 열여섯 가지 이야기" ㈜사회평론 2009
20 김현경,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세계시민되기’ 수업 사례 연구 -2015 개정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0 (50): 77-97, 2018
21 교과서, "고등학교 지구촌과 함께 하는 세계시민" (주)와이비엠 2017
22 한경구, "SDGs 시대의 세계시민교육 추진 방안"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2015
23 부산광역시교육청, "2019 세계시민교육 실천 사례집"
24 모경환,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 내용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0 (50): 29-51, 2018
25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질의·응답 자료"
26 이소연, "2009와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 내용요소 비교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9 (49): 79-103,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