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다양한 첨가제에 의한 청국장 불쾌취 및 Bacillus cereus 증식의 억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5937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청국장의 불쾌취를 줄이고 B. cereus 증식을 억제하는데 다양한 첨가제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관능검사는 불쾌취와 맛에 대하여 각각 5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다. 무첨가 청국장의 불쾌취 강...

      청국장의 불쾌취를 줄이고 B. cereus 증식을 억제하는데 다양한 첨가제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관능검사는 불쾌취와 맛에 대하여 각각 5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다. 무첨가 청국장의 불쾌취 강도가 가장 높다고 평가되었으며, 소금 첨가구, 목초액 소금 첨가구, 고추씨기름 첨가구, 죽염 첨가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맛의선호도는 고추씨기름 첨가 청국장이 다른 첨가구들보다 높았다. 각 첨가제들의 B. cereus 증식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죽염이 다른 3개 첨가제에 비하여 그 효과가 가장 뛰어났다. 관능검사 결과 및 B. cereus 증식 억제 효과가 좋게 나타난 죽염 첨가 청국장과 무첨가 청국장의 냄새 성분을 추출, 농축하여 GC/MS로 분석하였다. 죽염 첨가 청국장에서 오렌지 유사 향인 1-ethoxy-1-methoxy-ethane이 무첨가구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죽염을 청국장에 첨가하는 것은 차폐에 의한 청국장의 불쾌취 감소뿐만 아니라 B. cereus 증식 억제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additives in reduction of an unpleasant odor and inhibition of Bacillus cereus growth in Cheonggukjang (CKJ) was investigated. Sensory evaluations of unpleasant odor intensity and taste preference for CKJ were conducted wi...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additives in reduction of an unpleasant odor and inhibition of Bacillus cereus growth in Cheonggukjang (CKJ) was investigated. Sensory evaluations of unpleasant odor intensity and taste preference for CKJ were conducted with a 5-point scale. Raw CKJ was rated to have the highest unpleasant odor intensity, followed by CKJ-salt, CKJ-wood vinegar salt, CKJ-red pepper seed oil, and CKJ-bamboo salt in the given order. The test panel had a greater preference for CKJ-red pepper seed oil than for the other CKJ products. The addition of bamboo salt to CKJ was the most effective in inhibition of B. cereus growth in comparison to the other three additives. Volatile compounds in CKJ and CKJ-bamboo salt were identified by GC/MS analysis. 1-Ethoxy-1-methoxy-ethane was responsible for the pleasant odor and its level significantly increased in CKJ-bamboo salt. Consequently, adding bamboo salt to CKJ not only masked and reduced the unpleasant odor, but also inhibited B. cereus growth in CKJ.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하영, "청국장으로부터 면역증강활성이 우수한Bacillus pumilus JB-1의 뷴리 및 분리균의청국장 발효특성"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32 (32): 291-296, 2004

      2 박성수, "죽염 자리젓의 품질 특성 및 정미성분"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666-673, 2012

      3 이경임, "소금 종류를 달리하여 제조한 된장에서의 항암효과" (사)한국조리학회 17 (17): 241-252, 2011

      4 정신교, "목초액의 항균활성과 페놀화합물의 함량"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2 (12): 470-475, 2005

      5 이성숙, "목초액의 항균활성 및 농약, 식품보존제로의 이용 가능성" 한국목재공학회 38 (38): 341-348, 2010

      6 박돈희, "목초액의 항균 및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공학회 19 (19): 381-384, 2004

      7 박건영, "녹차추출물 및 죽염처리에 의한 된장의 항돌연변이 및 in vitro 항암활성 증진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1-7, 2007

      8 Andersson A, "What problems does the food industry have with the spore-forming pathogens Bacillus cereus and Clostridium perfringens" 28 : 145-155, 1995

      9 Lasekan O, "Volatile constituents of roasted tigernut oil (Cyperus esculentus L.)" 93 : 1055-1061, 2013

      10 Shon WS, "The effect of NaCl and bamboo salt on the growth of various oral bacteria" 15 : 255-268, 1991

      1 권하영, "청국장으로부터 면역증강활성이 우수한Bacillus pumilus JB-1의 뷴리 및 분리균의청국장 발효특성"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32 (32): 291-296, 2004

