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생명윤리에 대한 이론 윤리학 탐구 - 싱어, 칸트,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을 중심으로 - = A Study of the Theoretical Ethics Approach to Bioethics - Based on the ethics of Singer, Kant, and Aristotle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oretical ethics regarding bioethics. First, I explore th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e bioethics domain for ‘the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interests’ and the ‘preference utilitarianism’ concepts Singer presents. Secondly, I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Kant's ethics in the domain of bioethics. Lastly, I suggest that Aristotle's virtue ethics should be realized in the domain of bioethics. Furthermore, I would like to suggest the meaning of human life through this.
      Singer's argument brings up a new topic about the meaning of evolved life not considered in the history of traditional ethics. He presented undeniable opinions about human dignity that he took for granted. In addition, it is assessed that the scope extension for the life respect target has been reasonably achieved. Contrary to this, Kant's ethics explains the meaning of human dignity based on its metaphysical meaning. Furthermore, it provides an appropriate orientation for human life. Embracing their claims is not sufficient to explain the meaning of Good Life. The meaning of Good Life is likely to be resolv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Aristotle's virtue ethics. The meaning of a being of substance is living and furthermore, it is inherent to being itself.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oretical ethics regarding bioethics. First, I explore th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e bioethics domain for ‘the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interests’ and the ‘preference uti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oretical ethics regarding bioethics. First, I explore th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e bioethics domain for ‘the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interests’ and the ‘preference utilitarianism’ concepts Singer presents. Secondly, I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Kant's ethics in the domain of bioethics. Lastly, I suggest that Aristotle's virtue ethics should be realized in the domain of bioethics. Furthermore, I would like to suggest the meaning of human life through this.
      Singer's argument brings up a new topic about the meaning of evolved life not considered in the history of traditional ethics. He presented undeniable opinions about human dignity that he took for granted. In addition, it is assessed that the scope extension for the life respect target has been reasonably achieved. Contrary to this, Kant's ethics explains the meaning of human dignity based on its metaphysical meaning. Furthermore, it provides an appropriate orientation for human life. Embracing their claims is not sufficient to explain the meaning of Good Life. The meaning of Good Life is likely to be resolv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Aristotle's virtue ethics. The meaning of a being of substance is living and furthermore, it is inherent to being itself.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생명윤리에 대한 이론 윤리학이 갖는 의미를 탐색하는데 있다. 첫 번째로 싱어가 제시하고 있는 이익평등고려의 원칙과 선호공리주의가 생명윤리 분야 내에서 어떠한 의미와 한계점을 갖는지 살펴본다. 두 번째로 칸트 윤리학이 생명윤리 분야에서 갖는 중요성을 강조해 보고, 그럼에도 부족했던 관점을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덕윤리가 생명윤리로 실현되어야 하는 이유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인간 삶의 의미를 제언하고자 한다.
      싱어의 주장은 기존 윤리학사(倫理學史)에서 고려하지 못했던 진화한 생명에 대한 새로운 화두를 던져준다. 그는 당연시 되었던 인간 존엄에 대해 부정할 수 없는 차원의 의견을 제시하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생명 존중 대상에 대한 범위 확장을 합리적으로 이루었다고 평가할만하다. 이와 구분하여, 칸트 윤리학은 인간 존엄의 의미를 형이상학적 의미를 근거하여 설명한다. 더 나아가 인간 삶의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한다. 그들의 주장을 수용함에도 결핍되었던 삶의 의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덕윤리의 적용을 통해 해소될 수 있을 듯하다. 인간을 비롯한 존재자의 삶의 의미는 생명, 더 나아가 존재 자체에 내재된 것일 수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의 목적은 생명윤리에 대한 이론 윤리학이 갖는 의미를 탐색하는데 있다. 첫 번째로 싱어가 제시하고 있는 이익평등고려의 원칙과 선호공리주의가 생명윤리 분야 내에서 어떠한 의...

