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범죄예방정책의 바람직한 추진방향 - 관련 법률 제정과 제도개선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388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16년 통계청의 사회조사결과 우리나라 사회의 가장 주된 불안요인이 범죄발생이라고 응답하였다. 이처럼 범죄예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그동안 범죄예방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다소 부족하였다. 또한 경찰과 유관부처 및 지방자치단체가 CPTED 등 범죄예방 정책을 각기 개별적으로 추진하는 등 전략적 역할 분담이 없었고, 범죄예방의 기반인 범죄정보 공개에 관한 사회적 논의도 부족해 범죄정보의 이용과 예측적 범죄대응활동에 한계가 있었다. 최근의 범죄예방 관련 현황을 살펴보면, 범죄예방 관련기관에서 각각 다양한 범죄예방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범죄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범죄정보 공개는 미흡한 측면을 보이고 있었으며, 관련 법령인 「범죄예방기본법」은 19대 국회에서 발의된 Top-Down 방식과 20대 국회에서 발의된 Bottom-Up 방식으로 서로 상반되었다. 이러한 현황을 통해 범죄예방 개념의 정책적 확대 부족, 범죄예방보다 사후대응에 집중한 경찰조직 운영, 관련 입법부재로 기관별 영역경쟁 등 비효율적 대응, 범죄정보 공개 근거 미비라는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범죄예방 관련 입법을 통해 범죄예방 주체들 간 협력적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균형 잡힌 범죄정보 공개를 통해 치안행정에 대한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면서 지역사회 시민들의 참여를 유도해 나가야 한다. 범죄예방의 정책적 영역을 위험의 예방과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제거하기 위한 활동으로 확대하고, 경찰은 그동안의 범죄에 사후 대응(reactive)하는 체계에서 범죄예방을 선제적으로 추진해 가는 조직으로 패러다임 전환을 해야 한다.
      번역하기

      2016년 통계청의 사회조사결과 우리나라 사회의 가장 주된 불안요인이 범죄발생이라고 응답하였다. 이처럼 범죄예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그동안 범죄예방에 대한 체계...

      2016년 통계청의 사회조사결과 우리나라 사회의 가장 주된 불안요인이 범죄발생이라고 응답하였다. 이처럼 범죄예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그동안 범죄예방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다소 부족하였다. 또한 경찰과 유관부처 및 지방자치단체가 CPTED 등 범죄예방 정책을 각기 개별적으로 추진하는 등 전략적 역할 분담이 없었고, 범죄예방의 기반인 범죄정보 공개에 관한 사회적 논의도 부족해 범죄정보의 이용과 예측적 범죄대응활동에 한계가 있었다. 최근의 범죄예방 관련 현황을 살펴보면, 범죄예방 관련기관에서 각각 다양한 범죄예방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범죄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범죄정보 공개는 미흡한 측면을 보이고 있었으며, 관련 법령인 「범죄예방기본법」은 19대 국회에서 발의된 Top-Down 방식과 20대 국회에서 발의된 Bottom-Up 방식으로 서로 상반되었다. 이러한 현황을 통해 범죄예방 개념의 정책적 확대 부족, 범죄예방보다 사후대응에 집중한 경찰조직 운영, 관련 입법부재로 기관별 영역경쟁 등 비효율적 대응, 범죄정보 공개 근거 미비라는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범죄예방 관련 입법을 통해 범죄예방 주체들 간 협력적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균형 잡힌 범죄정보 공개를 통해 치안행정에 대한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면서 지역사회 시민들의 참여를 유도해 나가야 한다. 범죄예방의 정책적 영역을 위험의 예방과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제거하기 위한 활동으로 확대하고, 경찰은 그동안의 범죄에 사후 대응(reactive)하는 체계에서 범죄예방을 선제적으로 추진해 가는 조직으로 패러다임 전환을 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2016 social survey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NSO) revealed that the biggest factor causing anxiety in society was the occurrence of crime. Although public interest in mitigating crime has been increasing, insufficient systemic approaches have been taken towards preventing crime. Police who have worked hitherto on the policing field, relevant government departments as well as local governments execute separate crime prevention efforts such as CPTED to promote public order without strategically assigning roles. There is insufficient social consensus on disclosing crime information which is the foundation of crime prevention. Henceforth, a cooperative network amongst crime prevention entities must be created through establishing relevant legislations and the participation of local citizens should be encouraged through revealing adequate amounts of crime information while maintaining an attitude of responsibility and transparency. The policy realm of crime prevention should be enlarged to active realms to prevent danger and mitigate fear regarding crimes. The paradigm of the role of police against crime should transform from one of reacting post-crime to one of pre-emptive action.
      번역하기

      A 2016 social survey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NSO) revealed that the biggest factor causing anxiety in society was the occurrence of crime. Although public interest in mitigating crime has been increasing, insufficient systemic approaches ha...

      A 2016 social survey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NSO) revealed that the biggest factor causing anxiety in society was the occurrence of crime. Although public interest in mitigating crime has been increasing, insufficient systemic approaches have been taken towards preventing crime. Police who have worked hitherto on the policing field, relevant government departments as well as local governments execute separate crime prevention efforts such as CPTED to promote public order without strategically assigning roles. There is insufficient social consensus on disclosing crime information which is the foundation of crime prevention. Henceforth, a cooperative network amongst crime prevention entities must be created through establishing relevant legislations and the participation of local citizens should be encouraged through revealing adequate amounts of crime information while maintaining an attitude of responsibility and transparency. The policy realm of crime prevention should be enlarged to active realms to prevent danger and mitigate fear regarding crimes. The paradigm of the role of police against crime should transform from one of reacting post-crime to one of pre-emptive ac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범죄예방정책의 현황 및 문제점
      • Ⅳ. 범죄예방정책의 개선방안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범죄예방정책의 현황 및 문제점
      • Ⅳ. 범죄예방정책의 개선방안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문승, "효율적인 범죄예방을 위한 경찰활동과 시민 참여" 한국경찰학회 5 (5): 81-112, 2003

