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식민자와 식민지인의 세 가지 만남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407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일제 말기의 소설이 식민자와 식민지인의 만남을 어떻게 형상화하는가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광수는 식민자와 식민지인의 접촉이 서로 간의 차이를 뛰어넘는 데 필수적인 것이라 생각했지만, 모든 관계를 사제 관계로 환원함으로써 오히려 구조적인 불평등을 자연화 했다. 이에 반해 남편-아내의 관계로 식민자와 식민지인의 만남을 형상화한 경우, 둘의 결합의 방해한, 차이를 차별로 전환한 책임을 조선 사회(정인택, 김사영) 혹은 일본 사회(이효석)에 묻고자 했다. 그러한 가운데 김사량은 민족 간의 불평등을 구조적 문제로 파악하고 그 속에서 고통받는 가해자=피해자로서의 식민지인, 식민자를 묘사함으로써 식민자를 정형이 아닌 성격으로 그려낼 수 있었다. 식민자와 식민지인의 우연한 만남을 그린 경우 일본적인 것으로 대표할 수 없는 조선적 특수성을 식민자에게 인지시키고자 했는데, 유진오, 최정희의 소설이 이에 해당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일제 말기의 소설이 식민자와 식민지인의 만남을 어떻게 형상화하는가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광수는 식민자와 식민지인의 접촉이 서로 간의 차이를 뛰어넘는 데 필수적...

      이 연구는 일제 말기의 소설이 식민자와 식민지인의 만남을 어떻게 형상화하는가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광수는 식민자와 식민지인의 접촉이 서로 간의 차이를 뛰어넘는 데 필수적인 것이라 생각했지만, 모든 관계를 사제 관계로 환원함으로써 오히려 구조적인 불평등을 자연화 했다. 이에 반해 남편-아내의 관계로 식민자와 식민지인의 만남을 형상화한 경우, 둘의 결합의 방해한, 차이를 차별로 전환한 책임을 조선 사회(정인택, 김사영) 혹은 일본 사회(이효석)에 묻고자 했다. 그러한 가운데 김사량은 민족 간의 불평등을 구조적 문제로 파악하고 그 속에서 고통받는 가해자=피해자로서의 식민지인, 식민자를 묘사함으로써 식민자를 정형이 아닌 성격으로 그려낼 수 있었다. 식민자와 식민지인의 우연한 만남을 그린 경우 일본적인 것으로 대표할 수 없는 조선적 특수성을 식민자에게 인지시키고자 했는데, 유진오, 최정희의 소설이 이에 해당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clear up the mode of encounter of colonizer(Japanese) and colonized(Korean). Korean writers constructed the imagined community through writing in Korean language and creating independent space. It appears as driving out colonizer(Japanese) in novel. Colonizer do not appear as a character in Korean modern novels. But in the last period of the Japanese occupation colonizer and their language appear in the Korean novel.
      Colonizer(Japanese) appear as a brother, teacher, sweetheart, and life partner in the Korean novel the last period of the Japanese occupation. The first mode of the encounter of colonizer and colonized is that of brothers or teacher-pupil. Lee Kwangsu described the relation of Korean and Japanese as brother or teacher-pupil although he insisted the equality between them. It solidified the inequality of colonizer and colonized. The second mode of encounter of colonizer and colonized is that of lover or husband-wife. Kim Saryang described the family of "Naisenittai(內鮮一體)" as the reproduction of racial discrimination, not unification of two nations. The third mode of encounter of colonizer and colonized is that of an accident. Yu Jino described the accidental encounter of Japanese and Korean as a chance to tell the particularity of Korean which is not reduced to universality of colonizer. Choi Junghee described the accidental encounter of Korean girl and Japanese soldier as a chnace to reveal the otherness of colonized.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clear up the mode of encounter of colonizer(Japanese) and colonized(Korean). Korean writers constructed the imagined community through writing in Korean language and creating independent space. It appears as driving out colonizer(Ja...

