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자본주의 도시의 경관 및 장소 형성과 변화에 관한 문헌 검토와 개념적 연구를 통해 역사적 경관의 복원 및 장소 정체성의 재구성의 의의와 한계를고찰하고자 한다. 경관은 3가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709670
최병두 (대구대학교)
2012
Korean
경관 ; 장소 ; 정체성 ; 집단적 기억 ; 창조적 파괴 ; 장소-기반적 정치 ; 장소만들기 ; landscape ; place ; identity ; collective memory ; creative destruction ; place-based politics ; place-making
KCI등재
학술저널
92-135(44쪽)
2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자본주의 도시의 경관 및 장소 형성과 변화에 관한 문헌 검토와 개념적 연구를 통해 역사적 경관의 복원 및 장소 정체성의 재구성의 의의와 한계를고찰하고자 한다. 경관은 3가지 ...
이 논문은 자본주의 도시의 경관 및 장소 형성과 변화에 관한 문헌 검토와 개념적 연구를 통해 역사적 경관의 복원 및 장소 정체성의 재구성의 의의와 한계를고찰하고자 한다. 경관은 3가지 요소들, 즉 물리적 형상, 사회적 역할, 상징적 의미로 구성되며, 장소는 이러한 3가지 요소들의 공간적 복합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경관과 장소에 관한 연구는 이러한 요소들에 대한 종합적 접근과 더불어 ‘집단적 기억’과의 관련성에 관한 고찰로 전개되고 있다. 자본주의 도시의 개발과정은 전통적, 일상적 생활 속에서 이루어진 역사적 경관이나 장소들을 파괴하고, 자본의 순환과 지배권력의 이해관계를 반영하여 역사적 경관과 장소를 선별적으로보전 또는 복원하거나 새로운 경관이나 장소를 창출하기도 한다. 특히 신자유주의적 도시화 과정에서 전개되는 ‘창조적 파괴’는 이러한 경관과 장소의 보전, 복원, 창출 과정을 특징지운다. 자본주의 도시에서 추진되는 이러한 창조적 파괴의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 연구의 바탕으로 하이데거의 현상학적 이론이나 푸코의 포스트모던 이론과 더불어 정치경제학적 접근이 제시될 수 있다. 또한 대안적 경관 및 장소 만들기를 위해 개방적·관련적·실천적 장소의 개념에 바탕을 둔장소의 정치가 강조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consider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restoration of historical landscapes and reconstitution of place identity through a conceptual examination on (re)creation of urban landscape and place identity in capitalist cities. Landscape is co...
This paper consider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restoration of historical landscapes and reconstitution of place identity through a conceptual examination on (re)creation of urban landscape and place identity in capitalist cities.
Landscape is constituted with physical form, social function, and symbolic meaning, and hence can be interpreted in a synthesis of the three elements.
Place can be seen not merely as a site of landscape, but as a spatial complex of those three elements. Development of capitalist cities have destructed most of historical landscapes and places constructed in traditional contexts of everyday living, and preserve selectively or restore some of them, or create new landscapes and places in order to promote capital circulation and/or to strengthen dominant power.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creative destruction’seems to characterize properly the preservation, restoration or (re)creation of landscapes and places in the process of neoliberal urbanization.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 of creative destruction and to develop alternative approaches,it can be suggested that Heidegger’s phenomenology or Foucault’s postmodern theory should be combined with the political economic perspective. In addition, a politics of place which can be conceptualized as open, relational, and practical, should be emphasized for alternative landscapes and places-making.
참고문헌 (Reference)
1 송희은, "창경궁의 장소성과 상징적 의미의 사회적 재구성"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19 (19): 24-44, 2007
2 정희선, "종교 공간의 장소성과 사회적 의미의 관계: 명동성당을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 7 (7): 97-110, 2004
3 Relph, E.,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4 Cresswell, T., "장소" 시그마프레스 2004
5 최병두, "자본주의 사회에서 장소성의 상실과 복원" 8 : 253-278, 2002
6 최병두, "자본의 도시: 신자유주의적 도시화와 도시정책" 한울 2012
7 지명인, "신자유주의적 공간재편의 맥락에서 본 구룡마을 경관에 대한 비판적 해석"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4 (24): 186-207, 2012
8 Harvey, D., "세계시민주의와 자유의 지리학" 삼천리 2009
9 공윤경, "부산 산동네의 도시경관과 장소성에 관한 고찰" 한국도시지리학회 13 (13): 129-145, 2010
10 전종한, "도시 뒷골목의‘장소 기억’ -종로 피맛골의 사례-" 대한지리학회 44 (44): 779-796, 2009
1 송희은, "창경궁의 장소성과 상징적 의미의 사회적 재구성"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19 (19): 24-44, 2007
2 정희선, "종교 공간의 장소성과 사회적 의미의 관계: 명동성당을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 7 (7): 97-110, 2004
3 Relph, E.,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4 Cresswell, T., "장소" 시그마프레스 2004
5 최병두, "자본주의 사회에서 장소성의 상실과 복원" 8 : 253-278, 2002
6 최병두, "자본의 도시: 신자유주의적 도시화와 도시정책" 한울 2012
7 지명인, "신자유주의적 공간재편의 맥락에서 본 구룡마을 경관에 대한 비판적 해석"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4 (24): 186-207, 2012
8 Harvey, D., "세계시민주의와 자유의 지리학" 삼천리 2009
9 공윤경, "부산 산동네의 도시경관과 장소성에 관한 고찰" 한국도시지리학회 13 (13): 129-145, 2010
10 전종한, "도시 뒷골목의‘장소 기억’ -종로 피맛골의 사례-" 대한지리학회 44 (44): 779-796, 2009
11 홍금수, "도시 공간 속의 촌락: 중계본동 ‘104마을’ 서민경관의 퇴락"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4 (24): 50-75, 2012
12 구동회, "공간과 장소" 대윤 2007
13 정옥주, "경관의 계획과 장소마케팅"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17 (17): 1-18, 2005
