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남한의 20대 대학생들이 초·중·고등학교에서 북한이탈주민 및 통일에 대한 교육경험이 북한이탈주민과 통일 인식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786970
박정현 (대구과학대학교)
2025
Korean
북한이탈주민 ; 통일 ; 대학생 ; 대구 ; 경북. ; North Korean defectors ; Unification ; College Students ; Daegu ; North Gyeongsang Province.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265-297(3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남한의 20대 대학생들이 초·중·고등학교에서 북한이탈주민 및 통일에 대한 교육경험이 북한이탈주민과 통일 인식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본 연구는 남한의 20대 대학생들이 초·중·고등학교에서 북한이탈주민 및 통일에 대한 교육경험이 북한이탈주민과 통일 인식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24년 5월2일부터 5월30일까지 외국인과의 교류경험이 있는 대구·경북 지역의 20대 대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여 SPSS23프로그램에 적용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이 대학생이 되기 이전 교육기관에서 북한이탈주민이나 통일에 관련된 교육 경험이 있었던 경우와 교육 경험이 없었던 경우로 구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차분석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북한이탈주민 및 통일 교육경험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관심과 이해 및 한반도의 남북통일과 북한이탈주민의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교육경험이 남한사회에 정착하고 살아가는 북한이탈주민의 인식에 도움이 되고 남한사회의 사회통합에도 긍정적 의미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 연구는 단순비교로 설명하기 어렵고 대구·경북으로 국한된 한계성이 있어 후속연구로 타지역의 조사연구가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how North Korean defectors and educational experiences about unification affect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eir perception of unifi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by college students in their 2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how North Korean defectors and educational experiences about unification affect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eir perception of unifi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by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in South Korea. Therefore, from May 2 to May 30, 2024,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North Korean defectors' perceptions of 250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in Daegu and Gyeongbuk who had exchanges with foreigners and applied it to the SPSS23 program. Cross-analysis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survey subjects into cases where they had educational experience related to North Korean defectors or unification at educational institutions before becoming college students and cases where they had no educational experience.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cross-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North Korean defectors and educational experiences of unifi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 defectors, inter-Korean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ir percep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ducational experience will help North Korean defectors who settle and live in South Korean society, and it will have a positive meaning for social integration in South Korean society. However, since this study is difficult to explain with simple comparison and has limitations limited to Daegu and Gyeongbuk, research studies in other regions are needed as a follow-up study.
공공기관이 지역에 미치는 사회적 가치 측정 지표 항목 연구 – 사회적경제 기반 지역균형발전 관점의 ESG-S와 SVI 지표 정합성 분석을 중심으로 –
몽골의 디지털 미디어 확산에 따른 방송 이용 변화와 정부 정책 고찰
지역 사립대학에서의 융합교육 전략과 참여 학생을 대상으로 한 효과성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