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다문화사회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국어과 교수-학습 방안 =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176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ulti-cultural Society and Education Studies 5, 1-31. This paper aims to develop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Since the 1990s, Korea has rapidly changed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By establishing a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it helped to adapt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school. Korea's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does not provide general education for multicultural understanding. It has many things in common betwee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ontains many elements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an be found in the nature of Korean language subjects. Therefore, it is proposed to apply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multicultural society understanding education. We expect tha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ill cultivate multicultural sensitivity.
      번역하기

      Multi-cultural Society and Education Studies 5, 1-31. This paper aims to develop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Since the 1990s, Korea has rapidly changed into a multicultural so...

      Multi-cultural Society and Education Studies 5, 1-31. This paper aims to develop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Since the 1990s, Korea has rapidly changed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By establishing a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it helped to adapt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school. Korea's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does not provide general education for multicultural understanding. It has many things in common betwee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ontains many elements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an be found in the nature of Korean language subjects. Therefore, it is proposed to apply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multicultural society understanding education. We expect tha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ill cultivate multicultural sensitiv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환보, "한국의 세계시민교육 연구동향 분석" 한국교육학회 54 (54): 197-227, 2016

      2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3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4 최미란, "역량 기반 교육과정 실천 : 함께해서 즐거운 세계시민교육" 교육과학사 2017

      5 김대성,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다문화교육 내용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초·중등 도덕·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대학원 2016

      6 조지민, "세계시민교육의 측정 지표 개발 및 국제적 확산 지원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7 UNESCO, "세계시민교육 : 학습주제 및 학습 목표"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2015

      8 한경구, "새로운 교육과정에 담은 세계시민교육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맞춤 교수학습 가이드"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2017

      9 김경은, "사회과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 - 세계적 문제에 대한 민감성 함양을 중심으로 -" 교과교육연구소 16 (16): 231-256, 2012

      10 김진희, "다문화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의 이론과 쟁점" 박영스토리 2019

      1 박환보, "한국의 세계시민교육 연구동향 분석" 한국교육학회 54 (54): 197-227, 2016

      2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3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4 최미란, "역량 기반 교육과정 실천 : 함께해서 즐거운 세계시민교육" 교육과학사 2017

      5 김대성,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다문화교육 내용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초·중등 도덕·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대학원 2016

      6 조지민, "세계시민교육의 측정 지표 개발 및 국제적 확산 지원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7 UNESCO, "세계시민교육 : 학습주제 및 학습 목표"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2015

      8 한경구, "새로운 교육과정에 담은 세계시민교육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맞춤 교수학습 가이드"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2017

      9 김경은, "사회과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 - 세계적 문제에 대한 민감성 함양을 중심으로 -" 교과교육연구소 16 (16): 231-256, 2012

      10 김진희, "다문화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의 이론과 쟁점" 박영스토리 2019

      11 김진희, "다문화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의 담론과 함의 고찰" 한국교육개발원 40 (40): 155-181, 2013

      12 Banks, J. A., "다문화교육 입문" 아카데미프레스 2010

      13 Bennet, C. I., "다문화교육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1

      14 권오현, "다문화 교육의 이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15 Banks, J. A., "다문화 교육 : 현안과 전망" 박학사 2011

      16 김진희, "글로벌 시대의 세계시민교육 : 이론과 실제" 박영스토리 2017

      17 원진숙, "글로벌 시대의 다문화교육" 사회평론 2010

      18 현은자, "그림책을 활용한 세계시민교육" 학지사 2017

      19 최미숙, "국어 교육의 이해 : 국어교육의 미래를 모색하는 열여섯 가지 이야기" ㈜사회평론 2009

      20 김현경,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세계시민되기’ 수업 사례 연구 -2015 개정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0 (50): 77-97, 2018

      21 교과서, "고등학교 지구촌과 함께 하는 세계시민" (주)와이비엠 2017

      22 한경구, "SDGs 시대의 세계시민교육 추진 방안"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2015

      23 부산광역시교육청, "2019 세계시민교육 실천 사례집"

      24 모경환,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 내용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0 (50): 29-51, 2018

      25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질의·응답 자료"

      26 이소연, "2009와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 내용요소 비교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9 (49): 79-103,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4-07-31 학회명변경 한글명 : 비교문화연구소 -> 다문화연구소
      영문명 : Institute for cross-cultural studies -> Institute for multicultural studies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