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Levine, C., "형식들" 앨피 2021
2 박은진 ; 최영인, "핵심역량으로서 ‘심미적 감성 역량’의 재개념화를 위한 방향 탐색" 초등교육연구원 31 (31): 213-231, 2020
3 이경언, "프랑스와 아일랜드의 학교예술교육 정책"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4 이향근, "포스트휴먼 시대를 위한 문학교육의 방향 탐색" 초등교육연구원 31 : 93-104, 2021
5 윤여탁, "포스트 휴먼 시대의 한국어교육: 그 현재와 미래" 국어교육연구소 (46) : 283-306, 2020
6 교육부,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해설: 중학교"
7 최문규, "철학적, 사회적 현대성에서 심미적 현대성으로" 문학동네 9 : 1-11, 1996
8 Nietzsche, F. W.,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문예출판사 2010
9 김민성 ; 김현미, "지리답사를 통한 심미적 감성 역량 함양" 과학교육연구소 60 (60): 213-226, 2021
10 Bohrer, K. H., "절대적 현존" 문학동네 1998
1 Levine, C., "형식들" 앨피 2021
2 박은진 ; 최영인, "핵심역량으로서 ‘심미적 감성 역량’의 재개념화를 위한 방향 탐색" 초등교육연구원 31 (31): 213-231, 2020
3 이경언, "프랑스와 아일랜드의 학교예술교육 정책"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4 이향근, "포스트휴먼 시대를 위한 문학교육의 방향 탐색" 초등교육연구원 31 : 93-104, 2021
5 윤여탁, "포스트 휴먼 시대의 한국어교육: 그 현재와 미래" 국어교육연구소 (46) : 283-306, 2020
6 교육부,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해설: 중학교"
7 최문규, "철학적, 사회적 현대성에서 심미적 현대성으로" 문학동네 9 : 1-11, 1996
8 Nietzsche, F. W.,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문예출판사 2010
9 김민성 ; 김현미, "지리답사를 통한 심미적 감성 역량 함양" 과학교육연구소 60 (60): 213-226, 2021
10 Bohrer, K. H., "절대적 현존" 문학동네 1998
11 최문규, "자율적 예술과 가상-헤겔 미학에서의"가상"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독어독문학회 65 : 102-135, 1998
12 정용환, "자율성과 우월성 -칼 하인츠 보러의 현대문학론 Ⅰ" 한국독어독문학회 45 (45): 211-231, 2004
13 Taylor, C., "자아의 원천" 새물결 2015
14 고경화, "예술교육의 역사와 이론" 학지사 2003
15 김성진, "예술교육으로서의 문학교육에 대한 시론 - 창작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교육학회 (66) : 73-103, 2020
16 오윤주, "심미적 문식성 신장을 위한 소설 교육 경험 연구" 서울대학교 2018
17 오윤주, "심미적 경험으로서의 소설 교육" 한국문학교육학회 (55) : 173-206, 2017
18 최진, "심미적 감성 역량의 이해를 위한 ‘표현’ 개념의 재탐색" 한국예술교육학회 18 (18): 237-256, 2020
19 김길웅, "시간과 문화(I) : 니체의 가상개념과 "순간"의 유토피아"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30 : 205-231, 2004
20 김민재, "시 인식 중심의 심미적 문식성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2021
21 고정희, "세계시민의 리터러시와 국어교육" 국어교육연구소 (44) : 1-37, 2019
22 김창준, "서양 근ㆍ현대 미학에서 ‘미적 가상’에 관한 연구 ― 헤겔, 루카치, 아도르노, 블로흐를 중심으로" 대동철학회 (44) : 189-220, 2008
23 심재민, "생성과 가상에 근거한 니체의 미학" 한국뷔히너학회 17 : 113-134, 2001
24 우신영,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과 문학교육의 관계" 국어국문학회 (193) : 157-196, 2020
25 Greene, M., "블루 기타 변주곡" 다빈치 2011
26 고혜진, "미적체험 기반 융합교육 프로그램 수행과정에서 발현되는 사회적 공감능력과 확산적 사고능력 특성" 이화여자대학교 2018
27 문지영 ; 손서진 ; 김성원, "미적 경험을 활용한 과학 수업에서 중학생의 상상력과 과학의 심미성 탐색" 교과교육연구소 25 (25): 179-195, 2021
