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들어서면서 인쇄문학이 정착됨에 따라서 작가는 자본이 장악한 문자매체를 떠나서는 독자와 소통할 수단을 얻을 수 없게 되었다. 한국의 경우 1924년 민간신문에 문예면이 설치되고 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근대 들어서면서 인쇄문학이 정착됨에 따라서 작가는 자본이 장악한 문자매체를 떠나서는 독자와 소통할 수단을 얻을 수 없게 되었다. 한국의 경우 1924년 민간신문에 문예면이 설치되고 동...
근대 들어서면서 인쇄문학이 정착됨에 따라서 작가는 자본이 장악한 문자매체를 떠나서는 독자와 소통할 수단을 얻을 수 없게 되었다. 한국의 경우 1924년 민간신문에 문예면이 설치되고 동인지문단 시기가 끝나면서 발표지면은 신문자본이 장악하게 되었으며, 문학은 상품적 성격이 강력해졌다. 자본은 원고를 일종의 원료로 간주하여 선별적으로 매입하고, 이를 다시 상품의 형태로 유통시켰다. 결국 신문자본은 어떤 필자에게 어떤 글을 쓰게 하고 얼마에 이를 매입해서 어떤 방식으로 가공(편집)하여 판매할 것인가의 문제, 즉 문학 출판유통의 모든 과정에서 거의 지배적인 결정권을 갖게 되었다. 이제 글쓰기는 자발적인 것이라기보다 청탁에의 한 ‘주문생산’의 성격을 강하게 띠게 되었다.
식민지 조선에서 신문자본의 힘이 이렇게 비대해진 것은, 1930년대 일제의 만주침공과 중일전쟁을 두 핵심적 계기로 삼는 조선 및 일본경제의 성장에 힘입은 것이었다. 전쟁기를 맞아 검열 역시 강화되었는데, 신문자본은 늘어난 광고를 소화하기 위해서 검열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 지면 즉 문예면을 집중적으로 강화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 문인들은 이러한 문학장(場)의 물질적 토대가 어떤 정치경제적 상황에서 비롯된 것인가에 대한 관심이 대체로 부족했다. 이 논문은 1930년대 문예면증면에 대한 문인들의 반응, 그리고 문필가 협회 창립과 관련된 논의를 살핌으로써 이를 확인했다. 문예면증면에 대해서는 발표기회 증대라며 환영하거나, 수준 저하가 우려된다며 승인권의 약화를 걱정하는 반응이 주조를 이뤘다. 문인단체의 창립과정에서는 정당한 원고료를 받아야 마땅하다는 견해가 압도적이었다. 또한 같은 시기에 비교적 풍족했던 일본문단의 물질적 토대에 대한 부러움을 강력하게 나타냈다. 그러면서 그 물질적 토대가 전쟁 고원 경기에 힘입은 것이었다는 점에 대해서는 별다른 인식을 보여 주지 못했다. 한편 문필가협회는 검열 문제는 거의 염두에 두지 않았는데, 이는 1920년대 일본에서 문학단체가 출범할 때 적극적으로 검열 반대운동을 펼쳤음과 대조적이다.
이렇듯 문학장의 정치경제적 토대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상황에서, 판매부수나 원고료 등 일본문학의 현상을 ‘선진의 모범항’으로 상정함으로써 한국문인들의 인식에는 일정한 한계가 생길 수밖에 없었다. 문학과 사회의 관련성을 그 정신적 차원에서만 인식하면서 문학텍스트의 물질적 존재가 맺는 관련성에 눈 돌리지 않는다거나, 또는 아예 문학을 고립적이고 자족적인 것으로만 인식하는 편향은 이와 관련될 것이다.
오늘날 원고료 없는 문학을 상상하기 어렵다. 원고료의 수준과 그 잡지의 문학적 권위를 비례해서 생각하는 경향도 없지 않으며, 베스트셀러에의 욕망은 내남없이 지니고 있다. 오늘의 한국문인들은 1930년대적 한계에서 과연 얼마나 자유로울 수 있을까.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ntering the modern times, with the establishment of literature, writers lost independent methods of communication to reach out to readers, with exception to written media controlled by capital. In the case of Korea, the art & literature pages were fi...
Entering the modern times, with the establishment of literature, writers lost independent methods of communication to reach out to readers, with exception to written media controlled by capital. In the case of Korea, the art & literature pages were first introduced in the private newspapers in 1924 and caused printing capital to dominate the press release pages and as a result, literature came to hold a stronger commoditylike characteristic. Capital regarded manuscripts as a form of raw materials, purchased them selectively and distributed them in the form of commodity. In the end, printing capital gained dominant decision rights as to demand what topic of writing from which writers, to buy the manuscripts at what price, how to edit and manufacture the writing and therefore how to control the entire publishing distribution process. Writing literature moved from voluntary writing to a process of ‘ordered production’ upon request.
