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콘텐츠산업은 1994년 문화산업이라는 개념을 도입한 이후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특히 콘텐츠산업은 제조업과의 협업을 통한 수출증대 및 문화적 측면의 이미지를 통한 관광활성화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의 콘텐츠산업은 1994년 문화산업이라는 개념을 도입한 이후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특히 콘텐츠산업은 제조업과의 협업을 통한 수출증대 및 문화적 측면의 이미지를 통한 관광활성화까...
한국의 콘텐츠산업은 1994년 문화산업이라는 개념을 도입한 이후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특히 콘텐츠산업은 제조업과의 협업을 통한 수출증대 및 문화적 측면의 이미지를 통한 관광활성화까지 가져오고 있다. 그러나 물적 자산의 비중이 낮고 흥행 위험이 높아 가치평가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시장이 미성숙하여 투자 및 금융지원 시스템 구축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이런 측면에서 2006년 만들어진 모태펀드 문화계정은 콘텐츠산업 투자 및 금융지원에 커다란 역할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모태펀드가 콘텐츠산업의 애로사항을 완벽하게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문제점에 대한 비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모태펀드 문화계정의 재원확충과 함께 물적 담보가 약한 영세기업 지원을 위한 콘텐츠 가치평가 도입 그리고 모태펀드 운영의 투명성을 높이는 한편 운영에 대한 다양한 제한을 완화해야 한다. 또한 한국 콘텐츠산업이 해외로 진출하고 해외투자에 대한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외투자자에 대한 규제가 존재하고 있음에 따라 싱가포르나 이스라엘의 펀드처럼 해외투자자에 대한 현재의 규제를 완화해서 적극적으로 투자를 유치할 필요가 있다.
결국 모태펀드 문화계정은 정부의 역할이 중요한 만큼 공공성을 높이는 한편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규제완화를 통해 외부 재원 유입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홍기, "해외모태펀드의 운영에 관한 조사 및 연구" 한국벤처투자(주) 2007
2 "한류 콘텐츠 구매도 좋지만 기업 지분 투자에 더 큰 관심"
3 영화진흥위원회, "한국영화산업 투자환경 및 자본조달구조 : 금융자본 유입 이후를 중심으로" 서울 2008
4 "한국벤처투자(주) 홈페이지"
5 한국벤처투자(주), "한국모태펀드 2014년 1차, 2차 출자사업 계획 공고"
6 한국벤처투자(주), "한국모태펀드 2013년 1차 출자사업 계획 공고"
7 백승혁, "한국과 일본의 콘텐츠산업 금융투자시스템 비교분석" 2012
8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콘텐츠산업 투자지원정책 연계방안 연구" 서울 2010
9 중소기업중앙회, "콘텐츠 중소기업 경영상황 및 애로조사" 2011
10 자본시장연구원, "이스라엘의 요즈마 펀드에 대한 고찰 및 시사점" 서울 2013
1 김홍기, "해외모태펀드의 운영에 관한 조사 및 연구" 한국벤처투자(주) 2007
2 "한류 콘텐츠 구매도 좋지만 기업 지분 투자에 더 큰 관심"
3 영화진흥위원회, "한국영화산업 투자환경 및 자본조달구조 : 금융자본 유입 이후를 중심으로" 서울 2008
4 "한국벤처투자(주) 홈페이지"
5 한국벤처투자(주), "한국모태펀드 2014년 1차, 2차 출자사업 계획 공고"
6 한국벤처투자(주), "한국모태펀드 2013년 1차 출자사업 계획 공고"
7 백승혁, "한국과 일본의 콘텐츠산업 금융투자시스템 비교분석" 2012
8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콘텐츠산업 투자지원정책 연계방안 연구" 서울 2010
9 중소기업중앙회, "콘텐츠 중소기업 경영상황 및 애로조사" 2011
10 자본시장연구원, "이스라엘의 요즈마 펀드에 대한 고찰 및 시사점" 서울 2013
11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이스라엘의 기술혁신 지원정책"
12 "신보, 기술신보 통합 유보. 7개기금, 8개 특별회계 통폐합" 한국경제
1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방송콘텐츠산업 활성화를 위한 투자자본의 역할과 과제" 경기도 2011
14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콘텐츠산업 자금조달 시스템 연구" 서울 2006
15 권지혁, "문화콘텐츠 가치평가의 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사)디지털산업정보학회 9 (9): 129-144, 2013
16 "문체부 글로벌콘텐츠펀드, 모태 정기출자로 확정"
17 구정한, "모태펀드의 현황과 향후과제" 2008
18 현근아, "모태펀드를 통한 한국영화 투자 정책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2
19 문화체육관광부, "모태펀드 문화계정 재원 확충 방안연구" 서울 2012
20 한국콘텐츠진흥원, "모태펀드 문화계정 운용 효율화 방안 연구" 서울 2011
21 (사)문화콘텐츠경영전략연구원, "모태조합 투자활성화 방안연구" 문화체육관광부 2009
22 허은영, "공연예술 전문 투자조합 설립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6
23 "게임 마이스터고 2016년 개교... 문화융성위, 콘텐츠산업 발전 전략"
24 감사원, "감사결과 보고서 : 모태펀드 조성 및 운용실태" 서울 2009
25 한국벤처투자(주), "2013년 모태펀드(문화계정) 투자현황 보고" 2014
26 문화체육관광부, "2013 콘텐츠산업통계"
27 문화체육관광부, "2012 콘텐츠산업백서"
28 문화체육관광부, "2007 문화산업백서"
29 문화체육관광부, "1997 문화산업백서"
드라마 제작 영유 기업들의 변화와 성장: 상장기업을 중심으로 7년간의 사업현황 검토
한국 음악산업에서의 점진적 혁신:유재하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 문화콘텐츠산업 수출의 유형별 포지셔닝 및 전략방향
Radio as a Gatekeeper to the U.S. Music Industry for Foreign Pop Music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1-0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Review of Cultural Economics -> Review of Culture and Economy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 | 0.9 | 0.9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5 | 1.01 | 1.101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