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학교육에서 심미성 개념의 재맥락화 고찰 - ‘가상성’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Concept Recontextualization of Aesthetics in Literature Education: Focusing on ‘Virtua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097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pose directionality in which aesthetics can be recontextualized in literature education and to prepare a method by focusing on the concept of 'virtuality'. While the importance of aesthetics in literature education is emphasized, the focus of discussions is ambiguous, causing problems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To solve this problem, firstly, the changes surrounding literature education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nd examined to draw issues of discussion on aesthetics: 1) Establishing the status and form of literature due to the cultural change, 2) The rise of the importance of art and aesthetics in society and education in general, 3) Antagonistic phenomena within literature education as a domai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se three phenomena are interconnected and contain common problems in the discussion of aesthetics. To come up with a solution to this problem, ‘virtuality’ which is gaining importance in the present era, is re-examined as a central attribute of aesthetics, and theoretical grounds are prepared based on the discussion of Nietzsche and Bohrer on aesthetic appearance and the virtual world. Based on this, the direction of recontextualization of aesthetics in literature education was derived and presented: 1) genre as an alternative sense and vision presentation in the ‘post’ era, 2) the role of literature education providing the principle of artistic education, 3) the form of literature as the pattern of virtual sensory construction and the meaning of the diversity of the virtual world at the community level.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s the possibility of making aesthetics more productive at the practical level by linking the theoretical dimension with the actual phenomenon of literature educ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propose directionality in which aesthetics can be recontextualized in literature education and to prepare a method by focusing on the concept of 'virtuality'. While the importance of aesthetics in literature education is emphasized,...

      This study aims to propose directionality in which aesthetics can be recontextualized in literature education and to prepare a method by focusing on the concept of 'virtuality'. While the importance of aesthetics in literature education is emphasized, the focus of discussions is ambiguous, causing problems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To solve this problem, firstly, the changes surrounding literature education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nd examined to draw issues of discussion on aesthetics: 1) Establishing the status and form of literature due to the cultural change, 2) The rise of the importance of art and aesthetics in society and education in general, 3) Antagonistic phenomena within literature education as a domai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se three phenomena are interconnected and contain common problems in the discussion of aesthetics. To come up with a solution to this problem, ‘virtuality’ which is gaining importance in the present era, is re-examined as a central attribute of aesthetics, and theoretical grounds are prepared based on the discussion of Nietzsche and Bohrer on aesthetic appearance and the virtual world. Based on this, the direction of recontextualization of aesthetics in literature education was derived and presented: 1) genre as an alternative sense and vision presentation in the ‘post’ era, 2) the role of literature education providing the principle of artistic education, 3) the form of literature as the pattern of virtual sensory construction and the meaning of the diversity of the virtual world at the community level.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s the possibility of making aesthetics more productive at the practical level by linking the theoretical dimension with the actual phenomenon of literature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문학교육의 지형 변화를 살펴 심미성이 재맥락화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며, ‘가상’ 개념을 초점화하여 그 구체화의 한 방법을 마련하고자 한다. 문학교육에서 심미성은 그 중요성이 강조되는 데에 비하여 논의의초점이 모호하여 이론적⋅실제적으로 구체성을 확보하지 못한다는 문제를 지닌다. 이 같은 문제의식하에 우선 문학교육을 둘러싼 변화를 새로운 문화적 환경에서의 문학의 위상과 형태 변화, 사회 및 교육 전반에서의 예술과 미의 중요성부상과 역량으로서의 심미성, 국어교육의 한 영역으로서 문학교육 내의 길항 관계의 세 가지로 나누어 심미성 논의의 쟁점을 고찰하였다. 이 세 가지 현상은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심미성 논의와 관련하여 목표 및 방향성 정립의 부재, 이론적 산재, 구체적인 교육 내용과 방법의 부재라는 공통의 문제를 내포한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현 시대에서 그 중요성이 주목되고 있는 ‘가상성’을 심미성의 중심적 속성으로 재조명하고 니체와 보러의 미적 가상 및 가상 세계에 대한논의를 바탕으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를 토대로 문학교육에서의 심미성의 재맥락화 방향성을 포스트 시대에서의 상상적 현실과 대안적 감각으로서의 장르, 심미적 교육과 문학교육의 관계 정립, 가상적 감각 구성의 패턴으로서의 문학의 언어적 형식 및 공동체적 차원에서 가상 세계의 다양성이 지니는 의미로 나누어 논하였다. 본 연구는 문학교육이 처한 실제 현상과 이론적인 차원을 연계하여 보다 심미성이 실제적 층위에서 생산성을 지닐 수 있도록 하는 가능성을 마련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문학교육의 지형 변화를 살펴 심미성이 재맥락화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며, ‘가상’ 개념을 초점화하여 그 구체화의 한 방법을 마련하고자 한다. 문학교육에서 심미...