Entering the modern times, with the establishment of literature, writers lost independent methods of communication to reach out to readers, with exception to written media controlled by capital. In the case of Korea, the art & literature pages were first introduced in the private newspapers in 1924 and caused printing capital to dominate the press release pages and as a result, literature came to hold a stronger commoditylike characteristic. Capital regarded manuscripts as a form of raw materials, purchased them selectively and distributed them in the form of commodity. In the end, printing capital gained dominant decision rights as to demand what topic of writing from which writers, to buy the manuscripts at what price, how to edit and manufacture the writing and therefore how to control the entire publishing distribution process. Writing literature moved from voluntary writing to a process of ‘ordered production’ upon request. of pages in order to absorb the surging demand for advertisements arising from the booming economy and intensely reinforced the literature and art section, which was relatively free of censorship.
Despite the increase in art & literature pages, Joseon writers lacked a general interest as to how the foundations of literature had come about and from what type of political economic situation had caused it. This study confirms this through examination of the writers' reactions regarding the increase in art & literature pages in the 1930s and the foundation and related discussions on the Writer's association at that time. Korean writers in this period only expressed concentrated interest in the manuscript fee and the press release page. In addition, they showed great envy towards the Japanese literary-field which had much more abundant foundations during that time. Like this, the Korean writers did not recognize literature in context with relation to outside the literary world but rather regarded it as a substitute, and therefore it inevitably caused a limitation within their cognition. Can we be free of such limitations toda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진석, "한국언론사" 나남출판사 2001
2 강진호, "한국문단이면사" 깊은샘 1999
3 김윤식, "한국근대문학사상사" 한길사 1984
4 이하윤, "편집사담" 철필사 1930
5 사토 타쿠미, "총력전과 일본 신문시스템의 일관성" (가을) : 2008
6 "조선중앙일보"
7 "조선일보"
8 최민지, "일제하 민족언론사론" 일월서각 1987
9 박용규, "일제하 민간지 기자집단의 사회적 특성의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 직업의식과 직업적 특성의 변화를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10 김을한, "일제의 남면북양. 산금정책의 내막, In 언론비화 50편" 한국신문연구소 1978
1 정진석, "한국언론사" 나남출판사 2001
2 강진호, "한국문단이면사" 깊은샘 1999
3 김윤식, "한국근대문학사상사" 한길사 1984
4 이하윤, "편집사담" 철필사 1930
5 사토 타쿠미, "총력전과 일본 신문시스템의 일관성" (가을) : 2008
6 "조선중앙일보"
7 "조선일보"
8 최민지, "일제하 민족언론사론" 일월서각 1987
9 박용규, "일제하 민간지 기자집단의 사회적 특성의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 직업의식과 직업적 특성의 변화를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10 김을한, "일제의 남면북양. 산금정책의 내막, In 언론비화 50편" 한국신문연구소 1978
11 피에르 부르디, "예술의 규칙(2쇄)" 동문선 2002
12 한만수, "식민지시대 출판자본을 통한 문학검열에 대하여" 국어국문학회 131 : 2002
13 한만수, "식민지시기 문학검열과 연구대상으로서의 판본 문제, In 논문으로 읽는 문학사 1권" 소명출판 2008
14 한만수, "식민지시기 문학 검열과 인쇄자본, In 식민지검열, 제도 텍스트 실천" 소명출판사 2010
15 이동희, "박영희전집 2권" 영남대학교 출판부 1997
16 김춘식, "미적 근대성과 동인지 문단" 소명출판사 2003
17 임화, "문화기업론" (창간) : 1938
18 한철호, "문필가협회에 대한 원칙적 의문" 조선지광사 (1) : 1932
19 이량, "문예시장론에 대한 편언(片言)" (69) : 1926
20 김동인, "망국인기" 백인사 (7) : 1937
21 한만수, "만주침공 이후의 검열과 민간신문 문예면의 증면, 1929-1936" 한국문학연구소 (37) : 255-285, 2009
22 "동아일보"
23 한철호, "다시 문필가협회에 관하야-백철 군과 박일형 군의 소론을 읽고" 조선지광사 (3) : 1932
24 이윤종, "경파기사의 종합편집으로" 철필사 1930
25 고노겐스케, "檢閱と文學" 2009
26 마키무라겐이치로, "新聞記者 夏日漱石" 평범사 2005
27 고노겐스케, "投機としての文学-活字․懸賞․メディア" 新曜社 2003
28 다케야마교우지, "報道電報 檢閱秘史" 아사히신문사 2004
29 고노 겐스케, "‘문학’은 어떻게 자본화되었는가? -1920년대의 저작권ㆍ출판권과 언론통제"
30 한만수, "1930년대 문인들의 검열우회 유형"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9) : 227-254, 2007
31 이봉범, "1920년대 부르주아문학의 제도적 정착과 조선문단�" 민족문학사학회 (29) : 187-229, 2005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in Korean Literature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7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9 | 0.84 | 1.467 | 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