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장소적 특성을 반영한 도시 공공공간계획 연구 : 충주시 충주천 재래시장 구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lanning of the Urban Public Spac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Site : Focused on the Old Market Sector Around the Chung-Ju River in Chung-J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5902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건축의 흐름은 모더니즘의 부작용으로 인해 인간소외현상, 정체성의 상실, 획일성 등이 나타났으며, 이를 전면적으로 부인하거나 재해석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들이 건축의 제 분야에...

      현대건축의 흐름은 모더니즘의 부작용으로 인해 인간소외현상, 정체성의 상실, 획일성 등이 나타났으며, 이를 전면적으로 부인하거나 재해석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들이 건축의 제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이것은 혼재되고 다원적인 경향을 보이는 이른바 다원주의적인 건축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21세기를 맞이하면서 환경문제와 에너지 및 자원의 위기, 인간성의 상실 등으로 인해 이성적 사고에서 벗어나 환경과 인간 중심적인 패러다임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를 수용할 수 있는 건축 흐름이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이 환경 중심적 사고와 인간의 정체성 확립이라는 측면은 건축이 장소를 떠나 존재할 수 없다는 점에서 장소성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장소성은 장소의 고유한 지역의 성질과 건축, 인간과의 조화를 위해 건물이나 경관의 모든 부분들이 각각의 Identity를 잃지 않으면서 기존의 맥락과 조화를 위해 장소의 의미를 부여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곧 건축의 본질적 의미를 회복하기 위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도시 공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60년대 이후 도시의 공공공간을 다시 재건하고 과거의 도시공간구조를 부활하려는 시도가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시도들은 그 다양한 양상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일관된 논리와 질서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 그것은 도시를 미학적 구성 대상으로 보고 도시공간의 연속성과 시각적 다양성 그리고 도시공간의 ‘공공성의 회복’이라는 전제를 가진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도시공간의 ‘공공성 회복’이라는 관점에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심재개발, 도시설계 등의 법적, 제도적 장치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도시 공공영역의 양적확대를 시도해 왔으나, 무분별한 양적 확대로 인해 공공공간의 연계성 부족, 질적인 저하 등의 문제점이 야기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 원인은 사람들이 다니고 활동하기 위한 공간의 기능 ‘부족’의 문제, 또한 이러한 기능을 담을 잠재력을 지닌 많은 공간이 ‘닫힌 공간’ 또는 ‘잘린 공간’인 상태로 방치되고 있는 문제 등이 더욱 심각하고 중요한 도시 공간 문제로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장소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그 특징을 분석하고, 장소성의 특징인 중심성, 방향성, 영역성, 연속성에 대한 정립과 작품분석을 통해 1990년대 이후에 현대건축에서 나타나는 장소적 특성의 변화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현대건축에서 나타나는 장소적 특성 중 4가지 요소인 연속성·방향성과 축, 형태·공간의 연속성, 경계의 해체·추상화, 과거의 재해석을 사례조사를 통한 분석과 공공공간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장소적 특성을 반영한 도시 공공공간을 계획 해보았다.
      그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축은 공간의 시각적 인지과정을 용이하게 하고, 공간의 질서와 위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길이와 방향성을 갖게 되므로 운동과 조망이 유도되어 다양한 방법으로 시선과 동선을 유도하고, 이러한 축의 적용은 주변맥락과 대지의 물리적, 문화적, 역사적 속성에 의해 표현된다.
      ■ 공간에 있어서 내부공간은 외부공간과 서로 관계를 맺고, 공간의 확장과 확산이 일어나 서로 중첩되고 상호침투 및 관입하여 새로운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주변맥락에 의한 은유 및 상징은 장소에서 인지되는 이미지의 상징이며 관념화이다.
      ■ 내·외부공간을 각각의 개체가 아닌 하나의 연속체로 인식하여 하나의 층 자체가 다른 층으로 휘어지고 갈라지면서 이질적인 프로그램이 밀착되어 프로그램의 경계가 사라지고 모호해 지거나, 통로와 같은 동선공간이 주 기능공간과 대등하게 위치하는 동선의 공간화가 나타난다.
