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질문법 활용을 통한 중학생들의 일과 에너지 개념변화 과정에 대한 탐색 = The Effects of Question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ual Change Regarding ‘Work and Ener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215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question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ual change regarding
      the concept of work and energy. In order to achieve the aim, the
      authors constructed a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by teacher-centered instruction (i.e., lectures),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by using a questioning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wo different teaching methods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work and energy. However, an
      in-depth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positive effects of the questioning method on students' conceptual
      change. Namely, the teacher's questioning naturally led students to
      expose their misconceptions, promoted their thinking reflectively
      and logically, and encouraged them to actively participate in a
      meaning-making process with the teacher.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question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ual change regarding the concept of work and energy. In order to achieve the aim, the authors constructed a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contr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question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ual change regarding
      the concept of work and energy. In order to achieve the aim, the
      authors constructed a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by teacher-centered instruction (i.e., lectures),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by using a questioning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wo different teaching methods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work and energy. However, an
      in-depth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positive effects of the questioning method on students' conceptual
      change. Namely, the teacher's questioning naturally led students to
      expose their misconceptions, promoted their thinking reflectively
      and logically, and encouraged them to actively participate in a
      meaning-making process with the teach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일과 에너지' 개념에 대한 중학생들의 개념변화 과정을
      조사하기 위하여 경기도 부천시에 소재한 남녀 공학 중학교의 3학년에
      재학 중인 4개 학급 147명을 실험반과 통제반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반은 학생과의 계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개념변화를
      유발하기 위한 질문법을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통제반은 교사의
      설명을 통해 내용이 전달되는 일반적인 강의식 수업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질문법을 활용한 수업을 진행한 실험반과 강의식 수업을 진행한
      통제반 사이의 개념 검사 결과는 실험반이 다소 향상된 결과를 보이기는
      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그러나 실험반
      수업을 녹음하여 심도있게 분석한 결과, 질문법을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개념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낼 수
      있었다. 즉, 교사의 질문은 학생들의 오개념을 노출시키는데 효과적으로
      작용하였고, 학생들의 반성적 사고와 논리적 사고과정을 촉진하였으며,
      교사-학생간 상호작용을 증가시킴으로 인해 교사와 학생이 함께
      과학개념을 형성해나갈 뿐만 아니라 학생이 개념을 내면화하는 과정을
      도왔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일과 에너지' 개념에 대한 중학생들의 개념변화 과정을 조사하기 위하여 경기도 부천시에 소재한 남녀 공학 중학교의 3학년에 재학 중인 4개 학급 147명을 실험반과 통제반...

      본 연구에서는 `일과 에너지' 개념에 대한 중학생들의 개념변화 과정을
      조사하기 위하여 경기도 부천시에 소재한 남녀 공학 중학교의 3학년에
      재학 중인 4개 학급 147명을 실험반과 통제반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반은 학생과의 계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개념변화를
      유발하기 위한 질문법을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통제반은 교사의
      설명을 통해 내용이 전달되는 일반적인 강의식 수업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질문법을 활용한 수업을 진행한 실험반과 강의식 수업을 진행한
      통제반 사이의 개념 검사 결과는 실험반이 다소 향상된 결과를 보이기는
      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그러나 실험반
      수업을 녹음하여 심도있게 분석한 결과, 질문법을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개념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낼 수
      있었다. 즉, 교사의 질문은 학생들의 오개념을 노출시키는데 효과적으로
      작용하였고, 학생들의 반성적 사고와 논리적 사고과정을 촉진하였으며,
      교사-학생간 상호작용을 증가시킴으로 인해 교사와 학생이 함께
      과학개념을 형성해나갈 뿐만 아니라 학생이 개념을 내면화하는 과정을
      도왔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R. Driver, 67 : 443-, 1986

      2 E. H. van Zee, 6 : 227-, 1997

      3 R. Driver, 23 : 5655-, 1994

      4 J. Leach, 38 : 115-, 2002

      5 J. Leach, 12 : 91-, 2003

      6 M. J. Sanger, 22 : 521-, 2000

      7 J. Yoon,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9

      8 J. Kwon, 24 : 499-, 2004

      9 R. Driver, 11 : 481-, 1989

      10 J. Kim, 45 : 229-, 2002

      1 R. Driver, 67 : 443-, 1986

      2 E. H. van Zee, 6 : 227-, 1997

      3 R. Driver, 23 : 5655-, 1994

      4 J. Leach, 38 : 115-, 2002

      5 J. Leach, 12 : 91-, 2003

      6 M. J. Sanger, 22 : 521-, 2000

      7 J. Yoon,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9

      8 J. Kwon, 24 : 499-, 2004

      9 R. Driver, 11 : 481-, 1989

      10 J. Kim, 45 : 229-, 2002

      11 H. Kang, 26 : 385-, 2006

      12 S. Kim, 19 : 377-, 1999

      13 C. Koufetta-Menicou, 81 : 79-, 2000

      14 E. Kim, 22 : 466-, 2002

      15 Y. Chung, 22 : 872-, 2002

      16 J. Park, 26 : 239-, 2006

      17 송진웅, "구성주의적 과학교육과 학생의 물리 誤槪念 地圖" 한국수학교육학회 42 (42): 3-110, 2003

      18 J. V. Wertsch, "Voices of the Mind: A Sociocultural Approach to Mediated Action" Havard University Press 1991

      19 J. F. Callahan, "Teaching in the Middle and Secondary Schools, 6th ed" Merrill 1998

      20 J. L. Lemke, "Talking Science: Language, Learning and Values" Ablex 1990

      21 L. S. Vygotsky,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1978

      22 E. Mortimer, "Meaning Making in Secondary Science Classrooms" Open University Press 2003

      23 G. Wells, "Inquiry: Toward a Sociocultural Practice and Theory of Educ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24 E. Mortimer, "Improving Science Education: The Contribution of Research edited" Open University Press 126-142, 2000

      25 P. E. Blosser, "How to Ask Right Questions" NSTA 1991

      26 P. E. Blosser, "Handbook of Effective Questioning Techniques" Education Associates Inc. 197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6-09-0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ae Mulli(New Physics) -> New Physics: Sae Mulli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5 0.14 0.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