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대학의 영어전용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인식 연구 = How Foreign Students Perceive English-mediated Classe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374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대학의 영어전용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인식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외국인 유학생 183명을 대상으로 영어전용강의의 수업 및 교수자에 대한 인...

      본 연구는 한국 대학의 영어전용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인식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외국인 유학생 183명을 대상으로 영어전용강의의 수업 및 교수자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그리고 개선요구사항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 였고, 심층면담을 통해 보다 심도 있는 의견을 수렴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한 양적 연구 자료는 기술 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심층면담으로 수집된 자료는 전사하여 질적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많은 외국인 유학생들이 영어전용강의 수강 사유로 필수 교과 및 절대평가를 들었고, 수업 내용의 깊이, 충실성, 수업 진도, 방식 등에 있어 다양한 의견을 보였다. 외국인 유학생들은 영어전용강의를 담당하는 교수자의 열정, 효과적 영어 사용, 상호작용, 질문 유도 및 피드백 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일부의 한국어 혼용 및 일방적 수업진행 등을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영어전용강의 수강을 통해 영어 활용 기회가 증가했고, 이를 통해 영어 실력이 향상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영어전용강의에 대한 개선 요구사항으로는 한국어 사용 제한, 영어전용강의 개설 수 증가, 상호작용 증대 등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외국인 유학생이 증가하고 있는 한국 대학에서 영어전용강의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그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foreign students’ perception of English-mediated instruction in Korea. One hundred eighty three foreign students participated in a survey inquiring how they perceived the classes, the materials use, the professors, and...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foreign students’ perception of English-mediated instruction in Korea. One hundred eighty three foreign students participated in a survey inquiring how they perceived the classes, the materials use, the professors, and asking for improvement suggestions.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order to collect more detailed qualitative data about English-mediated classes from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e study include the following. Many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chose to take English-mediated classes because they were obligatory and they followed the criterion-referenced type evaluation. The participating foreign students expressed various opinions about many aspects of the class including the depth and the quality. The students positively evaluated the instructors’ passion, effective use of English, interactions, question elicitations, and feedback. Yet some instructors’ use of the Korean language with English and teacher-centered manners were recognized as negative sides.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English-mediated classes provided them with more opportunities to use English, and thus their English abilities improved. It was suggested that the use of Korean during the class be limited, the number of English-mediated classes increase, and more interactions with their professors happen. The results of the study cast some important implica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희정, "효과적인 영어강의의 특성과 지원 방안 탐색" 현대영어교육학회 11 (11): 191-212, 2010

      2 홍성연, "효과적인 대학 영어강의(English Medium Instruction)의 특성과 수강 지원 방안 - S 대학교 학습자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46 (46): 305-329, 2008

      3 송시춘, "한국인 교수자의 영어매개강의에 대한 국내 대학생과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선호도 연구" 대한영어영문학회 42 (42): 221-243, 2016

      4 지인영, "학생 요구 분석을 근거로 한 영어 수준별 영어전용강의 효과성 증진 방안" 한국교육방법학회 26 (26): 587-606, 2014

      5 조윤경, "영어전용수업에 대한 중등 영어교사 및 학습자 인식 조사" 새한영어영문학회 51 (51): 263-286, 2009

      6 심혜진, "영어전용강의 수강생들의 인식과 개선방안"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7 심영숙, "영어매개강의가 대학생 영어듣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현대영어교육학회 13 (13): 149-166, 2012

      8 민찬규,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에 대한 교사 의식 조사"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20 (20): 167-190, 2008

      9 정영철, "영어로 진행하는 대학전공수업: 교수자의 신념과 인식" 현대영미어문학회 27 (27): 247-271, 2009

      10 교육인적자원부, "영어교육 활성화 5개년 종합대책"

      1 오희정, "효과적인 영어강의의 특성과 지원 방안 탐색" 현대영어교육학회 11 (11): 191-212, 2010

      2 홍성연, "효과적인 대학 영어강의(English Medium Instruction)의 특성과 수강 지원 방안 - S 대학교 학습자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46 (46): 305-329, 2008

      3 송시춘, "한국인 교수자의 영어매개강의에 대한 국내 대학생과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선호도 연구" 대한영어영문학회 42 (42): 221-243, 2016