      2 박성수, "죽염 자리젓의 품질 특성 및 정미성분"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666-673, 2012

      3 이경임, "소금 종류를 달리하여 제조한 된장에서의 항암효과" (사)한국조리학회 17 (17): 241-252, 2011

      4 정신교, "목초액의 항균활성과 페놀화합물의 함량"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2 (12): 470-475, 2005

      5 이성숙, "목초액의 항균활성 및 농약, 식품보존제로의 이용 가능성" 한국목재공학회 38 (38): 341-348, 2010

      6 박돈희, "목초액의 항균 및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공학회 19 (19): 381-384, 2004

      7 박건영, "녹차추출물 및 죽염처리에 의한 된장의 항돌연변이 및 in vitro 항암활성 증진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1-7, 2007

      8 Andersson A, "What problems does the food industry have with the spore-forming pathogens Bacillus cereus and Clostridium perfringens" 28 : 145-155, 1995

      9 Lasekan O, "Volatile constituents of roasted tigernut oil (Cyperus esculentus L.)" 93 : 1055-1061, 2013

      10 Shon WS, "The effect of NaCl and bamboo salt on the growth of various oral bacteria" 15 : 255-268, 1991

      11 문지혜, "The Intrinsic Antimicrobial Activity of Bamboo Salt against Salmonella enteritidis" 대한독성 유전단백체 학회 5 (5): 323-327, 2009

      12 Joo HK, "Studies on chemical composition of commercial chungkuk-jang and flavor compounds of chung-kuk-jang by mugwort (Artmisia asiatica) or red pepper seed oil" 13 : 44-56, 1996

      13 Heo S,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ibrinolytic bacteria from Korean traditional chungkookjang" 41 : 119-124, 1998

      14 Nahon DF, "Flavor release from mixtures of sodium cyclamate, sucrose, and an orange aroma" 46 : 4963-4968, 1998

      15 Ho CT, "Flavor Chemistry Trends and Developments" American Chemical Society 92-104, 1989

      16 Park SJ, "Effects of commercial salts on the growth of kimchi-related microorganisms" 30 : 806-813, 2001

      17 Park WJ, "Effect of Artmisia asiatica Nakai extract on the flavor of chung-kuk-jang" 5 : 115-124, 2011

      18 강종석, "Differences of Wood Vinegar Ingestion and Exercise Training on Blood Lipids, MDA, and SOD Activities in Rats" 한국생명과학회 19 (19): 1190-1199, 2009

      19 Shukla S, "Determination of non-volatile and volatile organic acids in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aste (doenjang)" 48 : 2005-2010, 2010

      20 Zhao J, "Comparison of aroma compounds in naturally fermented and inoculated Chinese soybean pastes by GC-MS and GC-Olfactometry analysis" 22 : 1008-1013, 2011

      21 Kim KJ, "Chungkook-jang Koji fermentation with rice straw" 14 : 301-308, 1982

      22 이나영, "Chloride염 및 유기산 칼슘염의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2 (32): 1233-1238, 2003

      23 Bernstein LR, "Chemistry and pharmacokinetics of gallium maltolate, a compound with high oral gallium bioavailability" 7 : 33-47, 2000

      24 Boelens MH, "Chemical and sensory evaluation of lavandula oils" 20 : 23-51, 1995

      25 Kim JH, "Changes of flavor compounds during chung-kook-jang fermentation" Konkuk University 1996

      26 Choi SH, "Changes in flavor of chungkookjang during fermentation" 21 : 229-234, 1989

      27 Bock JY,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of steamed soybean during fermentation and in alkylpyrazines during aging of chungkookjang" Chungang University 1993

      28 Ikegami F, "Anti-dermaptophyte activity of phenolic compounds in “Mokusaku-Eki”" 118 : 27-30,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0-11-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8 2.01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