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근대해양사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533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new perspective on modern history, exempt from Euro-centrism. It examines the various aspects of the maritime encounters between diverse civilizations on a global scale which brought about the making of a unified world history.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first arena of European expansion was Africa. The Portuguese politico-military incursions into Islam North Africa and the pursuit of commercial gains were the fundamental factors that lay behind the arising conflicts. Thus, the intermix of political conquest, missionary zeal, and economic interests can be seen from the outset of this European expansion. Also, in the dynamic process of maritime expansion along the African west coasts, 'adventures' became the state-sponsored enterprises.
      The next phase was the intrusion into the Asian waters. However, Asian empire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American continent. It was impossible to dominate such strong empires as the Mughal or the Ming, and the Portuguese and the Dutch encountered numerous obstacles in gaining a foothold in the firmly established commercial networks of maritime Asia. Yet they strove, relying heavily on force, to form trading-post empires which consisted of several commercial factories and trade routes among them.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formed in 1602 by combining political power and private capitals proved to be much more effective in profit making and had a greater impact upon Asian economy and society than Portuguese state-monopoly system.
      This research also uncovers several aspects within this process which have been often neglected by historians.
      First, it was the peculiar mentality of the Westerners that drove them towards earthly paradise in search of glory and profit. Medieval maps and travel records provide proofs testifying to European obsession to reach the paradise which was thought to be situated at the far end of Asian continent.
      Second, military supremacy is another important point of the history of encounters. Self-defending and even aggressive coercion was essential in penetrating foreign regions to gain commercial privileges. Even though the achievements of the European 'Military Revolution' were not sufficient to overwhelm the enormous military power of Asian empires, the Westerners concentrated on strategical points and succeeded in obtaining bases to form quite large commercial networks, which expanded in time.
      Third, foreign expansion was also accompanied by movement of animals, plants, and even microbes. The rapidity of the so-called 'Columbian exchange' was made possible because the development of navigation since the sixteenth century accelerated global communication. This brought more often than not break-outs of pandemic such as cholera or smallpox which decimated quite large population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 Western expansion might be the starting point of environmental crises on a world scale.
      Finally, the flow of monies and precious metals is examined. Even though much research has been accomplished concerning these matters, each generation of historians seems to need a new interpretation. Recently, the Chinese function as the last consumer of precious metals has been accentuated, but one must take into account the fact that small monies such as copper coins and cowries played no less important role of establishing international trade as well as sustaining of regional economie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new perspective on modern history, exempt from Euro-centrism. It examines the various aspects of the maritime encounters between diverse civilizations on a global scale which brought about the making of a unified world h...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new perspective on modern history, exempt from Euro-centrism. It examines the various aspects of the maritime encounters between diverse civilizations on a global scale which brought about the making of a unified world history.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first arena of European expansion was Africa. The Portuguese politico-military incursions into Islam North Africa and the pursuit of commercial gains were the fundamental factors that lay behind the arising conflicts. Thus, the intermix of political conquest, missionary zeal, and economic interests can be seen from the outset of this European expansion. Also, in the dynamic process of maritime expansion along the African west coasts, 'adventures' became the state-sponsored enterprises.
      The next phase was the intrusion into the Asian waters. However, Asian empire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American continent. It was impossible to dominate such strong empires as the Mughal or the Ming, and the Portuguese and the Dutch encountered numerous obstacles in gaining a foothold in the firmly established commercial networks of maritime Asia. Yet they strove, relying heavily on force, to form trading-post empires which consisted of several commercial factories and trade routes among them.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formed in 1602 by combining political power and private capitals proved to be much more effective in profit making and had a greater impact upon Asian economy and society than Portuguese state-monopoly system.
      This research also uncovers several aspects within this process which have been often neglected by historians.
      First, it was the peculiar mentality of the Westerners that drove them towards earthly paradise in search of glory and profit. Medieval maps and travel records provide proofs testifying to European obsession to reach the paradise which was thought to be situated at the far end of Asian continent.
      Second, military supremacy is another important point of the history of encounters. Self-defending and even aggressive coercion was essential in penetrating foreign regions to gain commercial privileges. Even though the achievements of the European 'Military Revolution' were not sufficient to overwhelm the enormous military power of Asian empires, the Westerners concentrated on strategical points and succeeded in obtaining bases to form quite large commercial networks, which expanded in time.
