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우리나라 노인 남녀에서 동반 식사 횟수에 따른 영양소 섭취 수준과 대사증후군 유병률 비교: 2013-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Comparison of Nutrient Intake and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Eating with Others in the Elderly: Based on the 2013-2017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364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nutritional status and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eating with others in elderly men and women.
      Methods: This study included 4,562 subjects (≥65 years) from the 2013-2017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urvey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frequency of eating with others per day (0, 1-2, 3 times/day) and nutrient intake and metabolic syndrome, adjusted for the related confounding variables.
      Results: In elderly men, eating with other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higher intake of vitamin C, phosphorus, and iron. Additionally, elderly men who ate with others 0 time/day had an adjusted odds ratio of 3.08 (95% confidence interval, 1.43-6.62) for overall nutrient intake insufficiency as compared to elderly men who ate with others 3 times/day. In elderly women, eating with other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higher intake of energy. However, no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the frequency of eating with others and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either sex.
      Conclusions: Our study findings suggest that frequently eating with others may improve the nutritional status in both elderly men and women.
      번역하기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nutritional status and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eating with others in elderly men and women. Methods: This study included 4,562 subj...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nutritional status and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eating with others in elderly men and women.
      Methods: This study included 4,562 subjects (≥65 years) from the 2013-2017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urvey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frequency of eating with others per day (0, 1-2, 3 times/day) and nutrient intake and metabolic syndrome, adjusted for the related confounding variables.
      Results: In elderly men, eating with other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higher intake of vitamin C, phosphorus, and iron. Additionally, elderly men who ate with others 0 time/day had an adjusted odds ratio of 3.08 (95% confidence interval, 1.43-6.62) for overall nutrient intake insufficiency as compared to elderly men who ate with others 3 times/day. In elderly women, eating with other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higher intake of energy. However, no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the frequency of eating with others and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either sex.
      Conclusions: Our study findings suggest that frequently eating with others may improve the nutritional status in both elderly men and wom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우리나라 65세 이상 남녀 노인에서 동반 식사횟수와 영양 섭취 및 대사증후군 등의 건강특성과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2013-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65세이상 노인 4,562명(남자 2,265명, 여자 2,297명)을 대상으로분석하였다. 대상자를 하루 중 동반 식사 횟수에 따라 3회군, 1-2회군, 0회군으로 분류하였으며, 남자와 여자를 나누어 분석하였다. 동반 식사 횟수에 따른 영양소 섭취 부족과과잉, 대사증후군에 대한 위험도를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회귀분석(proc surveylogistic)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조사 대상자의 하루 중 동반 식사 횟수 분포를살펴보면 남자는 59.2% (3회), 28.3% (1-2회), 28.3% (0회), 여자는 39.7% (3회), 31.3% (1-2회), 29.1% (0회)였다. 지방및 단백질로부터 얻는 에너지 비율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남자 노인에서 교란변수를 모두 보정한 후 동반 식사3회군에 비해 0회군은 비타민 C, 철, 인을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할 위험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전반적인 영양 섭취 부족에 대한 위험도 역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여자 노인의 경우, 동반 식사 횟수가 감소할수록 에너지를필요추정량 미만으로 섭취할 위험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동반 식사 횟수에 따른 대사증후군에 대한 위험도는남자 노인과 여자 노인에서 모두 군 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 결과, 노인에서 동반 식사 횟수의 증가는영양불량 위험도 감소와 유의적인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함께 식사하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노인의 적절한 영양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번역하기

      연구배경: 우리나라 65세 이상 남녀 노인에서 동반 식사횟수와 영양 섭취 및 대사증후군 등의 건강특성과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2013-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

      연구배경: 우리나라 65세 이상 남녀 노인에서 동반 식사횟수와 영양 섭취 및 대사증후군 등의 건강특성과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2013-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65세이상 노인 4,562명(남자 2,265명, 여자 2,297명)을 대상으로분석하였다. 대상자를 하루 중 동반 식사 횟수에 따라 3회군, 1-2회군, 0회군으로 분류하였으며, 남자와 여자를 나누어 분석하였다. 동반 식사 횟수에 따른 영양소 섭취 부족과과잉, 대사증후군에 대한 위험도를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회귀분석(proc surveylogistic)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조사 대상자의 하루 중 동반 식사 횟수 분포를살펴보면 남자는 59.2% (3회), 28.3% (1-2회), 28.3% (0회), 여자는 39.7% (3회), 31.3% (1-2회), 29.1% (0회)였다. 지방및 단백질로부터 얻는 에너지 비율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남자 노인에서 교란변수를 모두 보정한 후 동반 식사3회군에 비해 0회군은 비타민 C, 철, 인을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할 위험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전반적인 영양 섭취 부족에 대한 위험도 역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여자 노인의 경우, 동반 식사 횟수가 감소할수록 에너지를필요추정량 미만으로 섭취할 위험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동반 식사 횟수에 따른 대사증후군에 대한 위험도는남자 노인과 여자 노인에서 모두 군 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 결과, 노인에서 동반 식사 횟수의 증가는영양불량 위험도 감소와 유의적인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함께 식사하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노인의 적절한 영양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다미, "한국 노인의 주관적 불안· 우울 상태에 따른 식품 및 영양소 섭취 실태 : 2013~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영양학회 52 (52): 58-72, 2019

