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폭력범죄자에 대한 치료처우의 개선을 위한 법제도적 고찰 = A study on justice system to improve therapeutic treatment for sex offend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925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ny existing research for sex offenders with a mental pathological symptomsargued the need to put the concept of therapy in the center of correction. Accordingly, Changes, f. e. enlarge custody of treatment for mental disability sexoffenders, imposit...

      Many existing research for sex offenders with a mental pathological symptomsargued the need to put the concept of therapy in the center of correction.
      Accordingly, Changes, f. e. enlarge custody of treatment for mental disability sexoffenders, imposition of the treatment program for all sex offenders, in the judicialsystem to enlarge the concept of therapy have been made. However, the system forthe therapy and for the punishment are different in nature and structure. In thisrespect, the current judicial system is inadequate and is not appropriate to ensurethe effectiveness of therapy fully. If we can agree with the conclusion that thecontents of desiable correctional treatment must be a therapeutic cure, than weshould have to accept new ideas and institutions of criminal justice and correctionfor effective therapy. In order to introduce the concept of therapy across the boardas a purpose of criminal justice for sex offenders, this thesis focuses on the ideaof 'Therapeutic Jurisprudence', and proposes institutional improvements to effectivetherapeutic treatment in the correctional step for sex offenders. One of the maincontents of propositions is, in the case of attending order for sexual violencetreatment program, a way that does not specify a impositional time or a way likesirregular punishment. The other is a institution of special probation that enforcessocial therapeutic treatment for a dangerous sex offender who already serves aprison ter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정신병리적 이상증상을 가진 성폭력범죄자에 대한 교정에서 기존의 많은 연구들은 치료의 개념을 중심에 놓아야 할 필요성을 주장하였고, 이에 정신성적 장애자에대한 치료감호의 확대, 모...

      정신병리적 이상증상을 가진 성폭력범죄자에 대한 교정에서 기존의 많은 연구들은 치료의 개념을 중심에 놓아야 할 필요성을 주장하였고, 이에 정신성적 장애자에대한 치료감호의 확대, 모든 성폭력범죄자에 대한 필요적 치료프로그램의 이수 등치료의 개념을 확대도입하는 사법제도의 변화가 있어왔다. 그러나 치료를 위한 시스템과 처벌을 위한 시스템은 그 성질과 구조가 다를 수밖에 없고 그러한 점에서현행 형사사법시스템은 치료의 효과를 충분히 담보하기에는 미흡하거나 적절치 않은 점이 있다. 그런데 성폭력범죄자에 대한 바람직한 교정처우의 내용이 치료라는 결론에 동의할 수 있다면, 보다 효과적인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성폭력범죄자에 대한 형사사법과 교정의 새로운 이념을 받아들이고 그에 맞추어 시스템을 정비하기 위한 연구와 검토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성폭력범죄자에 대한 형사사법절차의 목적으로 치료의 개념을 전면적으로 도입하기위한 소위 ‘치료적 사법’이념에 대하여 검토하여 보고, 이러한 이념에 따라 성폭력범죄자에 대한 교정단계에서 효과적인 치료처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제도적 개선방안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그 제안의 주된 내용은 현재의 형식적인치료처분 선고와 운영방식을 개선하는 것과 치료의 경과에 따른 사후적 처분이 가능하도록 새로운 제도를 마련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성폭력치료프로그램의 이수명령을 부과하는 경우 이수시간을 정하지 않거나 부정기형 방식으로 선고하는 방식으로의 개선을 검토해야 하며, 형기가 만료되었으나 재범의 위험성이 있는 성폭력범죄자에 대한 사회적 치료를 실시하는 특별보호관찰제도의 시행을 제안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문호, "형법개정과 상습누범: 위험한 성범죄인에 대한 보호감호제도의 재도입에 관한 논의"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1 (21): 5-32, 2010

      2 성경숙, "치료적 사법의 개념과 그 적용가능성"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3 (23): 33-61, 2012