      본 연구는 문학교육의 지형 변화를 살펴 심미성이 재맥락화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며, ‘가상’ 개념을 초점화하여 그 구체화의 한 방법을 마련하고자 한다. 문학교육에서 심미성은 그 중요성이 강조되는 데에 비하여 논의의초점이 모호하여 이론적⋅실제적으로 구체성을 확보하지 못한다는 문제를 지닌다. 이 같은 문제의식하에 우선 문학교육을 둘러싼 변화를 새로운 문화적 환경에서의 문학의 위상과 형태 변화, 사회 및 교육 전반에서의 예술과 미의 중요성부상과 역량으로서의 심미성, 국어교육의 한 영역으로서 문학교육 내의 길항 관계의 세 가지로 나누어 심미성 논의의 쟁점을 고찰하였다. 이 세 가지 현상은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심미성 논의와 관련하여 목표 및 방향성 정립의 부재, 이론적 산재, 구체적인 교육 내용과 방법의 부재라는 공통의 문제를 내포한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현 시대에서 그 중요성이 주목되고 있는 ‘가상성’을 심미성의 중심적 속성으로 재조명하고 니체와 보러의 미적 가상 및 가상 세계에 대한논의를 바탕으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를 토대로 문학교육에서의 심미성의 재맥락화 방향성을 포스트 시대에서의 상상적 현실과 대안적 감각으로서의 장르, 심미적 교육과 문학교육의 관계 정립, 가상적 감각 구성의 패턴으로서의 문학의 언어적 형식 및 공동체적 차원에서 가상 세계의 다양성이 지니는 의미로 나누어 논하였다. 본 연구는 문학교육이 처한 실제 현상과 이론적인 차원을 연계하여 보다 심미성이 실제적 층위에서 생산성을 지닐 수 있도록 하는 가능성을 마련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Levine, C., "형식들" 앨피 2021

      2 박은진 ; 최영인, "핵심역량으로서 ‘심미적 감성 역량’의 재개념화를 위한 방향 탐색" 초등교육연구원 31 (31): 213-231, 2020

      3 이경언, "프랑스와 아일랜드의 학교예술교육 정책"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4 이향근, "포스트휴먼 시대를 위한 문학교육의 방향 탐색" 초등교육연구원 31 : 93-104, 2021

      5 윤여탁, "포스트 휴먼 시대의 한국어교육: 그 현재와 미래" 국어교육연구소 (46) : 283-306, 2020

      6 교육부,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해설: 중학교"

      7 최문규, "철학적, 사회적 현대성에서 심미적 현대성으로" 문학동네 9 : 1-11, 1996

      8 Nietzsche, F. W.,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문예출판사 2010

      9 김민성 ; 김현미, "지리답사를 통한 심미적 감성 역량 함양" 과학교육연구소 60 (60): 213-226, 2021

      10 Bohrer, K. H., "절대적 현존" 문학동네 1998

      1 Levine, C., "형식들" 앨피 2021

      2 박은진 ; 최영인, "핵심역량으로서 ‘심미적 감성 역량’의 재개념화를 위한 방향 탐색" 초등교육연구원 31 (31): 213-231, 2020

      3 이경언, "프랑스와 아일랜드의 학교예술교육 정책"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4 이향근, "포스트휴먼 시대를 위한 문학교육의 방향 탐색" 초등교육연구원 31 : 93-104, 2021

      5 윤여탁, "포스트 휴먼 시대의 한국어교육: 그 현재와 미래" 국어교육연구소 (46) : 283-306, 2020

      6 교육부,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해설: 중학교"

      7 최문규, "철학적, 사회적 현대성에서 심미적 현대성으로" 문학동네 9 : 1-11, 1996

      8 Nietzsche, F. W.,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문예출판사 2010

      9 김민성 ; 김현미, "지리답사를 통한 심미적 감성 역량 함양" 과학교육연구소 60 (60): 213-226, 2021

      10 Bohrer, K. H., "절대적 현존" 문학동네 1998

      11 최문규, "자율적 예술과 가상-헤겔 미학에서의"가상"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독어독문학회 65 : 102-135, 1998

      12 정용환, "자율성과 우월성 -칼 하인츠 보러의 현대문학론 Ⅰ" 한국독어독문학회 45 (45): 211-231, 2004

      13 Taylor, C., "자아의 원천" 새물결 2015

      14 고경화, "예술교육의 역사와 이론" 학지사 2003

      15 김성진, "예술교육으로서의 문학교육에 대한 시론 - 창작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교육학회 (66) : 73-103, 2020

      16 오윤주, "심미적 문식성 신장을 위한 소설 교육 경험 연구" 서울대학교 2018

      17 오윤주, "심미적 경험으로서의 소설 교육" 한국문학교육학회 (55) : 173-206, 2017

      18 최진, "심미적 감성 역량의 이해를 위한 ‘표현’ 개념의 재탐색" 한국예술교육학회 18 (18): 237-256, 2020

      19 김길웅, "시간과 문화(I) : 니체의 가상개념과 "순간"의 유토피아"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30 : 205-231, 2004

      20 김민재, "시 인식 중심의 심미적 문식성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2021

