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조성위치에 따른 도시 고층사무소건축물 공개공지의 공공성에 대한 이용자만족도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2637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publicity of the private open space of high-rise office buildings in seoul.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consist of two main parts. The first part is to classify the site planning patterns of the private open space of high-rise office buildings into four types through the case study of samples at teheranno street in seoul. The second part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user's satisfaction and these types of the private open space. In conclusion, the user's satisfaction of the private open space is influenced by the location, the mixing pattern with buildings, and the size of the open space in high-rise office buildings.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establish the planning methods of the private open space of high-rise office buildings and to promote the quality of urban residential environment in Korea.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publicity of the private open space of high-rise office buildings in seoul.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consist of two main parts. The first part is to classify the site planning patterns of the privat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publicity of the private open space of high-rise office buildings in seoul.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consist of two main parts. The first part is to classify the site planning patterns of the private open space of high-rise office buildings into four types through the case study of samples at teheranno street in seoul. The second part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user's satisfaction and these types of the private open space. In conclusion, the user's satisfaction of the private open space is influenced by the location, the mixing pattern with buildings, and the size of the open space in high-rise office buildings.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establish the planning methods of the private open space of high-rise office buildings and to promote the quality of urban residential environment in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도시 고층건축물내 공개공지의 계획유형
      • 3. 도시 고층건축물내 공개공지의 이용자만족도
      • 4. 계획유형에 따른 도시 고층건축물내 공개공지의 이용자만족도(공공성확보)
      • Abstract
      • 1. 서론
      • 2. 도시 고층건축물내 공개공지의 계획유형
      • 3. 도시 고층건축물내 공개공지의 이용자만족도
      • 4. 계획유형에 따른 도시 고층건축물내 공개공지의 이용자만족도(공공성확보)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한섭, 김성홍, "테헤란로 高層事務所 建物 저층부의 公共空間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19 (19): 3-10, 2003

      2 박종현, "초고층건축물의 공공성 증진을 위한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0 (20): 33-42, 2004

      3 김세용, "사무소건축물 공개공지의 쾌적성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18 (18): 147-154, 2002

      4 김기수, "물리적 환경의 질 지표에 의한 공동주택단지 인지주거환경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고려대 2000

      5 김세용, "도시공공공간의 쾌적성의 정량적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대학원 1997

      6 정창구, "도시 고층건물 공개공지의 이용자만족도 분석에 관한 연구" 연세대대학교 공학대학원 2005

      7 유승호, "대지내 위치별 공개공지의 설계방향 연구" 1998

      8 신중진, "대규모 복합용도개발의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외부공간의 공공성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18 (18): 27-38, 2002

      9 김주석, "공개공지의 설치기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18 (18): 39-46, 2002

      10 이종화, "공개공지 조성실태 및 이용행태 분석에 기초한 공개공지 세부설계지침 설정에 관한 연구" 2001

      1 윤한섭, 김성홍, "테헤란로 高層事務所 建物 저층부의 公共空間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19 (19): 3-10, 2003

      2 박종현, "초고층건축물의 공공성 증진을 위한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0 (20): 33-42, 2004

      3 김세용, "사무소건축물 공개공지의 쾌적성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18 (18): 147-154, 2002

      4 김기수, "물리적 환경의 질 지표에 의한 공동주택단지 인지주거환경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고려대 2000

      5 김세용, "도시공공공간의 쾌적성의 정량적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대학원 1997

      6 정창구, "도시 고층건물 공개공지의 이용자만족도 분석에 관한 연구" 연세대대학교 공학대학원 2005

      7 유승호, "대지내 위치별 공개공지의 설계방향 연구" 1998

      8 신중진, "대규모 복합용도개발의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외부공간의 공공성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18 (18): 27-38, 2002

      9 김주석, "공개공지의 설치기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18 (18): 39-46, 2002

      10 이종화, "공개공지 조성실태 및 이용행태 분석에 기초한 공개공지 세부설계지침 설정에 관한 연구" 2001

      11 이진우, "고층사무소 건물군의 외부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고려대 1997

      12 최희원, "건축설계 전문가의 의식 조사를 통해 본 공개공지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18 (18): 175-182,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3-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Construction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74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