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문융합 교육에 대한 교수자의 관점: 국내 C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Teachers’ Perspectives on Humanities Convergence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869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how teachers accept humanities convergence education and operate classes in practice with humanities convergence subjects of C University, which was selected for the project “CORE, initiative for College of humanities' Research and Education 2016.” The course design (class syllabus) did not show distinctive differences from that of the existing liberal arts subjects. For example, some syllabuses mention only a theoretical aspect of convergence education and list the contents of class materials; emphasize cooperation between two or more areas but leave students doing the convergence work for themselves; appear to be accepting the concept of finding a point of contact between different areas but only list subject-centered texts for class content; or simply utilize humanistic factors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texts) as class materials or tools in the existing structure of liberal arts class.
      As for the class content, it could be seen that teachers performed convergence or delivered converged knowledge or a point of convergence in performing tasks. This means that although teachers in charge of humanities convergence subjects specify the common sense regarding educational directions of humanities convergence education, it is not practiced in classes in reality.
      Among the subjects selected for C University’s project of education content development, the number of subjects for humanities convergence is relatively small. In a condition where there is no official agreement on convergence education, it can be a burden on teachers to not only develop subjects but also operate classes. And classes should be operated in a way that encourages learners’ active participation so as to develop the learners’ competence expected in humanities convergence education. However, in reality, over 60 students gather in a large lecture room and the class cannot depart from lecture-style delivery. In other words, it is difficult to design a new education model using the existing teaching-learning methods. This difficulty is revealed in the subject design for humanities convergence.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how teachers accept humanities convergence education and operate classes in practice with humanities convergence subjects of C University, which was selected for the project “CORE, initiative for College of humanities' Research a...

      This study analyzed how teachers accept humanities convergence education and operate classes in practice with humanities convergence subjects of C University, which was selected for the project “CORE, initiative for College of humanities' Research and Education 2016.” The course design (class syllabus) did not show distinctive differences from that of the existing liberal arts subjects. For example, some syllabuses mention only a theoretical aspect of convergence education and list the contents of class materials; emphasize cooperation between two or more areas but leave students doing the convergence work for themselves; appear to be accepting the concept of finding a point of contact between different areas but only list subject-centered texts for class content; or simply utilize humanistic factors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texts) as class materials or tools in the existing structure of liberal arts class.
      As for the class content, it could be seen that teachers performed convergence or delivered converged knowledge or a point of convergence in performing tasks. This means that although teachers in charge of humanities convergence subjects specify the common sense regarding educational directions of humanities convergence education, it is not practiced in classes in reality.
      Among the subjects selected for C University’s project of education content development, the number of subjects for humanities convergence is relatively small. In a condition where there is no official agreement on convergence education, it can be a burden on teachers to not only develop subjects but also operate classes. And classes should be operated in a way that encourages learners’ active participation so as to develop the learners’ competence expected in humanities convergence education. However, in reality, over 60 students gather in a large lecture room and the class cannot depart from lecture-style delivery. In other words, it is difficult to design a new education model using the existing teaching-learning methods. This difficulty is revealed in the subject design for humanities converg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은주, "학제간 융합교육을 통한 ‘인문적 교양 교육’의 새로운 활로 찾기" 한국교양교육학회 2 (2): 117-136, 2008

      2 박이문, "통합의 인문학: 둥지 철학을 향하여" 지와사랑 2009

      3 방담이, "통합개념을 중심으로 한 융복합 교육의 가능성"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4 : 24-37, 2015

      4 이진우, "테크노인문학: 인문학과 과학기술, 융합적 사유의 힘" 책세상 2013

      5 최재천, "지식의 통섭: 학문의 경계를 넘다" 이음 2007

      6 이인식, "지식의 대융합" 고즈윈 2008

      7 이희용, "지식융합 교육을 위한 교양 교과목 개발과 기본모델" 중앙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5 : 5-26, 2011

      8 유범상, "인문학대중화에 대한 비판과 제언: 정부와 시민사회의 두 인문학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38 : 165-194, 2015

      9 박찬길, "인문학 평가, 어떻게 할 것인가" 영미문학연구회 (37) : 84-109, 2014

      10 최예정, "인문대를 해체하면 되는 걸까: 교양인문학 또는 인문학 융합교육의 가능성과 의미" 영미문학연구회 (41) : 35-60, 2016

      1 장은주, "학제간 융합교육을 통한 ‘인문적 교양 교육’의 새로운 활로 찾기" 한국교양교육학회 2 (2): 117-136, 2008

      2 박이문, "통합의 인문학: 둥지 철학을 향하여" 지와사랑 2009

      3 방담이, "통합개념을 중심으로 한 융복합 교육의 가능성"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4 : 24-37, 2015

