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랑천에 서식하는 수조류의 개체수를 파악하고 자연적으로 생기거나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모래톱과 거석수제가 중랑천에 서식하고 있는 수조류에게 어떠한 도움을 주는지 알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384237
2022
Korean
중랑천 ; 수조류 ; 모래톱 ; 거석수제 ; Jungnangcheon Stream ; water birds ; sandbars ; megaliths
527
학술저널
14-19(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랑천에 서식하는 수조류의 개체수를 파악하고 자연적으로 생기거나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모래톱과 거석수제가 중랑천에 서식하고 있는 수조류에게 어떠한 도움을 주는지 알아...
본 연구는 중랑천에 서식하는 수조류의 개체수를 파악하고 자연적으로 생기거나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모래톱과 거석수제가 중랑천에 서식하고 있는 수조류에게 어떠한 도움을 주는지 알아보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노원교(37°40’44”N, 127°03’02”E)부터 상계교(37°39’43”N, 127°03’04”E)까지, 상계교(37°39’42”N, 127°03’03”)부터 녹천교(37°38’45”N, 127°03’18”E)까지 하나의 조사 구역을 두 구역으로 나눈 뒤 총 3차례에 걸쳐, 구역 내에 서식하는 수조류와 관찰 당시 수조류의 위치, 행동 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 대부분의 수조류가 모래톱과 거석수제에서 먹이 활동을 하거나 숙면을 취하고 있는 모습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수조류에게 있어 하천의 모래톱과 거석수제는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opulation of water birds living in Jungnangcheon Stream and to find out how naturally formed or artificially created sandbars and giant stones help water birds living in Jungnangcheon Stream. A total of 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opulation of water birds living in Jungnangcheon Stream and to find out how naturally formed or artificially created sandbars and giant stones help water birds living in Jungnangcheon Stream. A total of three survey areas were investigated, divided into two areas, from Nowon Bridge (37°4044N, 127°0302E) to Sanggye Bridge (37°3943N, 127°0304E) to Nokcheon Bridge (37°3845N, 127°0318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most water birds were feeding or sleeping well on sandbars and megaliths. Therefore, sandbars and megaliths of rivers are considered essential for water birds.
목차 (Table of Contents)
생태경관보전지역인 삼육대 불암산 조류 종 관찰을 통한 제명호의 생태적 가치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