      This paper aims to clear up the mode of encounter of colonizer(Japanese) and colonized(Korean). Korean writers constructed the imagined community through writing in Korean language and creating independent space. It appears as driving out colonizer(Japanese) in novel. Colonizer do not appear as a character in Korean modern novels. But in the last period of the Japanese occupation colonizer and their language appear in the Korean novel.
      Colonizer(Japanese) appear as a brother, teacher, sweetheart, and life partner in the Korean novel the last period of the Japanese occupation. The first mode of the encounter of colonizer and colonized is that of brothers or teacher-pupil. Lee Kwangsu described the relation of Korean and Japanese as brother or teacher-pupil although he insisted the equality between them. It solidified the inequality of colonizer and colonized. The second mode of encounter of colonizer and colonized is that of lover or husband-wife. Kim Saryang described the family of "Naisenittai(內鮮一體)" as the reproduction of racial discrimination, not unification of two nations. The third mode of encounter of colonizer and colonized is that of an accident. Yu Jino described the accidental encounter of Japanese and Korean as a chance to tell the particularity of Korean which is not reduced to universality of colonizer. Choi Junghee described the accidental encounter of Korean girl and Japanese soldier as a chnace to reveal the otherness of coloniz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요약
      • 1. 식민자의 재현
      • 2. 관계의 서열화 - 사제와 형제
      • 3. 사랑의 정치화 - 연인과 부부
      • 4. 타자의 현현 - 우연적 만남
      • 국문 요약
      • 1. 식민자의 재현
      • 2. 관계의 서열화 - 사제와 형제
      • 3. 사랑의 정치화 - 연인과 부부
      • 4. 타자의 현현 - 우연적 만남
      • 5.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金史良, "金史良全集2" 河出書房新社 1973

      2 이경훈, "한국 근대 일본어 소설선" 역락 2007

      3 김원모, "춘원 이광수 친일문학-동포에 고함" 철학과현실사 1997

      4 채만식, "채만식전집5" 창작사 1987

      5 이경훈, "진정 마음이 만나서야말로" 평민사 1995

      6 추병완, "접촉 가설에 근거한 반편견 교수 방법" 한국윤리학회 81 : 289-262, 2001

      7 최석영, "일제의 동화이데올로기 창출" 서경문화사 1997

      8 서영인, "일제 말기 일본의 국책 문단과 외지의 문학 ―오비 쥬조의 「등반(登攀)」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학회 (47) : 217-244, 2011

      9 미야타 세쓰코, "식민통치의 허상과 실상" 혜안 2002

      10 신승모, "식민지 조선의 일본인 교사가 산출한 문학" 한국문학연구소 (38) : 133-161, 2010

      1 金史良, "金史良全集2" 河出書房新社 1973

      2 이경훈, "한국 근대 일본어 소설선" 역락 2007

      3 김원모, "춘원 이광수 친일문학-동포에 고함" 철학과현실사 1997

      4 채만식, "채만식전집5" 창작사 1987

      5 이경훈, "진정 마음이 만나서야말로" 평민사 1995

      6 추병완, "접촉 가설에 근거한 반편견 교수 방법" 한국윤리학회 81 : 289-262, 2001

      7 최석영, "일제의 동화이데올로기 창출" 서경문화사 1997

      8 서영인, "일제 말기 일본의 국책 문단과 외지의 문학 ―오비 쥬조의 「등반(登攀)」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학회 (47) : 217-244, 2011

      9 미야타 세쓰코, "식민통치의 허상과 실상" 혜안 2002

      10 신승모, "식민지 조선의 일본인 교사가 산출한 문학" 한국문학연구소 (38) : 133-161, 2010

      11 윤대석, "식민지 문학을 읽다" 소명출판 2012

      12 "매일신보"

      13 古屋哲夫, "近代日本における東アジア問題" 吉川弘文館 2001

      14 鄭仁澤, "淸凉里界外" 朝鮮圖書出版株式會社 1944

      15 朝鮮總督府, "朝鮮における國民精神總動員" 朝鮮總督府 1940

      16 "新時代"

      17 "國民總力"

      18 "國民新報"

      19 "國民文學"

      20 "京城日報"

      21 최혜림, "1940년대 전반기 소설에 관한 연구 : 문학장, 에크리튀르, 윤리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Urimalgeul -> Urimalgeul: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1.03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