      21 고정희, "세계시민의 리터러시와 국어교육" 국어교육연구소 (44) : 1-37, 2019

      22 김창준, "서양 근ㆍ현대 미학에서 ‘미적 가상’에 관한 연구 ― 헤겔, 루카치, 아도르노, 블로흐를 중심으로" 대동철학회 (44) : 189-220, 2008

      23 심재민, "생성과 가상에 근거한 니체의 미학" 한국뷔히너학회 17 : 113-134, 2001

      24 우신영,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과 문학교육의 관계" 국어국문학회 (193) : 157-196, 2020

      25 Greene, M., "블루 기타 변주곡" 다빈치 2011

      26 고혜진, "미적체험 기반 융합교육 프로그램 수행과정에서 발현되는 사회적 공감능력과 확산적 사고능력 특성" 이화여자대학교 2018

      27 문지영 ; 손서진 ; 김성원, "미적 경험을 활용한 과학 수업에서 중학생의 상상력과 과학의 심미성 탐색" 교과교육연구소 25 (25): 179-195, 2021

      28 박민수, "미적 경험과 좋은 삶 ―마르틴 젤의 미학에 대하여" 한국독어독문학회 51 (51): 103-120, 2010

      29 김인설,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기능과 방향을 위한 탐색적 연구: 다원주의적 사회정의이론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사회학회 24 : 55-92, 2017

      30 강내희, "문화연구와 '문형학' - 문학의 새로운 이해" 한국언어문화학회 (26) : 5-28, 2004

      31 김신정, "문학의 교육, 문학을 통한 교육" 문학과 지성사 2009

      32 윤영천, "문학의 교육, 문학을 통한 교육" 문학과지성사 2009

      33 김대행, "문학교육원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34 고정희, "문학과 미술의 교육적 융합을 위한 제언 - 존 에버렛 밀레이의 그림 <오필리아>를 중심으로 -" 한국문학치료학회 40 : 39-72, 2016

      35 김대행, "문학 생활화의 패러다임" 한국문학교육학회 7 : 9-23, 2001

      36 김민재, "문학 문식성 개념의 역할과 방향―심미적 속성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학회 (73) : 161-187, 2020

      37 김선희, "디지털 가상화의 매끄러움이 지니는 탈-현실화에 대한 철학적 분석: 니체와 한병철을 중심으로" 한국동서철학회 (100) : 323-350, 2021

      38 박철웅, "도시답사에서 다감각적 경험을 통한 질적 접근"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2 (22): 65-79, 2014

      39 이수안, "대도시 산보자의 도시공간 향유 양식의 계보학: 벤야민으로부터 구보씨를 거쳐 테크노 산보자까지" 한국문화사회학회 22 : 347-381, 2016

      40 김성진, "근대문학의 종언 선언 이후의 문학교육, 그 방향의 탐색" 한국문학교육학회 87-99, 2021

      41 최문규, "근대, 가상, ‘견고한 것’의 형이상학- 샤미소의 "페터 슐레밀의 놀라운 이야기"" 한국독일현대문학회 (51) : 53-78, 2018

      42 심상교, "국어교육과 예술교육의 상보적 요소에 대한 관찰"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58) : 33-54, 2015

      43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5])"

      44 이정연 ; 류재만, "국내외 교육과정에 반영된 초등학교 음악, 미술, 체육의 심미적 감성역량" 초등교육연구원 31 (31): 99-118, 2020

      45 황혜진, "공감과 연민을 위한 예술교육의 역할과 교육내용-판소리문학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회 (53) : 61-97, 2018

      46 김현주, "고전문학 교육에서 예술 교육의 의의와 방향 모색" 한국고전문학회 (53) : 5-26, 2018

      47 소영현, "감정연구의 도전 - 흐르는 성찰성과 은폐된 미래 -" 한국근대문학회 17 (17): 381-410, 2016

      48 이선, "가상과 현실을 횡단하는 심미적 사유: 니체 철학을 중심으로" 호남학연구원 (24) : 5-40, 2022

      49 김란주, "‘심미적 감성 역량’의 개념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7 (37): 1-28, 2019

      50 곽덕주 ; 서정은, "‘문화-예술-교육’의 의미와 그 개념적 관련성 고찰 : 예술에 대한 탈근대적 이해 및 그 교육적 가치를 중심으로" 한국문화교육학회 15 (15): 29-56, 2020

      51 Bassett, K., "Walking as an aesthetic practice anda critical tool : Some psychogeographicexperiments" 28 (28): 397-410, 2004

      52 권은재 ; 강인애, "Maxine Greene의 ‘상상력 학습’을 활용한 고등학교 역사 수업 사례: 역사적 상상력 신장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51-172, 2017

      53 Greene, M., "Imagination and Aesthetic Theory" 20 (20): 14-20, 1977

      54 Eisner, E., "Cognition and Curriculum Reconsidered" Teachers College Press 1994

      55 Dewey, J, "Art as Experience" Minton, Balch & Company 1934

      56 권희경, "2015 교육과정의 심미적 감성 역량의 개념 분석: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59 (59): 333-359, 202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