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수진, "프랑스의 포스트-휴머니즘적 상상력과 문학적 재현 - 미셀 웰벡의 『어느 섬의 가능성』과 사색" 한국불어불문학회 (93) : 215-239, 2013
2 최용호, "자크 퐁타뉴의 『기호학적 실천』에 나타난 통합적 기획의 일반기호학적 성격에 관하여" 한국불어불문학회 (116) : 381-406, 2018
3 김윤상, "의미를 체현하는 육체" 인간사랑 2003
4 양효실, "윤리적 폭력 비판" 인간사랑 2013
5 미셸 우엘벡, "어느 섬의 가능성" 열린책들 2007
6 김수환, "소비에트 마지막 세대의 눈으로 본 후기사회주의: 알렉세이 유르착(Alexei Yurchak)의 『모든 것은 영원했다, 사라지기 전까지는』" 한국러시아문학회 (41) : 187-199, 2012
7 유르착 A, "모든 것은 영원했다, 사라지기 전까지는: 소비 에트의 마지막 세대" 문학과 지성사 2019
8 김수환, "공산주의와 기호 - 언어 통치에서 수행적 전환으로" 한국기호학회 57 : 27-57, 2018
9 푸코 M, "감시와 처벌" 나남 1975
10 오영주, "『어느 섬의 가능성』 혹은 ‘잃어버린 몸을 찾아서’ - 포스트휴먼 주체와 몸" 한국불어불문학회 (101) : 103-125, 2015
1 이수진, "프랑스의 포스트-휴머니즘적 상상력과 문학적 재현 - 미셀 웰벡의 『어느 섬의 가능성』과 사색" 한국불어불문학회 (93) : 215-239, 2013
2 최용호, "자크 퐁타뉴의 『기호학적 실천』에 나타난 통합적 기획의 일반기호학적 성격에 관하여" 한국불어불문학회 (116) : 381-406, 2018
3 김윤상, "의미를 체현하는 육체" 인간사랑 2003
4 양효실, "윤리적 폭력 비판" 인간사랑 2013
5 미셸 우엘벡, "어느 섬의 가능성" 열린책들 2007
6 김수환, "소비에트 마지막 세대의 눈으로 본 후기사회주의: 알렉세이 유르착(Alexei Yurchak)의 『모든 것은 영원했다, 사라지기 전까지는』" 한국러시아문학회 (41) : 187-199, 2012
7 유르착 A, "모든 것은 영원했다, 사라지기 전까지는: 소비 에트의 마지막 세대" 문학과 지성사 2019
8 김수환, "공산주의와 기호 - 언어 통치에서 수행적 전환으로" 한국기호학회 57 : 27-57, 2018
9 푸코 M, "감시와 처벌" 나남 1975
10 오영주, "『어느 섬의 가능성』 혹은 ‘잃어버린 몸을 찾아서’ - 포스트휴먼 주체와 몸" 한국불어불문학회 (101) : 103-125, 2015
11 Houellebecq M., "Sérotonine" Flammarion 2019
12 Fontanille J., "Sémiotique du discours" Pulim 2003
13 Houellebecq M., "Soumission" Flammarion 2015
14 Ricoeur P., "Soi-même comme un autre" Seuil 1990
15 Austin J. L., "Quand dire, c’est faire" Seuil 1991
16 Fontanille J., "Pratique sémiotique" puf 2008
17 Sweeney C., "Michel Houellebecq and The Literature of Despair" Bloomsbury 2013
18 Houellebecq M., "Les particules élémentaires" j’ai lu 1997
19 Houellebecq M., "La possibilité d’une île" j’ai lu 2005
20 Austin J. L, "How to Do Things with 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