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우주 군사력 : 한국 안보에 관한 시사점 = Space Military Power in the Asia Pacific: Implications for Korean Peninsula Securit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주 군사력이란 “국가안보를 비롯한 주요 국익의 추구, 달성을 위해 우주를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는 군사적 수단과 능력”으로 규정될 수 있다. 우주에서 배치, 운용되는 군사 자...

      우주 군사력이란 “국가안보를 비롯한 주요 국익의 추구, 달성을 위해 우주를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는 군사적 수단과 능력”으로 규정될 수 있다. 우주에서 배치, 운용되는 군사 자산들은 상당수가 정보우위의 제공, 보다 효과적인 미사일 방어를 통한 전쟁 억지, 전략적 균형의 달성 등과 직결되는 임무를 수행한다. 그 결과 우주 군사력의 전략적인 중요성은 더욱 높아지는 추세다. 오늘날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여러 군사 강국들이 경쟁적으로 우주 군사력의 건설, 강화에 주력하고 있는 것도 이 점을 반영한다. 이들 가운데는 한반도의 안보 환경에 막대한 지정학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중국과 일본, 러시아도 포함되어 있다. 한국은 이들 주변 강대국에 대한 군사력의 질적 균형을 유지하고, 군사적 취약성을 극복하기 위한 기술적인 기반으로서 우주 군사력의 발전을 적극적으로 추구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pace military power can be described as “military means and capabilities to project power to achieve the control of space to pursue and accomplish major national interests, including national security.” Most space-based military assets are relate...

      Space military power can be described as “military means and capabilities to project power to achieve the control of space to pursue and accomplish major national interests, including national security.” Most space-based military assets are related to the conduct of missions for: 1) information superiority; and 2) deterrence through more effective missile defense. As a result, their strategic value will increase in current and future conflicts. The recent drive to develop space military power by Asia Pacific states reflects this tendency. China, Japan, and Russia will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ecurity environment of the Korean Peninsula. To acquire the technological basis for maintaining a qualitative balance of military power and overcoming vulnerability to these regional powers, Korea needs to actively pursue the development of its space military pow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우주와 군사력: 개념적인 고찰 Ⅲ. 역내(域內) 주요 국가들과 우주 군사력 건설 Ⅳ. 한국의 우주 군사력: 현황과 과제 Ⅴ. 결론 참고문헌
      • Ⅰ. 서론 Ⅱ. 우주와 군사력: 개념적인 고찰 Ⅲ. 역내(域內) 주요 국가들과 우주 군사력 건설 Ⅳ. 한국의 우주 군사력: 현황과 과제 Ⅴ. 결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명환, "항공우주시대 항공력 운용: 이론과 실제" 오름 2010

      2 합동군사대학교 합동전투발전부, "합동·연합작전 군사용어사전" 합동참모본부 2014

      3 이주원, "한반도 상공 도는 정찰위성 꼼짝마 … 軍 우주감시망원경 하반기 전력화"

      4 이주원, "한국형 우주발사체 고체연료 엔진 개발 길 열리나"

      5 안아람, "한국 최초 軍 전용 통신위성 7월에 쏜다"

      6 이철재, "킬체인의 눈 정찰위성 사업 본격 착수 … 동북아 우주전쟁 뒤늦게 뛰어 들어"

      7 최현호, "중국, 군사굴기를 드러내다: 중국 국방개혁의 의미" (445) : 2016

      8 박병광, "중국 우주개발의 의미와 영향: 정치/군사적 함의를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12 (12): 35-61, 2006

      9 윤웅직, "주변국의 우주개발 동향과 우리가 준비해야 할 것들" (1785) : 2020

      10 이용식, "일본의 저궤도 정찰위성 개발 역사와 전망" (489) : 2019

      1 이명환, "항공우주시대 항공력 운용: 이론과 실제" 오름 2010

      2 합동군사대학교 합동전투발전부, "합동·연합작전 군사용어사전" 합동참모본부 2014

      3 이주원, "한반도 상공 도는 정찰위성 꼼짝마 … 軍 우주감시망원경 하반기 전력화"

      4 이주원, "한국형 우주발사체 고체연료 엔진 개발 길 열리나"

      5 안아람, "한국 최초 軍 전용 통신위성 7월에 쏜다"

      6 이철재, "킬체인의 눈 정찰위성 사업 본격 착수 … 동북아 우주전쟁 뒤늦게 뛰어 들어"

      7 최현호, "중국, 군사굴기를 드러내다: 중국 국방개혁의 의미" (445) : 2016

      8 박병광, "중국 우주개발의 의미와 영향: 정치/군사적 함의를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12 (12): 35-61, 2006