28 박민수, "미적 경험과 좋은 삶 ―마르틴 젤의 미학에 대하여" 한국독어독문학회 51 (51): 103-120, 2010
29 김인설,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기능과 방향을 위한 탐색적 연구: 다원주의적 사회정의이론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사회학회 24 : 55-92, 2017
30 강내희, "문화연구와 '문형학' - 문학의 새로운 이해" 한국언어문화학회 (26) : 5-28, 2004
31 김신정, "문학의 교육, 문학을 통한 교육" 문학과 지성사 2009
32 윤영천, "문학의 교육, 문학을 통한 교육" 문학과지성사 2009
33 김대행, "문학교육원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34 고정희, "문학과 미술의 교육적 융합을 위한 제언 - 존 에버렛 밀레이의 그림 <오필리아>를 중심으로 -" 한국문학치료학회 40 : 39-72, 2016
35 김대행, "문학 생활화의 패러다임" 한국문학교육학회 7 : 9-23, 2001
36 김민재, "문학 문식성 개념의 역할과 방향―심미적 속성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학회 (73) : 161-187, 2020
37 김선희, "디지털 가상화의 매끄러움이 지니는 탈-현실화에 대한 철학적 분석: 니체와 한병철을 중심으로" 한국동서철학회 (100) : 323-350, 2021
38 박철웅, "도시답사에서 다감각적 경험을 통한 질적 접근"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2 (22): 65-79, 2014
39 이수안, "대도시 산보자의 도시공간 향유 양식의 계보학: 벤야민으로부터 구보씨를 거쳐 테크노 산보자까지" 한국문화사회학회 22 : 347-381, 2016
40 김성진, "근대문학의 종언 선언 이후의 문학교육, 그 방향의 탐색" 한국문학교육학회 87-99, 2021
41 최문규, "근대, 가상, ‘견고한 것’의 형이상학- 샤미소의 "페터 슐레밀의 놀라운 이야기"" 한국독일현대문학회 (51) : 53-78, 2018
42 심상교, "국어교육과 예술교육의 상보적 요소에 대한 관찰"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58) : 33-54, 2015
43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5])"
44 이정연 ; 류재만, "국내외 교육과정에 반영된 초등학교 음악, 미술, 체육의 심미적 감성역량" 초등교육연구원 31 (31): 99-118, 2020
45 황혜진, "공감과 연민을 위한 예술교육의 역할과 교육내용-판소리문학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회 (53) : 61-97, 2018
46 김현주, "고전문학 교육에서 예술 교육의 의의와 방향 모색" 한국고전문학회 (53) : 5-26, 2018
47 소영현, "감정연구의 도전 - 흐르는 성찰성과 은폐된 미래 -" 한국근대문학회 17 (17): 381-410, 2016
48 이선, "가상과 현실을 횡단하는 심미적 사유: 니체 철학을 중심으로" 호남학연구원 (24) : 5-40, 2022
49 김란주, "‘심미적 감성 역량’의 개념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7 (37): 1-28, 2019
50 곽덕주 ; 서정은, "‘문화-예술-교육’의 의미와 그 개념적 관련성 고찰 : 예술에 대한 탈근대적 이해 및 그 교육적 가치를 중심으로" 한국문화교육학회 15 (15): 29-56, 2020
51 Bassett, K., "Walking as an aesthetic practice anda critical tool : Some psychogeographicexperiments" 28 (28): 397-410, 2004
52 권은재 ; 강인애, "Maxine Greene의 ‘상상력 학습’을 활용한 고등학교 역사 수업 사례: 역사적 상상력 신장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51-172, 2017
53 Greene, M., "Imagination and Aesthetic Theory" 20 (20): 14-20, 1977
54 Eisner, E., "Cognition and Curriculum Reconsidered" Teachers College Press 1994
55 Dewey, J, "Art as Experience" Minton, Balch & Company 1934
56 권희경, "2015 교육과정의 심미적 감성 역량의 개념 분석: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59 (59): 333-359,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