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장은주, "학제간 융합교육을 통한 ‘인문적 교양 교육’의 새로운 활로 찾기" 한국교양교육학회 2 (2): 117-136, 2008
2 박이문, "통합의 인문학: 둥지 철학을 향하여" 지와사랑 2009
3 방담이, "통합개념을 중심으로 한 융복합 교육의 가능성"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4 : 24-37, 2015
4 이진우, "테크노인문학: 인문학과 과학기술, 융합적 사유의 힘" 책세상 2013
5 최재천, "지식의 통섭: 학문의 경계를 넘다" 이음 2007
6 이인식, "지식의 대융합" 고즈윈 2008
7 이희용, "지식융합 교육을 위한 교양 교과목 개발과 기본모델" 중앙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5 : 5-26, 2011
8 유범상, "인문학대중화에 대한 비판과 제언: 정부와 시민사회의 두 인문학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38 : 165-194, 2015
9 박찬길, "인문학 평가, 어떻게 할 것인가" 영미문학연구회 (37) : 84-109, 2014
10 최예정, "인문대를 해체하면 되는 걸까: 교양인문학 또는 인문학 융합교육의 가능성과 의미" 영미문학연구회 (41) : 35-60, 2016
1 장은주, "학제간 융합교육을 통한 ‘인문적 교양 교육’의 새로운 활로 찾기" 한국교양교육학회 2 (2): 117-136, 2008
2 박이문, "통합의 인문학: 둥지 철학을 향하여" 지와사랑 2009
3 방담이, "통합개념을 중심으로 한 융복합 교육의 가능성"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4 : 24-37, 2015
4 이진우, "테크노인문학: 인문학과 과학기술, 융합적 사유의 힘" 책세상 2013
5 최재천, "지식의 통섭: 학문의 경계를 넘다" 이음 2007
6 이인식, "지식의 대융합" 고즈윈 2008
7 이희용, "지식융합 교육을 위한 교양 교과목 개발과 기본모델" 중앙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5 : 5-26, 2011
8 유범상, "인문학대중화에 대한 비판과 제언: 정부와 시민사회의 두 인문학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38 : 165-194, 2015
9 박찬길, "인문학 평가, 어떻게 할 것인가" 영미문학연구회 (37) : 84-109, 2014
10 최예정, "인문대를 해체하면 되는 걸까: 교양인문학 또는 인문학 융합교육의 가능성과 의미" 영미문학연구회 (41) : 35-60, 2016
11 송승철, "인문대를 해체하라!: '전공인문학'에서 '교양인문학'으로" 영미문학연구회 (34) : 148-176, 2013
12 고현범, "인문 융복합 교육에서 철학의 역할 –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 새한철학회 87 (87): 1-23, 2017
13 김민정, "이공계대학 교양교육 강화를 위한 인문통합교과 모형에 관한 연구— 포스텍의 ‘인문학의 세계와 비판적 사고’ 강좌를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55) : 599-637, 2012
14 김광웅, "융합학문, 어디로 가고 있나?"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15 김현주, "융합적 소통 능력을 함양시키는 MIT대학의 교육 프로그램과 표준화된 교수법의 교육적 효과" 한국언어문화학회 (52) : 103-135, 2013
16 홍성욱, "융합이란 무엇인가" 사이언스북스 2012
17 한국사회과학협의회, "융합연구-이론과 실제" 법문사 2013
18 김혜영, "융합교육의 체계화를 위한 융합교육의 방향과 기초융합교과 설계에 대한 제언"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11-38, 2013
19 한기호, "융합, 통섭, 또는 융복합, 그 의미와 환원가능성" 인문과학연구소 41 : 173-194, 2016
20 박찬길, "융합, 인문학의 살 길인가" 영미문학연구회 (41) : 12-34, 2016
21 박일우, "융복합은 어디에서 시작되는가-융복합 시대 연구·교육자의 내적 지향" 한국문화융합학회 38 (38): 11-38, 2016
22 손동현, "융복합교육의 기초와 학부대학의 역할" 한국교양교육학회 3 (3): 21-32, 2009
23 손동현, "융복합 교육 수요의 문화사회적 배경" 369-375, 2015
24 서기자, "융 복합 교양교과목 개발과 효과에 대한 고찰"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171-195, 2013
25 박찬길, "신자유주의 시대의 인문학, 어디로 가고 있는가" 영미문학연구회 (26) : 281-299, 2009
26 손동현, "새로운 교육수요와 교양기초교육" 한국교양교육학회 1 (1): 107-123, 2007
27 박일우, "대학에서 융·복합 교육의 실상과 그 해법" 한국교양교육학회 10 (10): 349-378, 2016
28 교육부, "대학 인문역량 강화사업(CORE) 기본계획" 2015
29 박일호, "대학 융복합 교육의 방향" 한국문화융합학회 549-557, 2016
30 손동현, "기초교양교육에서 융복합적 ‘사고와 표현’의 중요성" 1-10, 2015
31 정희모, "글쓰기 교육과 협력학습" 삼인 2006
32 윤지관, "구조조정 속의 인문학과 대학: 무엇을 할 것인가" 영미문학연구회 (39) : 96-119, 2015
33 가톨릭관동대학교 verum교양대학 교학부, "가톨릭관동대학교 verum교양대학 교육과정 안내"
34 "가톨릭관동대학교 2017-1학기, 2017-2학기, 2018-1학기 인문융합 교과목 강의계획서"
35 강민희, "≪대학 인문역량 강화사업≫을 통한 인문교양교육 운영과 과제" 동아인문학회 (41) : 311-343, 2017
36 가톨릭관동대학교 verum교양대학 교학부, "verum교양대학 2017-1학기 워크숍자료"
37 손동현, "21세기의 인문학 르네상스를 기다리며"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8 : 7-30,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