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리더십코칭의 이론적 개념과 연구과제 = A study on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 of leadership coach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768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직의 인재 육성을 위한 방법론으로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코칭(coaching)은 이론보다 실무가 더 빠르게 앞서가는 분야라 할 수 있다. 조직 내 코칭이나 외부 코치에 의한 경영자 코칭 등 코칭을 조직에 적용하는 실행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고, 다양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기업에서는 리더십 개발을 위한 리더십 코칭을 통합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코칭 수요가 크게 확대되고 코치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비해 코칭의 개념과 프로세스, 이론적 모델, 효과성 검증 등에 대한 엄밀한 학문적 정립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아직 시작단계에 불과한 코칭의 이론화 작업을 향후 본격적으로 전진시키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지금까지의 문헌 연구 및 코칭의 현황 파악을 통해 코칭의 정의 및 접근법을 정리하였다. 또한 카운슬링이나 컨설팅, 멘토링과 같은 인접 분야와 코칭의 차별성을 개념적으로 정립하였으며, 코칭의 종류를 각 분류 기준에 따라서 개념적으로 분류하는 등 개념적인 정립을 시도하였다.
      또한 향후 코칭 연구의 발전을 위한 연구 과제를 크게 네 가지 분야로 제시하였다. 즉 코치 요인에 관한 연구, 코칭 효과성의 검증에 관한 연구, 상황 요인에 관한 연구, 코칭 대상자 요인에 관한 연구로 나누어 제안하였으며, 각각의 분야에 대해 연구 질문들을 작성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실무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리더십 코칭이 향후 더욱 체계적으로 발전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조직의 인재 육성을 위한 방법론으로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코칭(coaching)은 이론보다 실무가 더 빠르게 앞서가는 분야라 할 수 있다. 조직 내 코칭이나 외부 코치에 의한 경영자 코칭 등 코...

      조직의 인재 육성을 위한 방법론으로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코칭(coaching)은 이론보다 실무가 더 빠르게 앞서가는 분야라 할 수 있다. 조직 내 코칭이나 외부 코치에 의한 경영자 코칭 등 코칭을 조직에 적용하는 실행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고, 다양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기업에서는 리더십 개발을 위한 리더십 코칭을 통합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코칭 수요가 크게 확대되고 코치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비해 코칭의 개념과 프로세스, 이론적 모델, 효과성 검증 등에 대한 엄밀한 학문적 정립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아직 시작단계에 불과한 코칭의 이론화 작업을 향후 본격적으로 전진시키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지금까지의 문헌 연구 및 코칭의 현황 파악을 통해 코칭의 정의 및 접근법을 정리하였다. 또한 카운슬링이나 컨설팅, 멘토링과 같은 인접 분야와 코칭의 차별성을 개념적으로 정립하였으며, 코칭의 종류를 각 분류 기준에 따라서 개념적으로 분류하는 등 개념적인 정립을 시도하였다.
      또한 향후 코칭 연구의 발전을 위한 연구 과제를 크게 네 가지 분야로 제시하였다. 즉 코치 요인에 관한 연구, 코칭 효과성의 검증에 관한 연구, 상황 요인에 관한 연구, 코칭 대상자 요인에 관한 연구로 나누어 제안하였으며, 각각의 분야에 대해 연구 질문들을 작성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실무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리더십 코칭이 향후 더욱 체계적으로 발전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ile we see the fast growth and expansion of coaching practice in the real world, the scientific research on this area fell into arrear. This imbalance between coaching practices and theoretical study comes into strong request for coaching research.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conceptualize the coaching which includes definition of coaching and the key distinction among coaching and other areas like counseling, consulting and mentoring. It also discusses the process and methodology of coaching approach. This work is based on both reviewing literatures and understanding the past and current situation of coaching.
      Here we address the direction of further studies on coaching in four areas; research focused on coaches' factor, verification of coaching effectiveness, clients' factors, and situational factors like organizational support, context of coaching and so on.
      This study intend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leadership coaching in academic aspects, which provides various meaning in business practices.
      번역하기

      While we see the fast growth and expansion of coaching practice in the real world, the scientific research on this area fell into arrear. This imbalance between coaching practices and theoretical study comes into strong request for coaching research. ...

