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관심도 분석 - 의사소통능력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Analyzing about the Stage of Concern in Key Competency -focused on communication competen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282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stages of concern about communication competency as key competency in Korea National Competence Standards. So we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 about the degree of concern in communication competency of 111 university students in South Korea. As a result, the overall concern in communication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was similar to that of non-user patterns among four types of concern patterns. In other words, college students want to know more about communication competency, but they are only aware of the general facts. In addit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ncern in communication competency according to gender variable. But according to state of one’s path in life decision,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ncern is significant statistically exclusive of the stage of management. In summary, the decision to work for a college student has a big impact on getting interested in work-related competencies, especially communication competency.
      번역하기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stages of concern about communication competency as key competency in Korea National Competence Standards. So we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 about the degree of concern in communication competency of 111 university st...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stages of concern about communication competency as key competency in Korea National Competence Standards. So we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 about the degree of concern in communication competency of 111 university students in South Korea. As a result, the overall concern in communication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was similar to that of non-user patterns among four types of concern patterns. In other words, college students want to know more about communication competency, but they are only aware of the general facts. In addit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ncern in communication competency according to gender variable. But according to state of one’s path in life decision,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ncern is significant statistically exclusive of the stage of management. In summary, the decision to work for a college student has a big impact on getting interested in work-related competencies, especially communication competenc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대학생이 현재 직업기초능력으로서 의사소통능력에 대해 어느 정도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 111명을 대상으로 선행연구에서 개발한 SoCQ를 활용하여 NCS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관심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그 결과 대학생의 NCS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관심도 1단계(정보적)가 가장 높으며, 4단계(결과적)의 관심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대학생은 현재 NCS 의사소통능력에 대해 제한된 정보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성별에 대한 각 관심단계의 통계적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진로결정여부에 따른 차이는 3단계(운영적)를 제외하고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한편 이와 같은 결과는 진로에 대한 결정이 대학생의 NCS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대학생의 NCS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이들 스스로 진로 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이에 대한 관심도를 높일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대학생이 현재 직업기초능력으로서 의사소통능력에 대해 어느 정도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 111명을 대상으로 선행연구에서 ...

      이 연구는 대학생이 현재 직업기초능력으로서 의사소통능력에 대해 어느 정도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 111명을 대상으로 선행연구에서 개발한 SoCQ를 활용하여 NCS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관심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그 결과 대학생의 NCS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관심도 1단계(정보적)가 가장 높으며, 4단계(결과적)의 관심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대학생은 현재 NCS 의사소통능력에 대해 제한된 정보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성별에 대한 각 관심단계의 통계적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진로결정여부에 따른 차이는 3단계(운영적)를 제외하고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한편 이와 같은 결과는 진로에 대한 결정이 대학생의 NCS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대학생의 NCS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이들 스스로 진로 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이에 대한 관심도를 높일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상수, "현직유아특수교사와 예비유아특수교사의 로봇기반교육(R-learning) 관심도 비교연구: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6 (16): 129-149, 2016

      2 송병국, "학교교육에서의 직업기초능력 함양 방안" 순천향대학교 9 : 45-72, 2000

      3 정철영, "직업기초능력 강화방안" 교육부 2000

      4 이재형, "직업 문식성 신장을 위한 의사소통 방법 교육 연구 - 보건·의료분야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회 (98) : 369-392, 2016

      5 김선희, "전문대학의 실천적 직업교육개선을 위한 구성주의적 접근방법" 한국성인교육학회 3 (3): 2000

      6 김선희, "전문대학 재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증진을 위한 운영 방안 연구" 한국기업경영학회 19 (19): 57-77, 2012

      7 김정아, "전문대학 비서학 전공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자기인식정도가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비서학회 26 (26): 57-80, 2017

      8 강명희, "예비교사의 플립러닝에 대한 관심도 분석: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소 55 (55): 427-440, 2016

      9 이은화, "대학의 직업기초능력 교육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 차이: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30 (30): 51-67, 2011

      10 김민정, "국어교사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중요도 인식 및 요구도 조사 - 의사소통 능력을 중심으로 -" 청람어문교육학회 (62) : 121-150, 2017

      1 백상수, "현직유아특수교사와 예비유아특수교사의 로봇기반교육(R-learning) 관심도 비교연구: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6 (16): 129-149, 2016

      2 송병국, "학교교육에서의 직업기초능력 함양 방안" 순천향대학교 9 : 45-72, 2000

      3 정철영, "직업기초능력 강화방안" 교육부 2000

      4 이재형, "직업 문식성 신장을 위한 의사소통 방법 교육 연구 - 보건·의료분야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회 (98) : 369-392, 2016

      5 김선희, "전문대학의 실천적 직업교육개선을 위한 구성주의적 접근방법" 한국성인교육학회 3 (3): 2000

      6 김선희, "전문대학 재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증진을 위한 운영 방안 연구" 한국기업경영학회 19 (19): 57-77, 2012

      7 김정아, "전문대학 비서학 전공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자기인식정도가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비서학회 26 (26): 57-80, 2017

      8 강명희, "예비교사의 플립러닝에 대한 관심도 분석: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소 55 (55): 427-440, 2016

      9 이은화, "대학의 직업기초능력 교육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 차이: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30 (30): 51-67, 2011

      10 김민정, "국어교사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중요도 인식 및 요구도 조사 - 의사소통 능력을 중심으로 -" 청람어문교육학회 (62) : 121-150, 2017

      11 이종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직업기초능력이 직무수행능력에 대한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5 (5): 251-263, 2015

      12 박동열, "국가직무능력표준(NCS)를 활용한 역량 교육 추진 실태와 과제, THE HRD REVIEW 이슈분석" 52-71, 2013

      13 윤덕원,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직업기초능력 기반의 직군별 요구역량 : 국내 대기업 A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6 (16): 383-398, 2016

      14 양혜련,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기법을 활용한 S여대 비서과의 교육과정 개발" 한국여성교양학회지 22 : 62-95, 2013

      15 고용노동부,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매뉴얼"

      16 김경자, "교육과정 혁신: 관심에 기초한 교육과정 실행 모형(CBAM)" 교육과학사 1993

      17 양영근, "‌NCS 직업기초능력에 기반한 교양교과목 개편방향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45-68, 2014

      18 차정호, "e-러닝에 대한 예비유아특수교사의 관심도 분석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0 (10): 191-215, 2010

      19 "NCS국가직무능력표준"

      20 허영주, "NCS 직업기초능력의 교양교육과정 도입 전략 탐색" 한국교양교육학회 10 (10): 425-462, 2016

      21 나은미, "NCS 직업기초능력으로서 의사소통능력의 검토와 대학에서 의사소통교육의 방향" 한국작문학회 (28) : 93-122, 2016

      22 김주영, "NCS 의사소통능력 수행평가도구 개발" 안동대학교 2016

      23 Hall, G., "Measuring stages of concern about the innovation: A manual for use of the SoC Questionnaire" University of Texas,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Teacher Education, The University of Texas 1979

      24 George, A. A., "Measuring Implementation in Schools: The Stages of Concern Questionnaire"

      25 Hall, G. E., "Implementing change:Patterns, principles, and potholes" Pearson Education 2001

      26 Hall, G. E., "Implementing change: Patterns, principles, and potholes" Allyn and Bacon 2006

      27 Fullan, M., "Change Forces: Probing the Depths of Educational Reform" The Falmet Press 1993

      28 박은경, "4년제 대학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도입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에 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30 (30): 29-52,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10-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ln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17-05-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Associa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1.04 1.728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