      ■ 장소의 물리적, 인문적 재해석을 통해 역사적 사건, 공간의 기능, 자연적 위치들은 추상화 하여 표현한다. 즉, 시간적 연속성의 특성을 가지고 주변과의 환경적·성격적 맥락을 해석하여 장소적 이미지를 표현한다.
      계획안에 있어서 현재 새로운 도시 공공공간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시대적 흐름과 장소적 특성을 고려하여 계획대지를 선정하였다. 현대도시의 삶을 묘사하는 무관심, 개인화, 이웃의 약화, 공동체 해체 등에서 벗어나 도시의 활력을 불어넣고, 그 속에 사람들을 끌어들이며, 그 속에서 사람들은 만남과 접촉에 의해 이야기를 만들어 내고 주변 컨텍스트가 어우러져 만들어내는 도시 공공공간을 계획함으로써 그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적용하여 계획안에 나타난 내용과 의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계획대지에 나타나는 2가지의 축- 충주천 흐름과 도시의 다양한 흐름(Urban Pattern)을 이용하여 Mass를 배치 계획하였다.
      ■ 충주천에서부터 건물의 지붕까지 이어지는 동선의 흐름으로 하천과의 단절되고 단순한 관계에서 복합적인 성격으로 변하면서 하천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다양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도시에 쇠퇴되어가고 있는 재래시장에 전시, 교육, 휴게 등의 여러가지 요소를 삽입하여 다양한 공간체험이 가능하도록 계획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ntemporary architecture has seen alienation of human beings, loss of identity, and uniformity as the side effects of modernism. And, accordingly, various attempts to fully deny of reinterpret these have appeared in different fields of architecture,...

      Contemporary architecture has seen alienation of human beings, loss of identity, and uniformity as the side effects of modernism.
      And, accordingly, various attempts to fully deny of reinterpret these have appeared in different fields of architecture, which show chaotic and pluralistic architectural tendency.
      As the 21st century begins, human-oriented and environment-oriented paradigm that is rather anti-rationalistic appeared in the backlash after all the environment, resources and humanity problems. And architecture is now expected to accommodate these tendencies.
      Environment-oriented thinking and establishment of human identity are closely related to placeness in that architecture can't be separated from place.
      Placeness could be a means to restore the essential meaning of architecture, since it gives meanings to places for the harmony with existing context while not losing individual identity of each building or landscape, to harmonize with authentic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architecture and human beings.
      To solve the problems of city space, the attempts to reconstruct public space of city again and revive city space structure of past have been developed actively since 60s.
      These attempts can be seen to have consistent logic & order comparatively despite of various aspects, and it's that there's major premise of closed continuance, visual diversity and 'Restoration of public service' of city space viewing city as an aesthetic constitution object.
      In our country, at the viewpoint of 'Restoration of public service' of city space, quantitative expansion of city public domain has been tried continually through legal & institutional devices like downtown redevelopment & city planning to solve the problems, however, the problems like connection shortage of public space and qualitative deterioration were caused by indiscreet quantitative expansion.
      The causes of these problems are function 'shortage' of space for people's passage & activity and much languished space having potential to contain these functions as 'Closed Space' of 'Cut Space', and these have to be recognized as more serious & important problems of city space.
      With this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d the theories on locational features, analyzed their characteristics, and inquired into the changes of locational features of modern architecture since the 1990s by defining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centeredness, direction, territory, and continuity, and by analyzing works.
      As a result, urban public space reflecting the locational features was planned through the analysis of examples of and through theoretical studies on public space of four elements among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modern architecture, that is, continuity · direction axis, the continuation of forms · space, deconstruction · abstraction of boundary, and reinterpretation of the pa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 Axis makes optical recognition of space easy, show spatial order and hierarchy and induces sights and circulation as it has length and direction and therefore creates movements and views. These axes represent the surrounding context and the physical, cultural and historical properties of the place.
      ■ As for space, inner and outer spaces relate to each other and space is expanded and diffused, then they overlap, infiltrate and penetrate to consequently form a new space. Metaphor and symbol based on surrounding context are the symbol of image perceived in the place.