      3 김한균, "치료적 사법모델의 형사정책적 도입방안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1

      4 박상진, "외국의 성폭력 가해자 치료프로그램연구 - 미국, 영국, 뉴질랜드의 교정시설" 한국형사정책학회 17 (17): 313-336, 2005

      5 장성원, "약물사범에 대한 치료적 개입시스템과 전환프로그램 - 미국의 약물법원을 중심으로 -" 경찰학연구소 6 (6): 233-261, 2011

      6 임정선, "아동 성폭력범죄자에 대한 치료적 개입을 위한 고찰" 2 (2): 2011

      7 천정환, "성폭력범죄자에 대한 교정프로그램의 내용과 문제점" 한국교정복지학회 (19) : 1-19, 2010

      8 오삼광, "성폭력범죄자 재범방지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치안정책연구소 28 (28): 1-28, 2014

      9 장흥수, "성폭력 사범 수강명령 효과성 분석" 10 (10): 2010

      10 이수정, "성폭력 범죄자 재범방지 치료 처우 강화 방안" 1 (1): 2007

      1 송문호, "형법개정과 상습누범: 위험한 성범죄인에 대한 보호감호제도의 재도입에 관한 논의"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1 (21): 5-32, 2010

      2 성경숙, "치료적 사법의 개념과 그 적용가능성"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3 (23): 33-61, 2012

      3 김한균, "치료적 사법모델의 형사정책적 도입방안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1

      4 박상진, "외국의 성폭력 가해자 치료프로그램연구 - 미국, 영국, 뉴질랜드의 교정시설" 한국형사정책학회 17 (17): 313-336, 2005

      5 장성원, "약물사범에 대한 치료적 개입시스템과 전환프로그램 - 미국의 약물법원을 중심으로 -" 경찰학연구소 6 (6): 233-261, 2011

      6 임정선, "아동 성폭력범죄자에 대한 치료적 개입을 위한 고찰" 2 (2): 2011

      7 천정환, "성폭력범죄자에 대한 교정프로그램의 내용과 문제점" 한국교정복지학회 (19) : 1-19, 2010

      8 오삼광, "성폭력범죄자 재범방지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치안정책연구소 28 (28): 1-28, 2014

      9 장흥수, "성폭력 사범 수강명령 효과성 분석" 10 (10): 2010

      10 이수정, "성폭력 범죄자 재범방지 치료 처우 강화 방안" 1 (1): 2007

      11 정유희, "성폭력 및 가정폭력 가해자 치료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단기 재범 추적연구" 한국심리학회 33 (33): 737-757, 2014

      12 윤정숙, "성범죄자 재범방지를 위한 치료프로그램 개발연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실태조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1

      13 이승호, "문제해결법원의 도입에 관한 검토" 한국형사정책학회 18 (18): 51-81, 2006

      14 김유근, "독일의 형벌, 보안처분 그리고 행형체계의 현대적 발전과정에 대한 고찰" 한국교정학회 42 : 194-211, 2009

      15 이정념, "독일에서의 보안감호에 관한 최근 논의들 - 2011년 5월 4일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중심으로-" 법조협회 60 (60): 278-298, 2011

      16 김성돈, "뇌과학과 형사책임의 새로운 지평" 한국형사법학회 22 (22): 125-150, 2010

      17 류여해, "교정시설에서의 성범죄자 재범방지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교정학회 47 : 145-172, 2010

      18 Robin J. Wilson, "Sex Offender Treatment: Accomplishments, Challenges, and Futher Directions" The Haworth Press 2001

      19 B. Winick, "Judging in a Therapeutic Key: Therapeutic Jurisprudence and the Courts"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4-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Correction Service -> Korean Society for Corrections Service KCI등재
      2016-04-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矯正硏究 -> 교정연구
      외국어명 : Correction Review -> Corrections Review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2 1.121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