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sire as a fact of Hyangrang(香娘) is a virtuous woman’s desire as well as a desire to death. And the desire as a fiction is a desire for life and hope for marriage with a good man. Kim, Sohaeng(金紹行) showed through the narrative of Samh...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619740
2020
-
삼한습유 ; 삼한의열녀전 ; 향랑 ; 욕망 ; 논쟁 ; 전쟁 ; 권력장 ; Samhanseupyu ; Samhanuiyeollyeojeon ; Hangrang ; desire ; debate ; battle ; power sphere
800
KCI등재
학술저널
215-243(2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esire as a fact of Hyangrang(香娘) is a virtuous woman’s desire as well as a desire to death. And the desire as a fiction is a desire for life and hope for marriage with a good man. Kim, Sohaeng(金紹行) showed through the narrative of Samh...
The desire as a fact of Hyangrang(香娘) is a virtuous woman’s desire as well as a desire to death. And the desire as a fiction is a desire for life and hope for marriage with a good man. Kim, Sohaeng(金紹行) showed through the narrative of SamhanuiyeolnyeoJeon(三韓義烈女傳) to realize the desire of Hyangrang and for her desire needed both the battle and debate in the Heaven throughly. A suicide is a universal taboo in society. Paradoxically, a virtuous woman had to break this taboo to be a true faithful woman. Hyangrang died more than a hundred years ago when Kim, Sohaeng created Samhanuiyeollyeojeon.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of Joseon, Hyangrang continually had been called literally and had been an icon that encouraged the social death of ‘the becoming a virtuous woman’ to ordinary class women.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인숙, "조선후기 열녀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2 이상길, "문화생산과 지배–피에르 부르디외의 ‘장 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9 : 7-46, 2000
3 서신혜, "김소행의 글쓰기 방식과 삼한습유" 박이정 2004
4 장효현, "韓國古典小說史硏究" 고려대학교출판부 381-404, 2002
5 박일용, "三韓拾遺를 통해서 본 金紹行의 작가의식" 42 : 146-170, 1986
6 김유진, "『三韓義烈女傳』의 창작방법 연구" 서울대학교 2016
7 정출헌, "「향랑전」을 통해 본 열녀 탄생의 메카니즘"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 : 127-163, 2001
8 최지녀, "‘香娘’을 형상화하는 두 가지 방식 -향랑전과 향랑전설" 국문학회 (19) : 255-284, 2009
9 김정녀, "<삼한습유(三韓拾遺)>에 나타난 예(禮)에 관한 논쟁과 그 의미" 국어국문학회 (137) : 299-325, 2004
10 徐信惠, "<三韓拾遺>에서 貞義女 이야기를 어떻게 볼 것인가" 한국언어문화학회 22 : 175-196, 2002
1 홍인숙, "조선후기 열녀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2 이상길, "문화생산과 지배–피에르 부르디외의 ‘장 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9 : 7-46, 2000
3 서신혜, "김소행의 글쓰기 방식과 삼한습유" 박이정 2004
4 장효현, "韓國古典小說史硏究" 고려대학교출판부 381-404, 2002
5 박일용, "三韓拾遺를 통해서 본 金紹行의 작가의식" 42 : 146-170, 1986
6 김유진, "『三韓義烈女傳』의 창작방법 연구" 서울대학교 2016
7 정출헌, "「향랑전」을 통해 본 열녀 탄생의 메카니즘"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 : 127-163, 2001
8 최지녀, "‘香娘’을 형상화하는 두 가지 방식 -향랑전과 향랑전설" 국문학회 (19) : 255-284, 2009
9 김정녀, "<삼한습유(三韓拾遺)>에 나타난 예(禮)에 관한 논쟁과 그 의미" 국어국문학회 (137) : 299-325, 2004
10 徐信惠, "<三韓拾遺>에서 貞義女 이야기를 어떻게 볼 것인가" 한국언어문화학회 22 : 175-196, 2002
11 이기대, "19세기 조선의 소설가와 한문장편소설" 집문당 2010
12 조혜란, "19세기 서얼 지식인의 대안적 글쓰기, 삼한습유" 소명출판 2011
송호(松湖) 백진남(白振南)의 시세계(詩世界) 연구(硏究)
동리(東里) 이은상(李殷相) 한시(漢詩) 연구(硏究) -이정귀 가계문학의 특성과 차이를 중심으로-
담녕(澹寧) 홍의호(洪義浩)의 연행(燕行)에 관한 연구
둔헌(遯軒) 임병찬(林炳瓚)의 불굴(不屈)의 의기(義氣)와 낙관(樂觀)의 시세계(詩世界)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9-07-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근역한문학회(槿域漢文學會) -> 근역한문학회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5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7 | 0.53 | 1.005 | 0.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