      ■ Inner and outer spaces are not recognized as individuals, but as a continuous whole. While a floor tilts and splits into another, different programs are welded together and boundaries among programs grow vague and even disappear, or the flow of visitors is actually shaped into a space; space for circulation such as a passage comes to stand equally with main space for function.
      ■ Historical event, functions of space and location of the site are shown abstractly through physical and cultural reinterpretation. In other words, images of the place are presented by translating surrounding environmental contex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ime continuity.
      In the blueprint, the planned ground was selected by taking the current of the times with increasing need for new urban public space and locational features into account. The possibility was examined by planning an urban public space which revitalizes cities and attracts people into it, in which people create their own stories through encounters and contacts, and which is formed by the harmony of surrounding contexts, overcoming the disinterest, individualization, weakened neighborhood, and disorganized communities, which are the expressions describing modern cities.
      The contents and significance expressed in the blueprint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by applying the analysis results from this research.
      ■ The arrangement of Mass was planed by making use of the two axes of the planned ground - the stream of the Chung-ju river and various urban patterns.
      ■ With the flow of line from the Chung-ju river to the roofs of building, diversity in the ways to use the river was to be kept, changing from the relationship simple and disconnected from the creek to a more complex relationship.
      ■ A plan was devised so that various elements, such as display, education, and break, were added to the declining old markets in the city, and therefore that people can experience the space in different ways.
      ■ Some vacant room was intentionally set up at some intervals among the buildings in the market, blocking the Chung-ju river, so that they could be used for the citizens and that different programs there could help them recover their lost memories having vanished from their daily lives. The vacant room secured the continuity of the exterior and the interior, and maximized the unification of the space by pulling the surrounding scenery into the inside.
      ■ Two-floored, connected baseplate was desi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1
      • 1.1 연구 배경 및 목적 =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 2. 장소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 5
      • 2.1 장소성의 개념 = 5
      • 1. 서론 = 1
      • 1.1 연구 배경 및 목적 =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 2. 장소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 5
      • 2.1 장소성의 개념 = 5
      • 2.2 장소성의 특성 = 6
      • 2.2.1 중심성 = 7
      • 2.2.2 방향성 = 10
      • 2.2.3 연속성 = 11
      • 2.2.4 영역성 = 13
      • 2.3 현대건축에서 장소적 특성 = 16
      • 2.3.1 장소적 특성의 의미변화 = 16
      • 2.3.2 사례를 통한 표현 방법 분석 = 17
      • 3. 공공공간에 관한 이론적 고찰 = 25
      • 3.1 공공공간의 개념 = 25
      • 3.2 공공공간의 필요성 = 26
      • 3.3 공공공간의 유형 = 27
      • 3.3.1 광장 = 27
      • 3.3.2 공원 = 28
      • 3.3.3 가로 = 29
      • 3.3.4 건축물 = 30
      • 4. 충주천의 장소적 특성 분석 = 31
      • 4.1 충주시 변천과정 = 31
      • 4.2 충주천 지역현황 = 32
      • 4.2.1 일반현황 = 32
      • 4.2.2 주변현황 = 33
      • 4.3 충주 재래시장 역사 = 39
      • 4.3.1 무학시장 변천과정 = 39
      • 4.3.2 공설시장 변천과정 = 39
      • 4.4 재래시장 구간(2구간) 장소적 특성 분석 = 41
      • 4.4.1 SITE 장소적 특성 분석 = 41
      • 5. 계획안 = 46
      • 5.1 대지분석 = 46
      • 5.1.1 대지선정 = 46
      • 5.1.2 역사적 측면 = 49
      • 5.1.3 도시맥락적 측면 = 50
      • 5.2 계획의 기본 개념 = 52
      • 5.2.1 연속성·방향성과 축 = 53
      • 5.2.2 형태·공간의 연속성 = 54
      • 5.2.3 영역성과 경계 해체 = 55
      • 5.2.4 과거의 재해석 = 56
      • 5.3 건축계획 = 57
      • 5.3.1 배치계획 = 57
      • 5.3.2 공간 프로그램 = 60
      • 5.3.3 동선 계획 = 61
      • 5.4 계획도면 = 62
      • 6. 결론 = 72
      • 참고문헌 = 76
      • Abstract = 7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