      2 최준혁, "형사정책적 수단의 범죄예방의 유효성에 대한 연구" 한국보호관찰학회 12 (12): 261-284, 2012

      3 김기범, "형사사법정보의 이용 제공 실태 및 입법적 개선방안" 한국법학회 16 (16): 121-142, 2016

      4 김한균, "협치적 형사정책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5 백상진, "현대사회에서 경찰법상 전통적 위험개념의 한계와 현대적 위험예방의 정당성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 17 (17): 135-164, 2015

      6 "헌법재판소 2004. 1. 29 결정 2002헌마293"

      7 박현호, "한국적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의 제도적 고찰" 한국경찰연구학회 5 (5): 113-160, 2006

      8 김형중, "한국경찰사" 박영사 2016

      9 조병인, "지역공동체내 범죄예방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2

      10 김상호, "지리적 프로파일링 시스템 관련 기사 분석" 한국공안행정학회 26 (26): 31-58, 2017

      1 양문승, "효율적인 범죄예방을 위한 경찰활동과 시민 참여" 한국경찰학회 5 (5): 81-112, 2003

      2 최준혁, "형사정책적 수단의 범죄예방의 유효성에 대한 연구" 한국보호관찰학회 12 (12): 261-284, 2012

      3 김기범, "형사사법정보의 이용 제공 실태 및 입법적 개선방안" 한국법학회 16 (16): 121-142, 2016

      4 김한균, "협치적 형사정책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5 백상진, "현대사회에서 경찰법상 전통적 위험개념의 한계와 현대적 위험예방의 정당성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 17 (17): 135-164, 2015

      6 "헌법재판소 2004. 1. 29 결정 2002헌마293"

      7 박현호, "한국적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의 제도적 고찰" 한국경찰연구학회 5 (5): 113-160, 2006

      8 김형중, "한국경찰사" 박영사 2016

      9 조병인, "지역공동체내 범죄예방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2

      10 김상호, "지리적 프로파일링 시스템 관련 기사 분석" 한국공안행정학회 26 (26): 31-58, 2017

      11 정연대, "위험사회에서의 경찰활동 변화에 대한 고찰" 한국경찰연구학회 12 (12): 383-410, 2013

      12 조흥식, "우리나라 범죄의 사회적 비용 추정에 관한 연구 - 범죄의 심각성 점수를 고려한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학회 17 (17): 163-199, 2010

      13 노성훈, "시공간 분석과 위험영역모델링을 활용한 범죄예측모형의 예측력 검증"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6 (26): 1-28, 2015

      14 박우현, "스토킹․데이트폭력 피해예방법의 제정방안- 제20대 국회 의원입법안 검토를 중심으로 -" 치안정책연구소 31 (31): 199-232, 2017

      15 국민안전처, "생활안전지도 웹・모바일 전국 서비스 공개"

      16 최준혁, "사전예방 중심의 형사정책 : 예방의 의미, 방법, 한계에 관하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5 (25): 1-28, 2014

      17 조윤오, "범죄피해 경험이 일상생활의 활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 2 (2): 2012

      18 이혜인, "범죄정보공개의 정책적 효과: 영국의 Open Crime Map이 범죄율 및 부동산 가격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19 조용철, "범죄예측을 통한 범죄예방활동에 관한 고찰: 지역사회의 범죄통제방안을 중심으로" (창간) : 2005

      20 이민식, "범죄예방행위의 개념화와 측정" 9 (9): 2001

      21 한상암, "범죄예방을 위한 정보 주도형 경찰활동(ILP)에 대한 연구 - 국내도입논의를 중심으로 -" 한국경호경비학회 (36) : 227-253, 2013

      22 임준태, "범죄예방론" 대영문화사 2009

      23 권양섭, "범죄예방과 수사에 있어서 빅데이터 활용과 한계에 관한 연구" 한국법학회 17 (17): 179-198, 2017

      24 유여경, "범죄예방 환경설계 사업의 효과성 제고 방안 연구" 중앙대학교대학원 2017

      25 박경래, "범죄 및 형사정책에 대한 법경제학적접근(II): 범죄의 사회적 비용 추계"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0

      26 국정기획자문위원회, "문재인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 2017

      27 "뉴시스"

      28 "노컷뉴스"

      29 김상철, "국민안전을 위한 경찰강제처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범죄우려자에 대한 보호조치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7

      30 "경향신문"

      31 송봉규, "경찰활동과 범죄에 대한 두려움" 한국범죄심리학회 8 (8): 133-152, 2012

      32 경찰청, "경찰정체성 자료집"

      33 임창호, "‘지역사회에 기초한 범죄예방’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 (19) : 133-174, 2005

      34 Engel, Robin S., "The Impact of Police on Criminal Justice Reform: Evidence from Cincinnati, Ohio" 16 (16): 2017

      35 NCPC(National Crime Prevention Council), "Designing Safer Communities: A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Handbook"

      36 석청호, "Beccaria의 범죄예방 사상과 그 시사점" 한국경찰학회 11 (11): 221-252, 2009

      37 Braga, Anthony A., "Arrests, Harm Reduction, and Police Crime Prevention Policy" 16 (16): 2017

      38 통계청, "2016년 사회조사결과(가족・교육・보건・안전・환경)"

      39 경찰청, "2015 경찰백서"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3-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22-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Police Science Journal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7 0.97 0.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8 0.75 1.02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