14 홍금수, "경관과 기억에 투영된 지역의 심층적 이해와 해석"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1 (21): 46-94, 2009
15 최병두, "건축의 공간성과 지리학, 대한건축학회 회지" 23-26, 2010
16 Sale, K., "What Columbus discovered" 44-46, 1990
17 Henderson, G., "What (else) we talk about when we talk about landscape: for a return to the social imagination, In Everyday America: cultural landscape studies after J. B. Jacks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78-198, 2003
18 Hebbert, M., "The street as locus of collective memory" 23 : 581-596, 2005
19 Hayden, D., "The Power of Place: Urban Landscape as Public History" MIT Press 1995
20 Lowenthal, D., "The Past is a Foreign Country" Cambridge U.P 1985
21 Kunstler, R., "The Geography of Nowhere: The Rise and Decline of America’s Man-Made Landscape" Free Press 1994
22 Casey, E., "The Fate of Place: A Philosophical Histo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7
23 Boyer, C., "The City of Collective Memory" MIT Press 1996
24 Brenner, N, "Spaces of neoliberalism: Urban restructuring in North America and Western Europe" Blackwell 2002
25 Legg S., "Reviewing geographies of memory/forgetting" 39 (39): 456-466, 2007
26 Heesun Chung, "Reflecting Collective Memories on Landscapes: Disputes over the Statue of General Douglas MacArthur in Incheon, South Korea" 국토지리학회 40 (40): 169-184, 2006
27 Chang, T. C., "Recreating place, replacing memory: Creative destruction at the Singapore River" 46 (46): 267-280, 2005
28 Nagel, C., "Reconstructing space, re-creating memory: Sectarian politics and urban development in post-war Beirut" 21 (21): 717-725, 2002
29 Kohn, M., "Radical Space: Building the House of the Peop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03
30 Dirlik, A., "Place-Based Imagination: Globalism and the Politics of Place, In Places and Politics in an Age of Globalization" Rowman and Littlefield 15-51, 2001
31 Cosgrove, D., "Place, landscape, and the dialectics of cultural geography" 22 : 66-72, 1978
32 Escobar, A., "Place, Economy and Culture in a Post-Development Era, In Places and Politics in an Age of Globalization" Rowman and Littlefield 193-217, 2002
33 Agnew, J., "Place and Politics: The Geographical Mediation of State and Society" Allen and Unwin 1987
34 Foucault, M., "Of other spaces" 16 : 22-27, 1986
35 Peck, J., "Neoliberal urbanism: Models, moments, mutations" 24 (24): 49-66, 2009
36 Keeling, D. J., "Neoliberal reform and landscape change in Buenos Aires, Argentina" 25 : 15-32, 1999
37 Ricoeur, P., "Memory, History, Forgetting"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3
38 Duncan, J. S., "Landscapes of privilege: the politics of the aesthetic in an American suburb" Routledge 2004
39 Zukin, S., "Landscapes of Power: From Detroit to Disney Worl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5
40 Olwig, K., "Landscape, Nature and the Body Politics"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002
41 O’Keeffe, T., "Landscape and memory: historigraphy, theory, methodology, In Heritage, Memory and the Politics of Identity: New Perspectives on the Cultural Landscape" Ashgate 3-18, 2007
42 Foltz, B., "Inhabiting the Earth: Heidegger, Environmental Ethics, and the Metaphysics of Nature" Humanities Press 1995
43 Jones, O., "Geography, Memory and Non-Representational Geographies" 5 (5): 875-885, 2011
44 Jackson, P., "Geography and the cultural turn" 113 : 186-188, 1997
45 Dowling, R., "Geographies of identity: landscapes of class" 33 (33): 833-839, 2009
46 Norberg-Shulz, C., "Genius Loci: Towards a Phenomenology of Architecture" Rizzoli 1980
47 Bondi, L., "Gender symbols ad urban landscapes" 16 (16): 157-170, 1992
48 Kirby, A., "Everything is solid, after all" 19 : 1-2, 2002
49 Mitchell, D., "Cultural landscapes: the dialectical landscape - recent landscape research in human geography" 26 (26): 381-389, 2002
50 Mitchell, D., "Cultural landscapes: just landscapes or landscapes of justice?" 327 (327): 787-796, 2003
51 Heidegger, M., "Building, dwelling thinking, In Poetry, Language, Thought" Harper and Row 1971
52 Nora, P., "Between memory and history: Les lieux de memoire" 26 : 7-24, 1989
53 Berg, L. D., "Banal naming, neoliberalism, and landscapes of dispossession" 10 (10): 13-22, 2011
54 정희선, "A Critical Review on Regenerating a Place’s Economic Value through Landscape Restructuring: The Case of Dongdaemun Stadium" 대한지리학회 44 (44): 161-175, 2009
관점과 현장 : 두물머리 생태학습장 조성 추진협의회 활동에 대한 단상
서평 : 왜 국가인가? -제임스 C. 스콧의 『국가처럼 보기』를 읽고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3 | 1.23 | 1.2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6 | 1.32 | 1.495 | 0.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