      본 논문의 목적은 생명윤리에 대한 이론 윤리학이 갖는 의미를 탐색하는데 있다. 첫 번째로 싱어가 제시하고 있는 이익평등고려의 원칙과 선호공리주의가 생명윤리 분야 내에서 어떠한 의미와 한계점을 갖는지 살펴본다. 두 번째로 칸트 윤리학이 생명윤리 분야에서 갖는 중요성을 강조해 보고, 그럼에도 부족했던 관점을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덕윤리가 생명윤리로 실현되어야 하는 이유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인간 삶의 의미를 제언하고자 한다.
      싱어의 주장은 기존 윤리학사(倫理學史)에서 고려하지 못했던 진화한 생명에 대한 새로운 화두를 던져준다. 그는 당연시 되었던 인간 존엄에 대해 부정할 수 없는 차원의 의견을 제시하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생명 존중 대상에 대한 범위 확장을 합리적으로 이루었다고 평가할만하다. 이와 구분하여, 칸트 윤리학은 인간 존엄의 의미를 형이상학적 의미를 근거하여 설명한다. 더 나아가 인간 삶의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한다. 그들의 주장을 수용함에도 결핍되었던 삶의 의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덕윤리의 적용을 통해 해소될 수 있을 듯하다. 인간을 비롯한 존재자의 삶의 의미는 생명, 더 나아가 존재 자체에 내재된 것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광태, "피터 싱어(Peter Singer)의 생명 윤리 소고 - ‘선호’(Preference)와 ‘인격체’(Person) 개념을 중심으로 -" 한국생명윤리학회 11 (11): 39-58, 2010

      2 임병덕, "키에르케고르의 간접전달" 성경재 2003

      3 김광연, "칸트의 윤리학에 나타난 인간 존엄성의 근거와 보편 가능성으로서의 도덕법칙의 요청" 대한철학회 138 : 1-30, 2016

      4 황순우, "칸트와 생명윤리" 한국칸트학회 8 : 2001

      5 임병덕,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론" 교육과학사 1998

      6 Peter Singer, "이렇게 살아도 괜찮은가?" 세종서적 1996

      7 노영란, "응용윤리에 대한 덕윤리적 접근의 비판적 고찰" 한국철학회 (113) : 349-380, 2012

      8 Immanuel Kant, "윤리형이상학 정초" 아카넷 2005

      9 Immanuel Kant, "윤리형이상학" 아카넷 2012

      10 Immanuel Kant, "실천이성비판" 아카넷 2016

      1 김광태, "피터 싱어(Peter Singer)의 생명 윤리 소고 - ‘선호’(Preference)와 ‘인격체’(Person) 개념을 중심으로 -" 한국생명윤리학회 11 (11): 39-58, 2010

      2 임병덕, "키에르케고르의 간접전달" 성경재 2003

      3 김광연, "칸트의 윤리학에 나타난 인간 존엄성의 근거와 보편 가능성으로서의 도덕법칙의 요청" 대한철학회 138 : 1-30, 2016

      4 황순우, "칸트와 생명윤리" 한국칸트학회 8 : 2001

      5 임병덕,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론" 교육과학사 1998

      6 Peter Singer, "이렇게 살아도 괜찮은가?" 세종서적 1996

      7 노영란, "응용윤리에 대한 덕윤리적 접근의 비판적 고찰" 한국철학회 (113) : 349-380, 2012

      8 Immanuel Kant, "윤리형이상학 정초" 아카넷 2005

      9 Immanuel Kant, "윤리형이상학" 아카넷 2012

      10 Immanuel Kant, "실천이성비판" 아카넷 2016

      11 Peter Singer, "실천윤리학" 철학과현실사 2003

      12 Immanuel Kant, "실용적 관점에서의 인간학" 아카넷 2014

      13 Immanuel Kant, "순수이성비판" 아카넷 2006

      14 Peter Singer, "삶과 죽음" 철학과현실사 2003

      15 곽영근, "블로흐 희망철학의 도덕교육적 함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16 Peter Singer, "동물해방" 연암서가 2012

      17 교육부, "도덕과 교육과정"

      18 Aristoteles, "니코마코스 윤리학" 숲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5 0.984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