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측방유동지반상 말뚝기초교대의 측방이동 평가 = Evaluation on Lateral Movement of Piled Bridge-Abutments on Soft Grounds under Lateral Flow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731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내현장에서 수집된 43개 교대의 측방이동 실측자료에 대한 분석을 통해 말뚝기초교대의 측방이동을 간편하게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실측된 교대측방변위를 고려하여 연약지반...

      국내현장에서 수집된 43개 교대의 측방이동 실측자료에 대한 분석을 통해 말뚝기초교대의 측방이동을 간편하게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실측된 교대측방변위를 고려하여 연약지반의 비배수전단강도와 교대배면에 작용하는 상재압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대 배변의 뒤채움으로 인한 상재압이 연약지반 비배수전단강도의 3배보다 작은 경우에는 실측된 교대변위가 국내 교대의 측방이동 허용치인 15㎜ 이내인 것으로 나타나, 교대 유지관리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상재압이 연약지반 비배수전단강도의 3배~8.3배인 경우는, 교대변위가 15㎜~50㎜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경우 교대의 측방이동을 고려한 설계를 수행함으로써, 교대 측방변위를 허용치인 15㎜ 이하로 감소시켜야 한다. 특히 상재압이 비배수전단강도의 8.3배 이상이면, 50㎜ 이상의 심각한 교대변위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교대 측방이동 대책공법이 강구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상재압과 비배수전단강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사면지반의 안정수를 이용하면 측방유동지반상 말뚝기초교대의 측방이동 가능성을 간편하게 평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에 측방유동지수와 측방이동판정지수는 교대 실측변위 및 사면안전율과 상관성이 높지 않았다. 이는 경험지수만으로 교대의 측방이동 여부를 판정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교대를 포함한 사면의 안정수가 3보다 크면, 교대기초말뚝의 사면안정 기여효과와 교대의 허용측방변위를 반영한 사면안정해석을 통해 교대 측방이동 여부를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ield monitoring data for forty three piled bridge-abutments were investigated to suggest an evaluation method on lateral movement of the abutments. As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if the surcharge pressure by backfills behind the piled-bridge ab...

      Field monitoring data for forty three piled bridge-abutments were investigated to suggest an evaluation method on lateral movement of the abutments. As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if the surcharge pressure by backfills behind the piled-bridge abutment is less than 3 times the undrained shear strength of the soft grounds, th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abutments was within 15 ㎜. Therefore, the abutment can be maintained without any problems because the abutment will move laterally within an allowable movement range. However, if the surcharge pressure is between 3 times and 8.3 times the undrained shear strength of the soft grounds, the abutments moved laterally between 15 ㎜ and 50 ㎜. In this case, th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abutment should be considered on the design because the displacement may be considerable. Moreover, if the surcharge pressure behind the abutments is greater than 8.3 times the undrained shear strength of the soft grounds, th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abutments could be more than 50 ㎜. In this case, a reasonable countermeasure should be applied to prevent excessiv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abutment, or the design of the abutment should be changed because the lateral movement is severe enough to severely damage the abutment. In tum, the stability number, which is the ratio of the surcharge pressure to the undrained shear strength can be used as the simplified empirical index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lateral movement of abutments. However, both the lateral flow index and the lateral movement judgement index do not always show good relationship with not only th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abutments but also the safety factor of slopes. Therefore, It is not always suitable to predict the lateral movement of abutments by using only conventional empirical indexes. These empirical indexes should be used together with the safety factor of slope with consideration of the allowable limit of th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abut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요지
      • 1. 서론
      • 2. 교대 측방이동 기존 판정법
      • 3. 교대 측방이동 사례
      • Abstract
      • 요지
      • 1. 서론
      • 2. 교대 측방이동 기존 판정법
      • 3. 교대 측방이동 사례
      • 4. 교대 실측 이동량에 따른 고찰
      • 5. 사면안전율과 경험지수의 비교
      • 6.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측방유동 연약지반상 교대의 안정성" 한국지반공학회 17 (17): 199-208, 2001a

      2 "연약지반상 교대측방이동에 대한 판정" 한국지반공학회 17 (17): 269-278, 2001b

      3 "연약지반상 교대의 측방이동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공학회 10 : 53-65, 1994

      4 "교대변위 억제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도로공사 도로연구소 1996

      5 "교대기초말뚝의 안정" 대한토질공학회 67-79, 1991

      6 "Tolerable Movement Criteria for Highway Bridges" FHWA/RD-85/107 1985

      7 "The ultimate bearing capacity of foundations" 301-332, 1951

      8 "Survey of Bridge Movements in the Western United States" 6-11, 1978

      9 "German Recommendations on Passive piles" 1977193~194

      10 "Design and Construction of Bridge Approaches National Cooperative Highway Research Program Synthesis of Highway Practice 159" 1990

      1 "측방유동 연약지반상 교대의 안정성" 한국지반공학회 17 (17): 199-208, 2001a

      2 "연약지반상 교대측방이동에 대한 판정" 한국지반공학회 17 (17): 269-278, 2001b

      3 "연약지반상 교대의 측방이동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공학회 10 : 53-65, 1994

      4 "교대변위 억제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도로공사 도로연구소 1996

      5 "교대기초말뚝의 안정" 대한토질공학회 67-79, 1991

      6 "Tolerable Movement Criteria for Highway Bridges" FHWA/RD-85/107 1985

      7 "The ultimate bearing capacity of foundations" 301-332, 1951

      8 "Survey of Bridge Movements in the Western United States" 6-11, 1978

      9 "German Recommendations on Passive piles" 1977193~194

      10 "Design and Construction of Bridge Approaches National Cooperative Highway Research Program Synthesis of Highway Practice 159" 1990

      11 "Deep Excavation and Tunneling in Soft Ground State of the Art Volume" 225-290, 196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3-01-01 평가 학술지 통합(등재유지)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