      4 지인영, "학생 요구 분석을 근거로 한 영어 수준별 영어전용강의 효과성 증진 방안" 한국교육방법학회 26 (26): 587-606, 2014

      5 조윤경, "영어전용수업에 대한 중등 영어교사 및 학습자 인식 조사" 새한영어영문학회 51 (51): 263-286, 2009

      6 심혜진, "영어전용강의 수강생들의 인식과 개선방안"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7 심영숙, "영어매개강의가 대학생 영어듣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현대영어교육학회 13 (13): 149-166, 2012

      8 민찬규,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에 대한 교사 의식 조사"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20 (20): 167-190, 2008

      9 정영철, "영어로 진행하는 대학전공수업: 교수자의 신념과 인식" 현대영미어문학회 27 (27): 247-271, 2009

      10 교육인적자원부, "영어교육 활성화 5개년 종합대책"

      11 강소연, "영어강의(English-Medium Instruction)의 실태 및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지각 성향에 관한 조사 연구" 17 (17): 33-53, 2004

      12 강순희, "사범대학 영어 강의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및 만족도 조사" 교과교육연구소 11 (11): 637-656, 2007

      13 배성혜, "대학의 전공 영어강의 수강학생들의 영어학습동기 및 수업만족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14 조성은, "대학교 전공과목 영어강의 현황 파악 및 미래 방향 탐색: 영어능력차이에 따른 인식 및 만족도 조사를 중심으로" 현대문법학회 (71) : 172-191, 2013

      15 이광현, "대학 영어전용강의 실태와 학습성과 분석" 18 (18): 1-22, 2015

      16 안영은, "대학 영어매개강의(EMI)의 효과 분석: 영어의사소통역량, 학습 곤란도 및 학업성취도(GPA)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9 (19): 331-352, 2018

      17 황종배, "대학 영어강의의 효과: 전공지식과 영어 능력 측면에서" 한국영어학회 11 (11): 77-97, 2011

      18 이선영, "대학 영어강의의 현황 탐색과 실천적 개선방안에 대한 고찰: 교수·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56 (56): 419-446, 2014

      19 황선유, "공과대학 영어전용강의에 대한 교수자 인식"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55 (55): 475-501, 2013

      20 이진화, "Where to Start 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Based on Perceived Effectiveness of Teachers’ English Use" 한국영어교육학회 62 (62): 335-354, 2007

      21 Giorgi, A., "The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psychological method" 43 (43): 3-12, 2012

      22 Krashen, S. D., "The Input Hypothesis: Issues and Implication" Longman 1982

      23 Brown. H. D., "Teaching by principles: An interactive approach to language pedagogy" Pearson Education, Inc 2015

      24 Jensen, C., "Students’ attitudes to lecturers’ English in English-medium higher education in Denmark" 13 : 87-112, 2013

      25 Creswell, J. W.,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SAGE 2014

      26 Airey, J., "Language and the experience of learning university physics in Sweden" 27 (27): 553-560, 2006

      27 김명희, "How Do College Students React to TETE?" 현대영어교육학회 10 (10): 62-89, 2009

      28 Long, M. H., "Handbook of language acquisition" Academic Press 1996

      29 Kang, H. -S., "English-only instruction at Korean universities: Help or hindrance to higher learning?" 28 : 29-34, 2012

      30 Byun, K., "English-medium teaching in Korean higher education : Policy debates and reality" 62 : 431-449, 2011

      31 Coleman, J. A., "English-medium teaching in European higher education" 39 (39): 1-14, 2006

      32 Vinke, A., "English-medium content courses in non-English higher education : A study of lecturer experiences and teaching behaviours" 3 : 383-394, 1998

      33 Ball, P., "English medium instruction at universities: global challenges" Multilingual Matters 44-64, 2012

      34 Joe, Y., "Does English-medium instruction benefit students in EFL contexts? A case study of medical students in Korea" 22 : 201-207, 2013

      35 Brinton E. M., "Content-based second language instruction"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3

      36 Crandall, J., "Content-based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settings" TESOL 1-9, 2002

      37 Snow, M. A., "Content-based and immersion models for second and foreign language teaching" 3 : 303-318, 2001

      38 Kim, A., "Conjoint analysis of enhanced English medium instruction for college students" 36 (36): 10197-10203, 2009

      39 Cummins, J., "Bilingualism and special education : Issues in assessment and pedagogy" Multilingual Matters 1984

      40 박윤화, "A Study of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n TETE"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17 (17): 59-82, 2005

      41 김성애, "A Critical Reflection on the ‘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 Classes in the Korean Context" 한국영어교육학회 57 (57): 315-346,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