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洪奭周 原體散文의 담론생산자적 의미와 수사적 특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385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洪奭周(1774~1842)가 남긴 5편 원체산문은, 정격고문체로 작성된 연작 산문이다. 새로운 문예이론 및 철학 담론을 제시하면서 여타산문과 대별되는 이지적인 산문 미학을 노정하고 있다는 점에...

      洪奭周(1774~1842)가 남긴 5편 원체산문은, 정격고문체로 작성된 연작 산문이다. 새로운 문예이론 및 철학 담론을 제시하면서 여타산문과 대별되는 이지적인 산문 미학을 노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는 선초 이후 비롯되어 조선후기에 집중적으로 창작되었던 원체산문이 대부분 성리학 원론이나 정치 원론에 집중되어 있었던 점과 비추어 볼 때도 유다른 색채를 띠는 것이다.
      「原詩」에서 다루고 있는 ‘詩發於情’의 문제는, 시경 시대 이후 비롯된 시학 원론에 해당하지만, 조선 후기에야 본격화된 논의 중의 하나이다. 홍석주가 견지한 시론은, ‘性情 우위의 感人效用’論으로로 정리할 수 있다. 이는 인간의 내밀한 욕망과 정감 및 개성이 긍정되는 조선 후기 시학상의 새 흐름과 분위기를 참조하면서, ‘文章載道之器’의 전통적 문예 원론을 긍정하고 있는 것이라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홍석주가 견지한 중도 보수주의적 시학논의는, 저자의 말년 저술 학강산필에서 그대로 확인할 수 있으며, 저자의 실제 작품 창작 경향으로도 확인이 가능하다. 전통과 새 흐름을 아우르는 홍석주의 시론은, 조선 후기의 시학상의 큰 흐름과 맥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라는 점에서 그 문학사적 의미와 가치를 찾아볼 수 있다.
      「原名」에서 다루고 있는 ‘名實’ 문제는, ‘名 보다는 實’을 중시하는 지식인 일반의 도덕적인 修己 · 處世學의 논리를 기본으로 한다. 다만 홍석주는 여기에서 더 나아가 ‘名을 거론하는 일 자체’ 에 대한 도덕적 자기 검열의 과정을 작품 속에 포함하면서, 명실 논의의 가치와 의미를 새로 발견하고 있다는 점이 특이하다. 이는 가장 근본적인 질문에 소급해서 문제의 원인과 대안을 찾는 원체 산문 고유의 논리 전개 방식과 서술 방식을 충실히 따른 결과이다. 원체산문 고유의 이러한 작문 기법은 저자만의 남다른 생각과 가치와 담론을 이끌어내는데 효율적으로 기능하고 있다.
      5편 원체 산문을 통해 홍석주가 견지한 詩論과 名實論적 입장은, ‘辭達’을 중시하는 그의 古文觀적 입장과 공명하면서, 작품 자체에 빈번한 몇 가지 수사법으로도 표출된다. ‘問答文’ 형식은, 작품의 내용 전달력을 높이면서 핵심 논지와 주제를 전개시킨다. 논의 전개상 빈번하게 사용된 ‘혹자 힐문[或曰]’은, 작품 서두에서는 논제를 제시하고, 중반에서는 반론과 반례를 통해 글의 핵심 논지를 설득력 있게 전개하도록 하며, 글의 말미에서는 주제를 강화하고 확정하는 기능까지를 담당하고 있다. 홍석주 원체산문이 지닌 이러한 修辭들은, 작품의 내용 전달력을 높이기 위해 빈번하게 사용된 다양한 열거와 비유법 등과 더불어 현대 작문 수업에 활용할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uk-joo Hong(1774~1842) has written 5 won style proses, a series of prose that is written in archaic standard style. He introduces a new literary theory and philosophical discourse and the intellectuality is disclosed in the aesthetic of his proses; i...

      Suk-joo Hong(1774~1842) has written 5 won style proses, a series of prose that is written in archaic standard style. He introduces a new literary theory and philosophical discourse and the intellectuality is disclosed in the aesthetic of his proses; it makes his work different. Even though a large number of won style proses that mostly reflect the neo-confucianism theory or the political theory have been written intensively in the lat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since the beginning, his work has still different colors.
      Although ‘the discourse of feeling in the poem’ that is disclosed in 「Wunsi」 is relevant to the poetic theory after the period of 「Book of Songs」, it is discussed earnestly in the lat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e poetics of Suk-joo Hong is summarized as ‘motivating people for more practical behaviors than human feelings’. It is acceptable in the new trend and atmosphere of poetics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that affirms the inner desire, feeling, and individuality of human and also affirms that traditional literary theory that treats ‘literary as the container of truth’. His moderate conservative poetics is disclosed in his latter book of 「HakGangSanPil(鶴岡散筆)」 and the tendency of his writing works. Embracing the tradition and the new trend,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