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선과 이병연의 우정에 대한 재고: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의 ‘시거화래지약(詩去畵來之約)’을 중심으로 = Reconsideration of the Friendship between Jeong Seon and Yi Byeongyeon: A Study of “Promise of Interchanging Poetry and Painting” in the Gyeonggyo myeongseung cheop (Album of Famous Scenic Spots in the Surburbs of Hanyang)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화가의 교유관계 파악은 한국회화사 연구에서 필수적이었다. 그동안 화가의 작품 세계 형성 과정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우정, 사승관계, 혈연과 같은 인간관계는 외적 영향의 원인으로 설명...

      화가의 교유관계 파악은 한국회화사 연구에서 필수적이었다. 그동안 화가의 작품 세계 형성 과정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우정, 사승관계, 혈연과 같은 인간관계는 외적 영향의 원인으로 설명되었다. 이 중 전통시대 화가의 ‘우정(友情)’은 쉽게 이상화되거나 미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는 18세기의 화가 정선(鄭敾, 1676-1759)에 관한 연구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정선과 이병연(李秉淵, 1671-1751)은 매우 순수하고 아름다운 우정을 나눈 것으로 전제(前提)되어 왔다. 간송미술관 소장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 역시 정선과 이병연의 합작(合作)이라는 이유 때문에 이들의 우정을 표현한 그림으로 연구되어 왔다. 본고는 《경교명승첩》의 ‘시거화래지약(詩去畵來之約)’과 관련된 작품들의 시각적 분석을 통하여 정선과 이병연의 우정에 대해 재고하는 것을 일차적인 목표로 삼고 있다.
      정선의 시가 가면 그림이 온다는 약속 즉 ‘시거화래지약’과 관련된 작품들은 정선이 양천현령으로 재직하던 1740년에서 1741년에 제작되었다. 《경교명승첩》 은 정선의 아들 정만수(鄭萬遂, 1710-1795)로부터 심환지(沈煥之, 1730-1802) 의 수중에 들어가기 전까지 정선의 집안에 소장되어 있었다. 정선은 일생 동안 타인의 그림 주문에 수응(酬應)하며 생활했다. 이런 그가 자신과 자신의 친구인 이병연을 위해 그린 《경교명승첩》은 수응화(酬應畵)가 아니라는 점에서 매우 이례적이다. 《경교명승첩》에 들어 있는 ‘시거화래지약’과 관련된 작품들은 초상화, 실경산수화, 고사인물화, 시의도 등 다양한 장르를 변형하여 정선과 이병연의 우정을 시각화하였다. 정선과 이병연은 이 작품들을 통해 그들의 우정을 돈독히 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경교명승첩》이 보여주는 정선과 이병연의 우정은 실제로 이들의 개인적 친분 관계로만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정선에게 이병연은 친구이자, 그림 주문자, 그림 중개인이었다. 정선과 같은 사대부 출신의 화가에게 그림을 주문할 때 그와 직접적 친분이 없는 사람들은 정선의 친구였던 이병연을 통해서 그림 주문 및 제작을 의뢰하였다. 이병연은 중국으로 사신을 가는 사람들을 활용하여 정선의 그림을 대리하여 판매해 주기도 하였다. 그리고 정선은 그림을 판매한 대가를 현금이 아닌 물고기, 비단, 양초, 황유자기와 같은 ‘선물’로 받은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의 사회적 분위기는 사대부 출신의 화가가 그림을 통한 상업적 거래를 하는 것이 장려되지 않았다. 따라서 ‘선물’과 같은 ‘대가성 현물’을 통해 거래하는 것은 사대부 출신의 화가들로 하여금 그림을 통해 세속적 거래를 했다는 낙인을 피할 수 있게 해 주었다. 아울러 그림 주문자들은 양반 출신의 화가에게 친구인 이병연을 통해 그림을 부탁함으로써 화가의 자존심을 상하게 하지 않으면서도 득의작(得意作)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했다. 또한 정선과 이병연의 ‘우정’은 서로의 작품 활동에 있어서도 상업적으로 활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18세기의 많은 수장가들은 정선의 그림과 이병연의 시를 함께 하나의 화첩으로 만들어 소장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정선과 이병연은 당대 최고의 화가와 시인으로서 서로의 예술세계를 이해하고 영감을 주는 예술적 동반자였다. 이와 동시에 이들은 시와 그림이라는 예술로 생계를 이어 나가며 명성을 쌓아 가는 데 현실적으로 서로에게 이익이...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study of Korean painting, analyzing the social environment in which the artist lived and worked is essential for understanding his or her artistic production. Interpersonal relations such as friendship, teacher-student relation, as well as kins...

