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온라인 영어 발음 수업의 효과성과 학습자 인식 조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382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영어발음은 영어 듣기 및 말하기 능력 향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본 능력 중 하나이며 의사소통 능력 신장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영어발음 능력의 신장을 위하여 진정성 있는 학습 환경에서 지속적인 개별 연습과 다양하고 원활한 상호작용이 필요하다. 또한 대부분의 영어발음 관련 수업은 대부분 원어민 교수자에게 의존되어 있고 학습자들의 수요에 비하여 수준 높은 원어민 교수자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영어발음 수업의 문제점과 한계점을 보완하고 학습자들에게 유의미한 온라인 영어발음 학습의 장을 제공 할 수 있도록 실험연구와 학습자 인식조사를 통하여 최적의 온라인 영어발음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 영어발음 수업을 통한 실험연구가 진행되었고 영어발음 능력에 신장에 대한 효과와 영어발음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A대학교의 대학영어에 영어발음의 원리 및 교정 교과목을 수강하는 10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16주간 진행되었다. 오프라인으로 수업을 수강하는 58명을 통제집단으로 온라인으로 수강하는 52명을 실험집단으로 나누어 선 시험과 후시험이 실시되었고 실험집단에게는 설문조사과 관찰조사가 추가로 실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발음수업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은 발음능력 신장에 효과가 있었으나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따라서 온라인 영어발음 수업도 오프라인 못지않은 효과를 낼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둘째, 온라인 영어발음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이나 난이도는 어려운 편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은 음성녹음 전 개별연습과 학습자 피드백에 관련된 요소들이 어려우면서도 좋았던 점으로 응답하였고 수업의 성공 요소와 필요 도구로는 교수자의 질 높은 강의와 자기 주도적 학습도구로 나타났다. 또한 교수·학습 도구와 수업 요소에 대한 학습자 인식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습자는 강의내용과 학습자 피드백을 중요시하고 개별 학습에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실험연구와 인식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영어발음 수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영어발음은 영어 듣기 및 말하기 능력 향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본 능력 중 하나이며 의사소통 능력 신장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영어발음 능력의 신장을 위하여 진정성 있는 학습 환...

      영어발음은 영어 듣기 및 말하기 능력 향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본 능력 중 하나이며 의사소통 능력 신장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영어발음 능력의 신장을 위하여 진정성 있는 학습 환경에서 지속적인 개별 연습과 다양하고 원활한 상호작용이 필요하다. 또한 대부분의 영어발음 관련 수업은 대부분 원어민 교수자에게 의존되어 있고 학습자들의 수요에 비하여 수준 높은 원어민 교수자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영어발음 수업의 문제점과 한계점을 보완하고 학습자들에게 유의미한 온라인 영어발음 학습의 장을 제공 할 수 있도록 실험연구와 학습자 인식조사를 통하여 최적의 온라인 영어발음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 영어발음 수업을 통한 실험연구가 진행되었고 영어발음 능력에 신장에 대한 효과와 영어발음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A대학교의 대학영어에 영어발음의 원리 및 교정 교과목을 수강하는 10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16주간 진행되었다. 오프라인으로 수업을 수강하는 58명을 통제집단으로 온라인으로 수강하는 52명을 실험집단으로 나누어 선 시험과 후시험이 실시되었고 실험집단에게는 설문조사과 관찰조사가 추가로 실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발음수업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은 발음능력 신장에 효과가 있었으나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따라서 온라인 영어발음 수업도 오프라인 못지않은 효과를 낼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둘째, 온라인 영어발음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이나 난이도는 어려운 편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은 음성녹음 전 개별연습과 학습자 피드백에 관련된 요소들이 어려우면서도 좋았던 점으로 응답하였고 수업의 성공 요소와 필요 도구로는 교수자의 질 높은 강의와 자기 주도적 학습도구로 나타났다. 또한 교수·학습 도구와 수업 요소에 대한 학습자 인식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습자는 강의내용과 학습자 피드백을 중요시하고 개별 학습에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실험연구와 인식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영어발음 수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online English pronunciation class and students’ perspectives in order to develop and suggest a functional instructional model for teaching English pronunciation online.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 of 110 students in a university in Seoul, Korea, and the study lasted for 16 weeks. In order to obtain data, mixed research was conducted. Quantitative data includes experiment and survey, and qualitative data includes observation and student journal entrie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tudents’ scores in pre and posttest in both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showing that online class was as effective as offline course. Second, the students’ perspectives on online English pronunciation class was generally positive, with an exception in easiness, showing that the students considered online English class to be somewhat difficult. They considered individual practice and peer feedback to be positive, and it was observed that the students reflected both on the lecture and peer feedback and applied them in their individual work. Las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structional model for 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online English pronunciation class and students’ perspectives in order to develop and suggest a functional instructional model for teaching English pronunciation online. The subjects 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online English pronunciation class and students’ perspectives in order to develop and suggest a functional instructional model for teaching English pronunciation online.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 of 110 students in a university in Seoul, Korea, and the study lasted for 16 weeks. In order to obtain data, mixed research was conducted. Quantitative data includes experiment and survey, and qualitative data includes observation and student journal entrie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tudents’ scores in pre and posttest in both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showing that online class was as effective as offline course. Second, the students’ perspectives on online English pronunciation class was generally positive, with an exception in easiness, showing that the students considered online English class to be somewhat difficult. They considered individual practice and peer feedback to be positive, and it was observed that the students reflected both on the lecture and peer feedback and applied them in their individual work. Las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structional model for 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