      While we see the fast growth and expansion of coaching practice in the real world, the scientific research on this area fell into arrear. This imbalance between coaching practices and theoretical study comes into strong request for coaching research.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conceptualize the coaching which includes definition of coaching and the key distinction among coaching and other areas like counseling, consulting and mentoring. It also discusses the process and methodology of coaching approach. This work is based on both reviewing literatures and understanding the past and current situation of coaching.
      Here we address the direction of further studies on coaching in four areas; research focused on coaches' factor, verification of coaching effectiveness, clients' factors, and situational factors like organizational support, context of coaching and so on.
      This study intend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leadership coaching in academic aspects, which provides various meaning in business practic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Ⅰ. 서론
      • Ⅱ. 코칭의 개념
      • Ⅳ. 코칭에 대한 연구 현황
      • Ⅴ. 결론 및 향후 연구 과제
      • <초록>
      • Ⅰ. 서론
      • Ⅱ. 코칭의 개념
      • Ⅳ. 코칭에 대한 연구 현황
      • Ⅴ. 결론 및 향후 연구 과제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수, "한국형 코칭" 학지사 2008

      2 김현수, "한국형 리더십코칭의 스킬" 31-42, 2007

      3 이희경, "코칭입문" 교보문고 2005

      4 스티븐 스토웰, "윈 윈 파트너십" 21세기북스 2002

      5 "국제코칭연맹 (International Coaching Federation)"

      6 Wright, J., "Workplace coaching: What's it all about?" 24 (24): 325-328, 2005

      7 Kilburg, R. R., "Toward a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executive coaching" 48 (48): 134-144, 1996

      8 Sue-Chan, C.,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external, peer, and self-coaches" 53 (53): 260-278, 2004

      9 Morgan, H., "The art and practice of leadership coaching" John Wiley & Sons, Inc 2005

      10 Peterson, D. B., "The art and practice of executive coaching" 1999

      1 김현수, "한국형 코칭" 학지사 2008

      2 김현수, "한국형 리더십코칭의 스킬" 31-42, 2007

      3 이희경, "코칭입문" 교보문고 2005

      4 스티븐 스토웰, "윈 윈 파트너십" 21세기북스 2002

      5 "국제코칭연맹 (International Coaching Federation)"

      6 Wright, J., "Workplace coaching: What's it all about?" 24 (24): 325-328, 2005

      7 Kilburg, R. R., "Toward a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executive coaching" 48 (48): 134-144, 1996

      8 Sue-Chan, C.,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external, peer, and self-coaches" 53 (53): 260-278, 2004

      9 Morgan, H., "The art and practice of leadership coaching" John Wiley & Sons, Inc 2005

      10 Peterson, D. B., "The art and practice of executive coaching" 1999

      11 Treur, K. A. D., "The Benefits of Coaching for Employees and Organizations" Vrije Universiteitna

      12 Parker, P., "Peer coaching: a realational process for accelerating career learning" 7 (7): 487-503, 2008

      13 Peterson, D. B., "Invited reaction: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an instrumen measuring managerial coaching skill" 16 (16): 179-184, 2005

      14 국제코칭연맹, "International Coaching Federation 컨퍼런스"

      15 국제코칭연맹, "International Coaching Federation 컨퍼런스"

      16 Mullen, E. J., "Framing the mentoring relationship as an information exchange" 4 (4): 257-281, 1994

      17 Peterson, D. B., "Executive coaching at work: The art of one-on-one change" 48 : 78-86, 1996

      18 Leimon, A., "Essential Business Coaching" Routledge. Taylor & Francis Group 2006

      19 McLean, G. N.,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an instrument measuring coaching skill" 16 (16): 157-178, 2005

      20 Whitworth, L., "Co-Active Coaching" Intl Book Network 2007

      21 Noer, D. M., "An analysis Saudi Arabian and U.S. managerial coaching behaviors" 22 (22): 271-287,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Academy Of Leadership -> Korean Academy of Leadership KCI등재
      2019-01-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Leadership Quarterly -> The Korean Leadership Review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5 0.955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