      In the study of Korean painting, analyzing the social environment in which the artist lived and worked is essential for understanding his or her artistic production. Interpersonal relations such as friendship, teacher-student relation, as well as kinship are regarded as external factors in the formation of an artist’s world. In particular, the factor ‘friendship’ was prone to being idealized or romanticized in the narrative of a traditional artist. This phenomenon appears to have occurred also in the case of the eminent painter Jeong Seon (1676-1759). Most research on Jeong Seon and his friend Yi Byeongyeon (1671-1751) claims that they shared a pure and beautiful friendship. Until now, the Gyeonggyo myeongseung cheop (Album of Famous Scenic Spots in the Suburbs of Hanyang) in the collection of the Kansong Art Museum is considered to be a collaboration by Jeong and Yi which resulted from their friendship. However, this paper aims to visually analyze those works from the album Gyeonggyo myeongseung cheop, which were based on their “promise of interchanging poetry and pictures.” Its primary objective is to reconsider the friendship between Jeong Seon and Yi Byeongyeon from a critical perspective.
      Works produced in accordance with their “promise of interchanging poetry and pictures” were executed between the years 1740 and 1741 by Jeong and Yi, while the former lived and worked in Yangcheon as a county magistrate. The album was in the possession of Jeong Seon’s family until Sim Hwanji (1730-1802) acquired it from the painter’s second son. It is very rare that Jeong created paintings for himself, since he normally painted on commission for other people throughout his lifetime. The paintings in the album were designed to visualize their friendship while featuring various genres such as portraits, topographical landscapes, narrative pictures, and poetic paintings (paintings based on poems). Jeong and Yi utilized these paintings to cement their friendship.
      The friendship represented in these paintings, however, should not be regarded as a true portrayal of their close relationship. Yi Byeongyeon was not only a friend but also a client as well as an agent (go-between or middleman) involved in art sales. Jeong Seon was a literati artist, who belonged to the aristocratic, ruling yangban class of Joseon society. When someone with no acquaintance to him desired to request a painting, Yi Byeongyeon served as the intermediary between artist and client. Yi also assisted Jeong Seon in selling his paintings to the Chinese whenever Korean emissaries went to China on diplomatic missions. Yi asked the emissaries to sell Jeong’s paintings on his and the painter’s behalf. Instead of money (cash payments), Jeong Seon seems to have accepted various gifts as payment for his art. Thus, he received goods such as fish, silk, candles, yellow-glazed porcelain wares from China, and so forth. In Joseon Korea, literati painters were generally not encouraged to sell their paintings for money. For this reason, exchanging gifts was a way for aristocratic artists to escape stigmatization related to the monetary sale of paintings. Additionally, when clients ordered paintings through Yi, they could obtain high quality works while avoiding to hurt the artist’s pride. In this way, the friendship of Jeong Seon and Yi Byeongyeon served as a means of using the output of their artistic activities in a commercial way. Many eminent collectors of the 18th century wished to own an album which combined Jeong Seon’s paintings with Yi Byeongyeon’s poetry. Jeong and Yi were artistic partners who mutually understood their artistic activities and inspired each other. At the same time, their friendship was mutually beneficial and accordingly came to be utilized commercially for their art busines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소옹, "황극경세서" 대원출판 2002

      2 유홍준, "화인열전 1 : 내 비록 환쟁이라 불릴지라도" 역사비평사 2001

      3 황정연, "푸른 산속 의리주인 심환지" 경기도박물관 148-157, 2018

      4 김가희, "처사(處士)를 위한 이미지: 정선의 <사문탈사도> 연구" 11 : 31-41, 2019

      5 송희경, "조선후기 邵雍故事圖의 유형과 표상" 석당학술원 (49) : 55-90, 2011

      6 조인희, "조선후기 詩意圖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3

      7 손계영, "조선시대 詩箋紙 사용과 시전문화의 확산" 한국고문서학회 38 : 187-209, 2011

      8 이종묵, "유엄의 춘생와와 겸재 정선의 그림" 72 : 13-21, 2015

      9 국립대구박물관, "우리 문화속의 中國 陶磁器" 국립대구박물관 2004

      10 김정희, "역사와 사상이 담긴 조선시대 인물화" 학고재 79-99, 2009

      1 소옹, "황극경세서" 대원출판 2002

      2 유홍준, "화인열전 1 : 내 비록 환쟁이라 불릴지라도" 역사비평사 2001

      3 황정연, "푸른 산속 의리주인 심환지" 경기도박물관 148-157, 2018

      4 김가희, "처사(處士)를 위한 이미지: 정선의 <사문탈사도> 연구" 11 : 31-41, 2019

      5 송희경, "조선후기 邵雍故事圖의 유형과 표상" 석당학술원 (49) : 55-90, 2011

      6 조인희, "조선후기 詩意圖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3

      7 손계영, "조선시대 詩箋紙 사용과 시전문화의 확산" 한국고문서학회 38 : 187-209, 2011

      8 이종묵, "유엄의 춘생와와 겸재 정선의 그림" 72 : 13-21, 2015

      9 국립대구박물관, "우리 문화속의 中國 陶磁器" 국립대구박물관 2004

      10 김정희, "역사와 사상이 담긴 조선시대 인물화" 학고재 79-99, 2009

      11 이은아, "어초문답도 연구: 간송미술관 소장 <어초문답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12 김형술, "사천 이병연의 시문학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13 장진성, "미술사의 정립과 확산" 사회평론 264-289, 2006