      4 이진우, "테크노인문학: 인문학과 과학기술, 융합적 사유의 힘" 책세상 2013

      5 최재천, "지식의 통섭: 학문의 경계를 넘다" 이음 2007

      6 이인식, "지식의 대융합" 고즈윈 2008

      7 이희용, "지식융합 교육을 위한 교양 교과목 개발과 기본모델" 중앙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5 : 5-26, 2011

      8 유범상, "인문학대중화에 대한 비판과 제언: 정부와 시민사회의 두 인문학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38 : 165-194, 2015

      9 박찬길, "인문학 평가, 어떻게 할 것인가" 영미문학연구회 (37) : 84-109, 2014

      10 최예정, "인문대를 해체하면 되는 걸까: 교양인문학 또는 인문학 융합교육의 가능성과 의미" 영미문학연구회 (41) : 35-60, 2016

      11 송승철, "인문대를 해체하라!: '전공인문학'에서 '교양인문학'으로" 영미문학연구회 (34) : 148-176, 2013

      12 고현범, "인문 융복합 교육에서 철학의 역할 –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 새한철학회 87 (87): 1-23, 2017

      13 김민정, "이공계대학 교양교육 강화를 위한 인문통합교과 모형에 관한 연구— 포스텍의 ‘인문학의 세계와 비판적 사고’ 강좌를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55) : 599-637, 2012

      14 김광웅, "융합학문, 어디로 가고 있나?"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15 김현주, "융합적 소통 능력을 함양시키는 MIT대학의 교육 프로그램과 표준화된 교수법의 교육적 효과" 한국언어문화학회 (52) : 103-135, 2013

      16 홍성욱, "융합이란 무엇인가" 사이언스북스 2012

      17 한국사회과학협의회, "융합연구-이론과 실제" 법문사 2013

      18 김혜영, "융합교육의 체계화를 위한 융합교육의 방향과 기초융합교과 설계에 대한 제언"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11-38, 2013

      19 한기호, "융합, 통섭, 또는 융복합, 그 의미와 환원가능성" 인문과학연구소 41 : 173-194, 2016

      20 박찬길, "융합, 인문학의 살 길인가" 영미문학연구회 (41) : 12-34, 2016

      21 박일우, "융복합은 어디에서 시작되는가-융복합 시대 연구·교육자의 내적 지향" 한국문화융합학회 38 (38): 11-38, 2016

      22 손동현, "융복합교육의 기초와 학부대학의 역할" 한국교양교육학회 3 (3): 21-32, 2009

      23 손동현, "융복합 교육 수요의 문화사회적 배경" 369-375, 2015

      24 서기자, "융 복합 교양교과목 개발과 효과에 대한 고찰"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171-195, 2013

      25 박찬길, "신자유주의 시대의 인문학, 어디로 가고 있는가" 영미문학연구회 (26) : 281-299, 2009

      26 손동현, "새로운 교육수요와 교양기초교육" 한국교양교육학회 1 (1): 107-123, 2007

      27 박일우, "대학에서 융·복합 교육의 실상과 그 해법" 한국교양교육학회 10 (10): 349-378, 2016

      28 교육부, "대학 인문역량 강화사업(CORE) 기본계획" 2015

      29 박일호, "대학 융복합 교육의 방향" 한국문화융합학회 549-557, 2016

      30 손동현, "기초교양교육에서 융복합적 ‘사고와 표현’의 중요성" 1-10, 2015

      31 정희모, "글쓰기 교육과 협력학습" 삼인 2006

      32 윤지관, "구조조정 속의 인문학과 대학: 무엇을 할 것인가" 영미문학연구회 (39) : 96-119, 2015

      33 가톨릭관동대학교 verum교양대학 교학부, "가톨릭관동대학교 verum교양대학 교육과정 안내"

      34 "가톨릭관동대학교 2017-1학기, 2017-2학기, 2018-1학기 인문융합 교과목 강의계획서"

      35 강민희, "≪대학 인문역량 강화사업≫을 통한 인문교양교육 운영과 과제" 동아인문학회 (41) : 311-343, 2017

      36 가톨릭관동대학교 verum교양대학 교학부, "verum교양대학 2017-1학기 워크숍자료"

      37 손동현, "21세기의 인문학 르네상스를 기다리며"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8 : 7-30,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문화와 융합 -> 문화와융합 KCI등재
      2022-03-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The Society of Korean Culture and Convergenc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4-03-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학과언어학회 -> 한국문화융합학회
      영문명 : Munhak Kwa Eoneo Hakhoi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