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콘텐츠산업은 수출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 대비 수출 비중 및 글로벌시장 점유율은 아직 낮은 수준이며, 수출콘텐츠의 장르, 지역의 편중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605065
2014
-
Positioning ; Typology ; Content Export ; Korean Wave ; Cultural Content ; 문화콘텐츠 산업 ; 수출 ; 문화콘텐츠산업 유형 ; 수출경쟁력 ; 시장매력도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39-159(21쪽)
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국내콘텐츠산업은 수출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 대비 수출 비중 및 글로벌시장 점유율은 아직 낮은 수준이며, 수출콘텐츠의 장르, 지역의 편중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별, ...
국내콘텐츠산업은 수출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 대비 수출 비중 및 글로벌시장 점유율은 아직 낮은 수준이며, 수출콘텐츠의 장르, 지역의 편중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별, 장르별 국내 문화콘텐츠 산업의 수출 포지셔닝을 분석함으로써 전략방향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지역별 분석, 장르별 분석 그리고 지역 및 장르별 분석 등 3단계로 진행되었다. 각 단계별로 포지셔닝 맵 작성을 위해 시장매력도와 수출경쟁력 지수를 사용하였는데, 시장매력도는 시장규모와 미래성장률을 반영하여 만든 지수이며, 수출경쟁력은 수출점유율과 문화 근접성 지수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기준에 대한 관련된 다양한 변수가 도출되었으며 이에 대한 정량적 통계자료와 설문조사를 통해 정성적인 자료를 조합하여 포지셔닝맵을 작성하였다. 연구결과 지역별로 보면 일본, 중국은 시장매력도와 수출경쟁력이 모두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장르별로 보면 온라인게임과 캐릭터, 음악은 수출경쟁력과 시장매력도가 모두 높은 장르로 나타났다. 지역별․장르별로는 북미 온라인게임에서 가장 높고 다음으로 동남아시아 온라인게임, 중국 온라인게임, 중국, 동남아시아, 일본 등에서의 K-pop이 강세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장매력도와 수출경쟁력이 모두 높은 지역/장르는 ‘집중공략’ 전략, 시장매력도는 높으나 수출경쟁력이 낮은 지역/장르는 ‘점진적강화’ 전략, 시장매력도는 낮으나 수출경쟁력이 높은 지역/장르는 ‘경쟁력유지’ 전략, 시장매력도와 수출경쟁력이 모두 낮은 지역/장르는 ‘신규시장개척’ 전략 등 4 가지 유형의 전략방향을 도출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콘텐츠진흥원, "해외콘텐츠 시장 동향조사" 2012
2 박순찬, "한류의 무역창출효과" 한국은행 15 (15): 73-96, 2009
3 좌승희, "한국영화산업의 구조변화와 영화산업정책" 2006
4 한국콘텐츠진흥원, "콘텐츠 신흥시장 효과적 진입방안 조사연구" 2012
5 전효정, "지식정보보안의 인력양성 유망 분야 선정 : KISA 고용계약형 석사과정 지원사업 사례" 한국정보보호학회 21 (21): 77-87, 2011
6 박창걸, "중소기업 유망 사업분야 선정 방법론에 대한 고찰" 5 (5): 462-467, 2007
7 한국저작권위원회, "주요 한류국가 한국 저작물 유통 및 이용실태 조사" 2012
8 한국무역협회, "서비스산업 유형별 특성과 수출전략 방안" 2012
9 윤상철, "서비스무역의 자유화와 정책적 함의" 3-19, 2008
10 KOTRA, "문화한류를 통한 전략적 국가브랜드맵 작성"
1 한국콘텐츠진흥원, "해외콘텐츠 시장 동향조사" 2012
2 박순찬, "한류의 무역창출효과" 한국은행 15 (15): 73-96, 2009
3 좌승희, "한국영화산업의 구조변화와 영화산업정책" 2006
4 한국콘텐츠진흥원, "콘텐츠 신흥시장 효과적 진입방안 조사연구" 2012
5 전효정, "지식정보보안의 인력양성 유망 분야 선정 : KISA 고용계약형 석사과정 지원사업 사례" 한국정보보호학회 21 (21): 77-87, 2011
6 박창걸, "중소기업 유망 사업분야 선정 방법론에 대한 고찰" 5 (5): 462-467, 2007
7 한국저작권위원회, "주요 한류국가 한국 저작물 유통 및 이용실태 조사" 2012
8 한국무역협회, "서비스산업 유형별 특성과 수출전략 방안" 2012
9 윤상철, "서비스무역의 자유화와 정책적 함의" 3-19, 2008
10 KOTRA, "문화한류를 통한 전략적 국가브랜드맵 작성"
11 고정민, "문화콘텐츠 경영전략"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12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 콘텐츠 산업 수출현황과 활성화방안" 2009
13 이철용, "도시화, 향후 10년 중국경제 좌우할 동력" LG경제연구원 2013
14 미야오 다카히로, "도시경제학" 대명출판사 1995
15 고정민, "국내음반산업의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 삼성경제연구소 2003
16 한병섭, "국가 간 거리와 한류 문화콘텐츠 수출 간 관계 분석" 한국국제통상학회 19 (19): 1-26, 2014
17 임양섭, "IT융복합 유망분야 설문분석을 통한 IT융복합 인력양성사업 미래전략 연구" 한국통신학회 37 (37): 267-276, 2012
18 PWC, "Global Entertainment and Media Outlook: 2014-2018" 2013
19 Boisso D., "Economic Distance, Cultural Distance, and Openness in International Trade: Empirical Puzzles" 12 : 456-484, 1997
20 Felbermayr, G. J., "Cultural Proximity and Trade" 54 : 279-293, 2010
21 Straubhaara, J. D, "Cultural Diversity; Beyond Media Imperialism: Assymetrical Interdependence and Cultural Proximity" 8 (8): 39-59, 1991
22 Coopre-Martin Elizabeth, "Consumers and Movies: Some Findings on Experiential Products" 18 : 372-378, 1991
23 BSA, "2011 Global Software Piracy Study" 2011
드라마 제작 영유 기업들의 변화와 성장: 상장기업을 중심으로 7년간의 사업현황 검토
한국 음악산업에서의 점진적 혁신:유재하의 사례를 중심으로
콘텐츠산업 활성화를 위한 모태펀드 문화계정 운영개선 방안 연구
Radio as a Gatekeeper to the U.S. Music Industry for Foreign Pop Music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1-0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Review of Cultural Economics -> Review of Culture and Economy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 | 0.9 | 0.9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5 | 1.01 | 1.101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