      Third, foreign expansion was also accompanied by movement of animals, plants, and even microbes. The rapidity of the so-called 'Columbian exchange' was made possible because the development of navigation since the sixteenth century accelerated global communication. This brought more often than not break-outs of pandemic such as cholera or smallpox which decimated quite large population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 Western expansion might be the starting point of environmental crises on a world scale.
      Finally, the flow of monies and precious metals is examined. Even though much research has been accomplished concerning these matters, each generation of historians seems to need a new interpretation. Recently, the Chinese function as the last consumer of precious metals has been accentuated, but one must take into account the fact that small monies such as copper coins and cowries played no less important role of establishing international trade as well as sustaining of regional econom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럽중심주의를 지양하고 근대 세계사 성립에 대한 기본적인 시각을 새로 정립하는 것을 목표로, 16-18세기에 전지구적인 차원에서 각 문명권이 해상에서 어떻게 조우하였으며, 어떤 과정을 거쳐 하나의 세계사를 형성해 갔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들을 밝혔다.
      유럽이 최초로 팽창해 간 지역은 아프리카이다. 북부 아프리카에 대한 정치적․종교적 공격과 상업 이익 추구 사이의 갈등을 통해 유럽 해양 팽창의 근본적인 갈등 요인을 추적하였다. 즉 정치적인 정복과 종교적 전도, 그리고 경제적 이익 추구의 요인들이 내재적으로 뒤섞여 있는 현상이 초기부터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아프리카 해안을 따라 남하하는 역동적 과정 속에서 단순한 ‘모험’이 점차 국가적인 사업으로 전화하는 국면을 분석하였다.
      아시아와 유럽 사이의 접촉 과정을 서술하고 그 성격 변화를 추적하였다. 아메리카와는 달리 아시아는 인도와 중국 등 강력한 문명권이 자리잡고 있었기 때문에 접근이 어려웠다. 포르투갈은 기존 아시아 교역망에 침투해 들어가기 위해 핵심 지역들을 무력으로 탈취하고 그곳에 요새를 건설하여 거점을 확보하고 이들을 연결하는 소위 trading-post empire를 건설해 나갔다. 포르투갈의 관점에서 보면 이는 왕실 독점 방식이었다. 이에 비해 네덜란드는 포르투갈과는 질적으로 다른 방식으로 접근해 들어왔다. 포르투갈이 국가의 독점 체제였다면 네덜란드는 자본과 국가 기구가 결집된 동인도회사 방식을 취했는데 이것이 무역의 활성화 및 군사․정치적인 지배에 더욱 효과적이었다. 아라비아해로부터 일본에 이르는 광범위한 교역망이 어떻게 운영되었는가, 그리고 그것이 이 지역에 최초의 ‘자본주의적’ 충격을 주었다는 점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런 팽창 과정의 이면에는 그 동안 많은 주목을 받지 못하던 여러 측면들이 숨어 있다.
      해상 팽창을 시도하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심성의 준비가 되어 있어야 가능하다. 그런데 중세 유럽인들은 매우 특이한 심성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특히 종교적으로 지상낙원을 찾아가려는 강박관념이 대단히 강하였다. 콜럼버스나 마젤란 같은 인물들이 전형적인 사례이다. 중세 지도와 여행기 등의 분석을 통해 이 점을 분석하였다.
      유럽인들이 다른 문명과 조우했을 때 가장 두드러지게 차이가 나는 것은 무엇보다도 군사력의 우위였다. 이방인 지역으로 뚫고들어가서 그들이 원하는 것을 성취하려면 군사력의 뒷받침이 없으면 불가능하다. 근대 유럽에서 진정한 의미의 군사혁명이 일어났다는 것은 흔히 지적하는 바이지만, 사실 "총체적인" 군사력으로는 무굴 제국이나 중국이 앞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핵심 지점들에 군사력을 집중하는 방식으로 점차 해상의 네트워크를 확산시켜 나갔다.
      해외 팽창은 단지 인간의 일만이 아니라 동식물의 이동, 더 나아가서 전염병균의 이동과 교류가 동반되는 일이다. 원래 이러한 생태적 교환은 아주 서서히 일어나는 일이었으나 선박을 통하여 전지구적인 소통이 활발해지면서 그 교류가 극도로 빨라지게 되었다. 그 결과 무엇보다도 전염병이 널리 퍼져서 때로는 한 지역 전체 주민을 몰살시키는 가공할 결과를 가져오기도 했다. 또 유럽인의 공격적인 팽창이 환경 파괴의 첫 출발점이 되었다는 지적도 많이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교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럽중심주의를 지양하고 근대 세계사 성립에 대한 기본적인 시각을 새로 정립하는 것을 목표로, 16-18세기에 전지구적인 차원에서 각 문명권이 해상에서 어떻게 조우하였으며, 어...

