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CAI로 분석한 전라북도 시민운동의 영역별 역량 평가 = Capacity Evaluation of NGO’s Activities in Joellabuk-do through CAI(Civic Activism Index)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796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is paper analyses 133 NGOs located in the Jeollabuk-do on the basis of the Civic Activism Index (CAI), an index evaluated by the SSK Team of Hanil University. The CAI is constructed of 4 dimensions (organization, environment, value, and influence), 25 indicators and 32 particular items. The study classified the Cheonbuk province into 14 cities/counties and 20 civic movement areas. It took place from October 2012 to early February 2013. As a result, the NGOs from Cheonbuk province reached a relatively high score in value and influence, while the scores on organization and environment came out low. The average was 6.52, diverting this score in each dimension, the organization score was 5.98, environment 5.88, value 7.35 and influence 6.66. Women`s organization gained the highest points, groups for foreign immigrants were the lowest. Nevertheless, most of the groups outrun the average score, which is an improvement, compared to the earlier CSI(Civil Society Index). The “particular items” category in the new CAI is structured differently, but it was the author’s intention, to adopt the 4 dimensions from the earlier CSI model, which facilitates a comparison. The results from the former CSI study, which took place 7, 8 years ago, revealed also a higher score in values and influence and a lower score in environment and organizations, which falls beneath the average score. The results shows, that in the meantime, Korea’s civic action has grown and improved. But it can also be interpreted, that the NGOs are overextending their abilities, that their gained exaggerated representativeness. Based on the study, social service-producing NGOs exist more than 3 times as advocacy NGOs. Community based alternative NGOs forms 10 percent of the whole. It can be observed, that the civic action is transforming more and more into social service-producing and alternative activities. A majority of the NGOs locating in Jeollabu-do, were Women’s-, volunteer- and environmental organizations, who are fulfilling their activities with a strong sense of pride, looking forward to a hopeful future. It is criticized, that a decreasing support from the government had negative influence on the civic actions. This needs to be specified. For a more objective and accurate analysis, this CAI study needs to expand throughout the whole country after modifications and completions.
      번역하기

      This paper analyses 133 NGOs located in the Jeollabuk-do on the basis of the Civic Activism Index (CAI), an index evaluated by the SSK Team of Hanil University. The CAI is constructed of 4 dimensions (organization, environment, value, and influence), ...

