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에 관한 논문이나 수많은 책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우리가 상상하고 있는 보통 리더의 모습에는 명석한 두뇌와 높은 학벌 과감하고 카리스마 있는 리더십, 혹은 성과를 강조하고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905111
성남 : 가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8
학위논문(석사) -- 가천대학교 경영대학원 , 고용및직업학과 , 2018. 8
2018
한국어
경기도
; 26 cm
지도교수: 박숙정
I804:41005-20000010418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리더십에 관한 논문이나 수많은 책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우리가 상상하고 있는 보통 리더의 모습에는 명석한 두뇌와 높은 학벌 과감하고 카리스마 있는 리더십, 혹은 성과를 강조하고 ...
리더십에 관한 논문이나 수많은 책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우리가 상상하고 있는 보통 리더의 모습에는 명석한 두뇌와 높은 학벌 과감하고 카리스마 있는 리더십, 혹은 성과를 강조하고 보상으로 부하의 동기를 유발하는 변혁의 리더십, 합리적인 사고로 이성에 호소하는 거래적 리더십 등 다양한 리더의 모습이 있다. 그러나 앞으로의 리더는 진정성이 있어야 하며 진정성 있는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실수에 두려워하고 그 실수를 인정하고 이를 숨김없이 밝힐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현대 사회 조직은 영웅 같은 리더 보다는 스스로의 신념을 솔직하게 말하는 진정성 있는 리더를 원한다.
급변하는 세계의 경영 환경과 기업 간 치열한 경쟁 관계 속에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리더십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조직의 성과를 위해서는 리더의 역할 뿐 아니라 조직원의 능동적인 참여가 중요하며 진정성리더십을 통한 조직원들의 긍정적인 감정은 조직의 공동목표를 이루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최근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 진정성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이 성과 과정에서 조직원의 팔로워십이 진정성리더십과 조직성과를 매개로 하는지를 검증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실증적 연구방법으로서 설문지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강원도 내 비영리기관에 근무하는 조직 구성원 314명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데이터를 수집하여 첫째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고 둘째 문항 간 신뢰도를 측정하여 예측가능성, 정확성을 살펴보았고 셋째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를 사용하였고 넷째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비영리조직에서의 리더는 긍정적 자아개념을 지닌 높은 자기존중감과 자기효능 감을 가지고 있다. 자아 인식과 스스로의 참모습을 주변에 솔직히 보여줌으로써 신뢰를 얻는 관계적 투명성이 높은 리더 일수록 독립 · 비판적 사고의 조직원, 능동적 참여 조직원 모두에게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비영리조직의 리더 일수록 더 높은 자기인식과 투명함으로 구성원들에게 신뢰를 주고 협업과 팀워크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론을 통하여 한계점과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후속연구를 통해 다양한 각도로 비영리기관의 리더십과 조직성과를 연구한다면 더 유용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A study on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f the leader of Nonprofit Organization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termediary Effects of Followership- Ko, Hye Jeong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M...
ABSTRACT
A study on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f the leader
of Nonprofit Organization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termediary Effects of Followership-
Ko, Hye Jeong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Major in Employment and Career counseling
The Graduate School of Gachon University
A slew of new research papers or books on leadership are pouring out. We usually imagine various types of leadership such as the audacious and charismatic leadership that boasts a smart brain and strong educational background, the innovative leadership that emphasizes performance and motivates subordinates with compensation, and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that appeals to reason with rational thinking. However, future leaders must have sincerity, and someone who will be a sincere leader should be able to fear mistakes, admit them, and come clean and tell the truth. In modern social organizations, we need a sincere leader with the courage of one’s convictions than a hero-like leader.
In the rapidly changing global business environment and in the midst of fierce competition among businesses, people have taken an interest in the new paradigm of leadership for sustainable growth. For organizational performance, not only the role of the leader but also the active participation by members matters, and the positive feelings that members have through sincere leadership make a crucial factor in fulfilling the organization’s common goal. In this context, this paper has its purpose in identifying the influences that the sincere leadership, which lately piques public interest, exerts on the performance of the members of an organization and testing if the members’ followership is mediated in the process by sincere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analysis for the study was performed, using a questionnaire as an empirical research method. This study surveyed 314 persons who were employees of non-profit organizations in Gangwon Province and data was collected.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Second, the predictability and accuracy of the questions were examined by measuring their reliability. Third,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Fourth, the data was tested with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a leader in a non-profit organization, who has a positive self-concept, has high levels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Leaders who have high levels of relational transparency in that they earn trust by frankly showing to others their self-recognition and their true image seem to exercise significant influence on both independently and/or critically thinking members and actively participating members. The study shows that leaders of non-profit organizations have higher levels of self-recognition and transparency, therefore, they can inspire trust to the members and greatly improve collaboration and teamwork.
Last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 It suggested that researching the leadership and performance of non-profit organizations from various perspectives will be able to generate more useful result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