      본 연구는 유럽중심주의를 지양하고 근대 세계사 성립에 대한 기본적인 시각을 새로 정립하는 것을 목표로, 16-18세기에 전지구적인 차원에서 각 문명권이 해상에서 어떻게 조우하였으며, 어떤 과정을 거쳐 하나의 세계사를 형성해 갔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들을 밝혔다.
      유럽이 최초로 팽창해 간 지역은 아프리카이다. 북부 아프리카에 대한 정치적․종교적 공격과 상업 이익 추구 사이의 갈등을 통해 유럽 해양 팽창의 근본적인 갈등 요인을 추적하였다. 즉 정치적인 정복과 종교적 전도, 그리고 경제적 이익 추구의 요인들이 내재적으로 뒤섞여 있는 현상이 초기부터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아프리카 해안을 따라 남하하는 역동적 과정 속에서 단순한 ‘모험’이 점차 국가적인 사업으로 전화하는 국면을 분석하였다.
      아시아와 유럽 사이의 접촉 과정을 서술하고 그 성격 변화를 추적하였다. 아메리카와는 달리 아시아는 인도와 중국 등 강력한 문명권이 자리잡고 있었기 때문에 접근이 어려웠다. 포르투갈은 기존 아시아 교역망에 침투해 들어가기 위해 핵심 지역들을 무력으로 탈취하고 그곳에 요새를 건설하여 거점을 확보하고 이들을 연결하는 소위 trading-post empire를 건설해 나갔다. 포르투갈의 관점에서 보면 이는 왕실 독점 방식이었다. 이에 비해 네덜란드는 포르투갈과는 질적으로 다른 방식으로 접근해 들어왔다. 포르투갈이 국가의 독점 체제였다면 네덜란드는 자본과 국가 기구가 결집된 동인도회사 방식을 취했는데 이것이 무역의 활성화 및 군사․정치적인 지배에 더욱 효과적이었다. 아라비아해로부터 일본에 이르는 광범위한 교역망이 어떻게 운영되었는가, 그리고 그것이 이 지역에 최초의 ‘자본주의적’ 충격을 주었다는 점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런 팽창 과정의 이면에는 그 동안 많은 주목을 받지 못하던 여러 측면들이 숨어 있다.
      해상 팽창을 시도하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심성의 준비가 되어 있어야 가능하다. 그런데 중세 유럽인들은 매우 특이한 심성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특히 종교적으로 지상낙원을 찾아가려는 강박관념이 대단히 강하였다. 콜럼버스나 마젤란 같은 인물들이 전형적인 사례이다. 중세 지도와 여행기 등의 분석을 통해 이 점을 분석하였다.
      유럽인들이 다른 문명과 조우했을 때 가장 두드러지게 차이가 나는 것은 무엇보다도 군사력의 우위였다. 이방인 지역으로 뚫고들어가서 그들이 원하는 것을 성취하려면 군사력의 뒷받침이 없으면 불가능하다. 근대 유럽에서 진정한 의미의 군사혁명이 일어났다는 것은 흔히 지적하는 바이지만, 사실 "총체적인" 군사력으로는 무굴 제국이나 중국이 앞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핵심 지점들에 군사력을 집중하는 방식으로 점차 해상의 네트워크를 확산시켜 나갔다.
      해외 팽창은 단지 인간의 일만이 아니라 동식물의 이동, 더 나아가서 전염병균의 이동과 교류가 동반되는 일이다. 원래 이러한 생태적 교환은 아주 서서히 일어나는 일이었으나 선박을 통하여 전지구적인 소통이 활발해지면서 그 교류가 극도로 빨라지게 되었다. 그 결과 무엇보다도 전염병이 널리 퍼져서 때로는 한 지역 전체 주민을 몰살시키는 가공할 결과를 가져오기도 했다. 또 유럽인의 공격적인 팽창이 환경 파괴의 첫 출발점이 되었다는 지적도 많이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교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