      This paper analyses 133 NGOs located in the Jeollabuk-do on the basis of the Civic Activism Index (CAI), an index evaluated by the SSK Team of Hanil University. The CAI is constructed of 4 dimensions (organization, environment, value, and influence), 25 indicators and 32 particular items. The study classified the Cheonbuk province into 14 cities/counties and 20 civic movement areas. It took place from October 2012 to early February 2013. As a result, the NGOs from Cheonbuk province reached a relatively high score in value and influence, while the scores on organization and environment came out low. The average was 6.52, diverting this score in each dimension, the organization score was 5.98, environment 5.88, value 7.35 and influence 6.66. Women`s organization gained the highest points, groups for foreign immigrants were the lowest. Nevertheless, most of the groups outrun the average score, which is an improvement, compared to the earlier CSI(Civil Society Index). The “particular items” category in the new CAI is structured differently, but it was the author’s intention, to adopt the 4 dimensions from the earlier CSI model, which facilitates a comparison. The results from the former CSI study, which took place 7, 8 years ago, revealed also a higher score in values and influence and a lower score in environment and organizations, which falls beneath the average score. The results shows, that in the meantime, Korea’s civic action has grown and improved. But it can also be interpreted, that the NGOs are overextending their abilities, that their gained exaggerated representativeness. Based on the study, social service-producing NGOs exist more than 3 times as advocacy NGOs. Community based alternative NGOs forms 10 percent of the whole. It can be observed, that the civic action is transforming more and more into social service-producing and alternative activities. A majority of the NGOs locating in Jeollabu-do, were Women’s-, volunteer- and environmental organizations, who are fulfilling their activities with a strong sense of pride, looking forward to a hopeful future. It is criticized, that a decreasing support from the government had negative influence on the civic actions. This needs to be specified. For a more objective and accurate analysis, this CAI study needs to expand throughout the whole country after modifications and comple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논문에서는 한일장신대학교 SSK팀이 개발한 시민운동지표(Civic Action Index, CAI)를 적용하여 전라북도에서 활동하고 있는 133개의 NGO를 조사·평가하였다. CAI 설문지는 4개 차원(조직, 환경, 가치, 영향력), 25개 지표, 32개 세부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전라북도 14개 시/군과 20개 시민운동 영역으로 분류하여 2012년 10월부터 2013년 2월초까지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라북도의 NGO는 조직과 환경에서는 비교적 낮은 점수를 보였고, 가치와 영향에서는 높은 점수를 받았다. 전체 평균은 6.77이었고, 이를 차원별 평균으로 환원해 보면 조직은 6.35, 환경은 5.87, 가치는 8.13, 영향력은 6.60이었다.
      대안사회단체가 가장 높았고, 외국인 관련 단체가 가장 낮았다. 그럼에도 다수 영역의 활동단체들은 평균 이상의 점수를 얻었는데, 이는 과거에 실시된 시민사회지표 평가에 비해 향상되었다고 할 수 있다. 세부 문항은 전혀 다르지만 본 연구팀이 4개 차원과 개념을 차용한 것은 과거와 비교해 보려는 의도에 기인한 것이다. 7, 8년 전에 실시한 CSI 조사에서도 한국의 시민사회는 가치와 영향력은 높고 환경과 조직은 낮았는데, 그마저 평균 이하였었다. 그 사이 한국의 시민운동이 일정 정도 성장/발전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시민운동이 자기 능력 이상으로 활동하고 있는 현상으로도 파악될 수 있어 과다 대표성이나 일종의 거품으로 해석될 여지도 있는 것이다.
      조사 결과 주창활동보다 서비스 생산 NGO가 3배 이상 많았고, 대안 운동 단체들도 전체의 10%이상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이는 시민운동의 지형이 서비스 생산과 대안 운동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전북에서는 여성단체와 자원봉사단체, 환경단체 등이 많았으며 활동가들은 시민운동에 대한 강한 자부심과 함께 미래에 대해 매우 낙관하고 있었다. 다만 정부의 지원 감소가 운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하여 이에 대한 보다 면밀한 분석 작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현실을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이번 CAI 작업은 수정/보완되어야 하며 전국적으로 확대되면 보다 정확한 비교분석이 가능해 질 것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한일장신대학교 SSK팀이 개발한 시민운동지표(Civic Action Index, CAI)를 적용하여 전라북도에서 활동하고 있는 133개의 NGO를 조사·평가하였다. CAI 설문지는 4개 차원(조직, 환경, 가...

