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간척지(干拓地) 초지조성(草地造成)을 위(爲)한 도입호주품종(導入濠州品種)의 적응성(適應性) 조사(調査)에 관(關)한 연구(硏究)(제(第)II보(報)) = Studies on the Adaptability of Introduced Species from Australia for Grassland Establishment on Saline Land (Part I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567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木) 시험(試驗)은 서해안지대(西海岸地帶)의 간척지(干拓地) 주변(周邊)에 초지(草地)를 조성(造成) 할 수 있는 목초(牧草) 선발(選拔)코저 Strawberry clover, Alfalfa, Meadow grass, Kikulyu grass 및 Pearl...

      본(木) 시험(試驗)은 서해안지대(西海岸地帶)의 간척지(干拓地) 주변(周邊)에 초지(草地)를 조성(造成) 할 수 있는 목초(牧草) 선발(選拔)코저 Strawberry clover, Alfalfa, Meadow grass, Kikulyu grass 및 Pearl millet의 적응성(適應性)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간척지(干拓地)의 염도(鹽度)가 0.4%인 토양(土壤)에서는 종자(種子)의 발아(發芽)가 되지 않았다. 2. 염도(鹽度) 0.2%의 간척지(干拓地)에서는 공시목초(供試牧草)의 생육(生育)이 가능(可能)하였으나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해서 Strawberry clover와 Alfalfa는 초장(草長)이 현저하게 적었다. 3 분얼수(分蘖數)와 수량(收量)도 Strawberry clover, Alfalfa는 적었으나 Kikuyu grass와 Pearl millet는 간척지(干拓地)에서도 비교적(比較的) 좋은 성적(成積)을 얻었다. 4. Meadow grass는 초장(草長)이 짧은 관계(關係)로 수량(收量)은 크게 기대할 수 없으나 분얼(分蘖)이 잘되므로 간척지제방(干拓地堤防)등에 토양유실방지용(土懷流失防止用)으로 효과(效果)가 있을 것으로 본다. 5. Kikuyu grass는 호주(濠州)와 열대지방(熱帶地方)에서는 다년생(多年生) 목초(牧草)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월동이 불가능(不可能)하므로 Pearl millet와 같이 청예용(靑刈用), lage 및 건초용(乾草用)으로 간척지(干拓地)에서 재배이용(栽培利用)하는 방법(方法)이 기대된다. 6. 앞으로 본(本) 시험(試驗)에서 계속(繼續)하여 시험재배(試驗栽培)되어야 할 작물(作物)은 호주(濠州)의 사해안(四海岸)에서 시험재배(試驗栽培)에 성공(成功)한 Salt water couch (Sporobolus virignicus), Seashore Paspalum (Paspalum Vaginatum), Paccinellia sp., Couch grass, Wimmera ryegrass, Puccinella, Salt bush, Blue bush, Samphires (Arthrame num spp. ) 등으로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select some salt tolerant pasture species for grassland establishment on the west coastal saline land in Korea, this work was carried out from March to October in 1976 with 5 pasture seeds mainly were introduced from Australia. On the soil salt con...

      To select some salt tolerant pasture species for grassland establishment on the west coastal saline land in Korea, this work was carried out from March to October in 1976 with 5 pasture seeds mainly were introduced from Australia. On the soil salt content was 0.4%, all seeds germination were failure, but all species were survived on the 0.2% salt content land. The yield of forage were much better from Kikuyu grass and Pearl millet but poor from other species. The Meadow grass could be used for protect soil erosion by lot of tillers. By the result from this experiment, only Kikuyu grass and Pearl millet were possible to use for forage crops. But to continue this work, it is suggested to introduced more effective species such like Saltwater couch, Saltshore ryegrass, Puccinella, Salt bush, Blue buch, Samphire and so 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