      14 한장석, "미산집 1" 한국고전번역원·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5

      15 조인수, "돌아온 문화재 총서 1: 왜관수도원으로 돌아온 겸재정선화첩" 국외소재문화재재단 162-193, 2013

      16 신돈복, "국역 학산한언 1" 보고사 2006

      17 최완수, "겸재(謙齋) 정선(鄭敾) 평전(評傳)" 76 : 105-179, 2009

      18 최완수, "겸재(謙齋) 정선(鄭敾) 3" 현암사 2009

      19 최완수, "겸재(謙齋) 정선(鄭敾) 2" 현암사 2009

      20 최완수, "겸재(謙齋) 정선(鄭敾) 1" 현암사 2009

      21 민길홍, "겸재 정선의 인물화: 기년작을 중심으로" 1 : 109-121, 2013

      22 송희경, "개화기 米芾故事圖 주제의 표현양상" 한국미술연구소 (39) : 61-85, 2014

      23 黃庭堅, "黃庭堅詩集注" 中華書局 2003

      24 김가희, "鄭敾의 漢陽眞景과 李春躋 家門" 한국미술사학회 279280 (279280): 119-143, 2013

      25 이경화, "鄭敾과 후원자: 安東 金門과 李秉淵을 중심으로"

      26 안휘준, "謙齋 鄭敾(1676 -1759)의 瀟湘八景圖" 한국미술연구소 (20) : 7-48, 2005

      27 조인희, "詩畫一體의 現化―鄭敾의 詩意圖 연구" 1 : 317-343, 2013

      28 趙榮錫, "觀我齋稿" 韓國古典飜譯院 2008

      29 朴師海, "蒼巖集"

      30 柳儼, "省庵雜稿"

      31 大林畫廊, "特別企劃 謙齋鄭敾展" 大林畫廊 1988

      32 최완수, "澗松文化 81"

      33 彭乘, "歷代史料筆記叢刊: 侯鯖錄, 墨客揮犀,續墨客揮犀" 中華書局 2002

      34 成均館大學校博物館, "槿墨 2" 成均館大學校博物館 2009

      35 李天輔, "晉菴集"

      36 정지인, "康熙年間 王原祁의 <西湖十景圖> 제작과 정치적 의미" 미술사연구회 (33) : 167-196, 2017

      37 오상욱, "尙古堂 金光遂의 古董書畵 趣味와 繼承에 대하여" 한국고전번역원 46 : 145-202, 2015

      38 諸橋轍次, "大漢和辭典 4" 大修館書店 1968

      39 韋應物, "中國歷代詩人選集: 孟浩然韋應物詩選" 三聯書店 1983

      40 성무경, "「漁樵問答」과 「漁樵問答圖」의 문화담론 고찰-歌曲 가집 『詩歌』의 文化圖像 탐색의 일환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3 (33): 181-202, 2004

      41 Pericolo, Lorenzo, "The Self-Aware Image: An Insight into Early Modern Metapainting" Harvey Miller Publishers 11-31, 2015

      42 Egan, Ronald, "The Problem of Beauty: Aesthetic Thought and Pursuits in Northern Song Dynasty China" Harvard University Press 2006

      43 Cahill, James., "The Painter’s Practice: How Artists Lived and Worked in Traditional China"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4

      44 Hung, Wu, "The Double Screen: Medium and Representation in Chinese Pain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6

      45 Zhang, Yunshuang, "Porous Privacy: The Literati Studio and Spatiality in Song China" University of California 2017

      46 Murck, Alfreda, "Poetry and Painting in Song China: The Subtle Art of Dissent"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for the Harvard-Yenching Institute 2000

      47 Mitchell, W. J. T., "Picture Theor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4

      48 Clunas, Craig., "Elegant Debts: The Social Art of Wen Zhengming, 1470-1559"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4

      49 Chang, Chin-Sung, "Diamond Mountains: Travel and Nostalgia in Korean Art"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92-115, 2018

      50 Clunas, Craig, "Chinese Painting and Its Audienc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7

      51 朴孝銀, "18세기 朝鮮 文人들의 繪畵蒐集活動과 畵壇" 234 : 139-185,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5 0.90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