      9 윤웅직, "주변국의 우주개발 동향과 우리가 준비해야 할 것들" (1785) : 2020

      10 이용식, "일본의 저궤도 정찰위성 개발 역사와 전망" (489) : 2019

      11 한은아, "일본 우주개발정책의 군사적 변화에 관한 연구" 현대일본학회 (37) : 97-121, 2013

      12 유준구, "우주안보 국제규범 형성의 쟁점과 우리의 과제"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2018

      13 조봉현, "우주무기체계 소개" (23) : 2004

      14 최재원, "우주무기체계 발전 추세 및 개발 동향" (431) : 2015

      15 장영근, "우주 무기체계 및 국방우주의 현황과 발전 방안" (6) : 2006

      16 강희종, "우리나라의 우주기술 현황 및 혁신 과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2

      17 최현호, "시작부터 지향점이 다른 남과 북의 로켓: 한국과 북한의 로켓 개발사" (410) : 2013

      18 안승회, "미래 항공우주군 향한 대도약 … 첫발을 딛다"

      19 박병광, "동아시아의 우주군사력 건설동향과 우리의 대응방향" INSS 2020

      20 곽영상, "군사 인공위성과 공격용 우주무기" (31) : 2007

      21 한성우, "군 위성통신 발전방향" (47) : 2007

      22 고형석, "국내외 위성항법체계 개발 동향 및 군사적 활용 발전방안." (58) : 2014

      23 국방기술품질원, "국가별 국방과학기술 수준조사서" 국방기술품질원 2018

      24 공군본부 전투발전단 교리발전처, "공군비전 2030" 공군본부 2009

      25 이영재, "공군, ‘스타워즈’ 계획 첫발 뗐다 … 우주정보상황실 개관"

      26 정성훈, "감시정찰용 지구관측위성 개발동향 및 발전방향" (446) : 2016

      27 이길성, "美·日·유럽 다 쓰는 고체로켓 … 우리도 족쇄 풀어야"

      28 김호준, "日항공자위대 ‘항공우주자위대’로 개칭 추진 … 우주부대도 창설"

      29 서영아, "日 방위성, 탄도미사일 방어용 ‘X밴드 방위통신위성’ 쏘아올린다"

      30 Goswami, Namrata, "“India’s Space Program, Ambitions, and Activities" 15 (15): 2020

      31 최평천, "‘스타워즈’ 현실로? … 육·해군도 우주전력 확보한다"

      32 Jordan, David, "Understanding Modern Warfa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33 Wolf, Jim, "U. S. Shot Raises Tensions and Worries over Satellites"

      34 Kaushal, Sidharth, "Time-Sensitive Targets, Space and Missile Defence" Royal United Services Institute for Defence and Security Studies. 2020

      35 Logsdon, John M, "The United States in Space" 15 (15): 2020

      36 Lieber, Keir A, "The New Era of Counterforce: Technological Change and the Future of Nuclear Deterrence" 41 (41): 2017

      37 Torruella, Anika, "Star Wars: Gliding towards Warfare in Space" 2015

      38 Harrison, Todd, "Space Threat Assessment 2020"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2020

      39 Fisher Jr., Richard D, "Space Invaders: China's Space Warfare Capabilities" 2014

      40 An, Hyoung Joon, "South Korea’s Space Program: Activities and Ambitions" 15 (15): 2020

      41 Murphy, Tara, "Security Challenges in the 21st Century Global Commons" 5 (5): 2010

      42 IISS., "Military Balance 2020" Routledge 2020

      43 Joint Chiefs of Staff., "Joint Publication 3-14 : Space Operations" Joint Chiefs of Staff. 2018

      44 Pekkanen, Saadia M, "Japan’s Space Power" 15 (15): 2020

      45 Shim, Elizabeth, "Japan to Test Infrared Sensors for Early Warning Satellites"

      46 Bedi, Rahul, "India Successfully Tests Locally Developed ASAT Missile System" 2019

      47 Posen, Barry R., "Command of the Commons: The Military Foundation of U.S. Hegemony" 28 (28): 2003

      48 Pollpeter, Kevin, "China’s Space Program: Making China Strong, Rich, and Respected" 15 (15): 2020

      49 Defense Intelligence Agency., "Challenges to Security in Space" Defense Intelligence Agency. 2019

      50 Pandit, Rajat, "Agencies Take Shape for Special Operations, Space, Cyber War"

      51 Office of the Secretary of Defense, "2019 Missile Defense Review" Department of Defense. 2019

      52 임채홍, "'우주안보'의 국제조약에 대한 역사적 고찰"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80) : 259-294,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4-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신아세아질서연구회 -> 신아시아연구소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신아세아
      외국어명 : NEW ASIA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4 1.035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