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경우, "커뮤니케이션과 대인관계" 보고사 2006
2 최윤경, "이야기의 구조와 문체가 아동의 이해와 회상에 미치는 영향"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3 金秀姸, "이야기의 구조 및 짜임새가 회상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1982
4 홍경자, "의사소통의 심리학" 학지사 2008
5 김영애, "의사소통 방법론" 김영애가족치료연구소 2008
6 Roy M. Berko, "언어 커뮤니케이션" 한국문화사 2006
7 변학수, "문학치료" 학지사 2007
8 김수업, "듣기에 관한 하나의 조사" 배달말교육학회 10 (10): 103-138, 1992
9 전영우, "듣기 능력 향상에 대하여" 한국국어교육학회 48․49 : 1-19, 1993
10 문금현, "듣기 교육에 대한 일고찰" 숙명여자대학교 68-108, 2003
1 이경우, "커뮤니케이션과 대인관계" 보고사 2006
2 최윤경, "이야기의 구조와 문체가 아동의 이해와 회상에 미치는 영향"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3 金秀姸, "이야기의 구조 및 짜임새가 회상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1982
4 홍경자, "의사소통의 심리학" 학지사 2008
5 김영애, "의사소통 방법론" 김영애가족치료연구소 2008
6 Roy M. Berko, "언어 커뮤니케이션" 한국문화사 2006
7 변학수, "문학치료" 학지사 2007
8 김수업, "듣기에 관한 하나의 조사" 배달말교육학회 10 (10): 103-138, 1992
9 전영우, "듣기 능력 향상에 대하여" 한국국어교육학회 48․49 : 1-19, 1993
10 문금현, "듣기 교육에 대한 일고찰" 숙명여자대학교 68-108, 2003
11 Thorndyke, P. W., "The use of schemata in the acquisition and transfer of knowledge" 11 : 82-106, 1979
12 van Dijk, T., "Strategies of discourse com- prehension" Academic Press 1983
13 Swaffar, J., "Reading for Meaning: An Integrated Approach to Language Learning" Prentice Hall 1991
14 Anderson, A., "Listening"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15 Dunkel, Patricia A, "Developing listening fluency in L2: Theoretical principles and pedagogical considera- tions" 70 (70): 99-106, 1986
16 Allen, E. D., "Comprehension and Text Genre: An Analysis of Secondary School Foreign Language Readers" 72 : 163-187, 1988
17 Kang, M. S., "A study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listening comprehension of interactive and non- interactive types of English discourse" 강원대학교 1996
18 Larry Barker, "(마음을 사로잡는) 경청의 힘" 이아소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