      2 한규상, "한국 노인의 식습관 및 영양섭취 실태 평가: 국민건강영양조사 2013∼2015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8 (28): 258-271, 2018

      3 김수진, "지역사회 노인의 영양결핍 관련 사회경제 및 사회지지 요인" 보건의료산업학회 11 (11): 79-90, 2017

      4 김현경, "중년 성인에서 혼자 식사하는 행동과 영양소 섭취, 비만 및 대사증후군 연관성 연구 : 2013~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영양학회 52 (52): 435-448, 2019

      5 허연, "노인에서의 독거 여부와 복합 만성 질환의 연관성"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 (20): 102-107, 2020

      6 김가원, "노인 1인 가구의 노인영양지수(NQ-E)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39 (39): 741-762, 2019

      7 박수진, "국내 일부 재가 노인의 식욕부진 실태와 관련 인자 분석"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1431-1438, 2014

      8 연지영, "가족 동반 아침식사에 따른 아동의 식사 다양성 평가 : 2013 ~2015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영양학회 51 (51): 50-59, 2018

      9 Verhage CL, "The relation between family meals and health of infants and toddlers : a review" 127 : 97-109, 2018

      10 Dallacker M, "The frequency of family meals and nutritional health in children : a meta-analysis" 19 (19): 638-653, 2018

      1 김다미, "한국 노인의 주관적 불안· 우울 상태에 따른 식품 및 영양소 섭취 실태 : 2013~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영양학회 52 (52): 58-72, 2019

      2 한규상, "한국 노인의 식습관 및 영양섭취 실태 평가: 국민건강영양조사 2013∼2015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8 (28): 258-271, 2018

      3 김수진, "지역사회 노인의 영양결핍 관련 사회경제 및 사회지지 요인" 보건의료산업학회 11 (11): 79-90, 2017

      4 김현경, "중년 성인에서 혼자 식사하는 행동과 영양소 섭취, 비만 및 대사증후군 연관성 연구 : 2013~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영양학회 52 (52): 435-448, 2019

      5 허연, "노인에서의 독거 여부와 복합 만성 질환의 연관성"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 (20): 102-107, 2020

      6 김가원, "노인 1인 가구의 노인영양지수(NQ-E)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39 (39): 741-762, 2019

      7 박수진, "국내 일부 재가 노인의 식욕부진 실태와 관련 인자 분석"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1431-1438, 2014

      8 연지영, "가족 동반 아침식사에 따른 아동의 식사 다양성 평가 : 2013 ~2015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영양학회 51 (51): 50-59, 2018

      9 Verhage CL, "The relation between family meals and health of infants and toddlers : a review" 127 : 97-109, 2018

      10 Dallacker M, "The frequency of family meals and nutritional health in children : a meta-analysis" 19 (19): 638-653, 2018

      11 Macintosh C, "The anorexia of aging" 16 (16): 983-995, 2000

      12 Holt-Lunstad J, "Social relationships and mortality risk : a meta-analytic review" 7 (7): e1000316-, 2010

      13 Conklin AI, "Social relationships and healthful dietary behaviour : evidence from over-50s in the EPIC cohort, UK" 100 (100): 167-175, 2014

      14 Takagi D, "Social participation and mental health :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social role and rurality" 13 (13): 701-, 2013

      15 Hetherington MM, "Situational effects on meal intake : a comparison of eating alone and eating with others" 88 (88): 498-505, 2006

      16 Kim HJ, "Salt usage behaviors are related to urinary sodium excretion in normotensive Korean adults" 16 (16): 122-128, 2007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health statistics 2018: 2018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9

      18 Saka B, "Malnutrition in the elderly and its relationship with other geriatric syndromes" 29 (29): 745-748, 2010

      19 Suthutvoravut U, "Living with family yet eating alone is associated with frailty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 the Kashiwa study" 8 (8): 198-204, 2019

      20 Hammons AJ, "Is frequency of shared family meals related to the nutritional health of children and adolescents" 127 (127): e1565-e1574, 2011

      21 Nijs KA, "Effect of family style mealtimes on quality of life, physical performance, and body weight of nursing home residents : cluster randomised controlled trial" 332 (332): 1180-1184, 2006

      22 Tani Y, "Eating alone yet living with others is associated with mortality in older men : the JAGES cohort survey" 73 (73): 1330-1334, 2018

      23 Kuroda A, "Eating alone as social disengagement is strongly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in Japanese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16 : 578-585, 2015

      24 Kimura Y, "Eating alone among community-dwelling Japanese elderly : association with depression and food diversity" 16 (16): 728-731, 2012

      25 Kim C, "Comparing health-related behaviors, food behaviors, and the nutrient adequacy ratio of rural elderly by single-elderly families vs" 5 (5): 307-315, 2000

      26 Tani Y, "Combined effects of eating alone and living alone on unhealthy dietary behaviors, obesity and underweight in older Japanese adults : results of the JAGES" 95 : 1-8, 2015

      27 Aida J, "Assessing the association between all-cause mortality and multiple aspects of individual social capital among the older Japanese" 11 : 499-, 2011

      28 Woodruff SJ, "A review of family meal influence on adolescents’ dietary intake" 69 (69): 14-22, 2008

      29 Statistics Korea, "2019 elderly statistics" Statisics Korea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1-11-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5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4 0.80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