      본 논문에서는 한일장신대학교 SSK팀이 개발한 시민운동지표(Civic Action Index, CAI)를 적용하여 전라북도에서 활동하고 있는 133개의 NGO를 조사·평가하였다. CAI 설문지는 4개 차원(조직, 환경, 가치, 영향력), 25개 지표, 32개 세부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전라북도 14개 시/군과 20개 시민운동 영역으로 분류하여 2012년 10월부터 2013년 2월초까지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라북도의 NGO는 조직과 환경에서는 비교적 낮은 점수를 보였고, 가치와 영향에서는 높은 점수를 받았다. 전체 평균은 6.77이었고, 이를 차원별 평균으로 환원해 보면 조직은 6.35, 환경은 5.87, 가치는 8.13, 영향력은 6.60이었다.
      대안사회단체가 가장 높았고, 외국인 관련 단체가 가장 낮았다. 그럼에도 다수 영역의 활동단체들은 평균 이상의 점수를 얻었는데, 이는 과거에 실시된 시민사회지표 평가에 비해 향상되었다고 할 수 있다. 세부 문항은 전혀 다르지만 본 연구팀이 4개 차원과 개념을 차용한 것은 과거와 비교해 보려는 의도에 기인한 것이다. 7, 8년 전에 실시한 CSI 조사에서도 한국의 시민사회는 가치와 영향력은 높고 환경과 조직은 낮았는데, 그마저 평균 이하였었다. 그 사이 한국의 시민운동이 일정 정도 성장/발전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시민운동이 자기 능력 이상으로 활동하고 있는 현상으로도 파악될 수 있어 과다 대표성이나 일종의 거품으로 해석될 여지도 있는 것이다.
      조사 결과 주창활동보다 서비스 생산 NGO가 3배 이상 많았고, 대안 운동 단체들도 전체의 10%이상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이는 시민운동의 지형이 서비스 생산과 대안 운동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전북에서는 여성단체와 자원봉사단체, 환경단체 등이 많았으며 활동가들은 시민운동에 대한 강한 자부심과 함께 미래에 대해 매우 낙관하고 있었다. 다만 정부의 지원 감소가 운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하여 이에 대한 보다 면밀한 분석 작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현실을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이번 CAI 작업은 수정/보완되어야 하며 전국적으로 확대되면 보다 정확한 비교분석이 가능해 질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차명제, "환경" 아르케 2005

      2 남궁근, "행정조사방법론" 법문사 1998

      3 차명제, "한국의 시민운동지표(Civil Action Index)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 - 유사지표와의 비교 연구 -"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6 (26): 75-129, 2012

      4 주성수, "한국시민사회지표" 아르케 2006

      5 김영래, "한국 시민운동의 과제와 전망, In NGO와 한국정치" 아르케 2004

      6 조효제, "아시아 시민사회 비교연구의 쟁점과 평가, In 아시아의 시민사회: 현재와 전망" 아르케 2005

      7 박상필, "시민운동 측정모형의 개발" 한국비영리학회 12 (12): 3-31, 2013

      8 "www.civicus.org"

      9 OECD, "The Challenge of Capacity Development: Working Towards Good Practices" 2006

      10 UNDP, "Suppoting Capacity Development: The UNDP Approach" UNDP Bureau of Development Policy 2008

      1 차명제, "환경" 아르케 2005

      2 남궁근, "행정조사방법론" 법문사 1998

      3 차명제, "한국의 시민운동지표(Civil Action Index)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 - 유사지표와의 비교 연구 -"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6 (26): 75-129, 2012

      4 주성수, "한국시민사회지표" 아르케 2006

      5 김영래, "한국 시민운동의 과제와 전망, In NGO와 한국정치" 아르케 2004

      6 조효제, "아시아 시민사회 비교연구의 쟁점과 평가, In 아시아의 시민사회: 현재와 전망" 아르케 2005

      7 박상필, "시민운동 측정모형의 개발" 한국비영리학회 12 (12): 3-31, 2013

      8 "www.civicus.org"

      9 OECD, "The Challenge of Capacity Development: Working Towards Good Practices" 2006

      10 UNDP, "Suppoting Capacity Development: The UNDP Approach" UNDP Bureau of Development Policy 2008

      11 Cohen, Jean, "Civil Society and Political Theory" The MIT Press 1992

      12 Heinrich, Finn, "CIVICUS Civil Society Index, In CIVICUS Global Survey of the State of Civil Society" Kumarian Press 1-14, 2007

      13 CIVICUS, "Bridging the Gaps: Citizens, Organizations and Dissociation (Civil Society Index Summary Report: 2008-2011)"

      14 CIVICUS, "Assessing and Strenthening Civil Society Worldwide (CIVICUS Civil Society Index 2008-2010 Program Descrip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46 0.558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