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을철 동해 표층 수온과 태평양 순년 진동의 상관성 분석 = Correlation between the Pacific Decadal Oscillation and East/Japan Sea SST in the Autum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287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다양한 표층 수온 자료를 통해 1979년부터 2018년 기간 동안의 가을철 동해 공간 평균 표층 수온이 태평양 순년 진동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해역에서 제트류의 활동이 가장 강한 200 hPa에서의 바람과 동해 표층 수온의 회귀 분석 결과, 가을철 동해 표층 수온이 상승할 때 제트류의 중심축이 북상하면서 전반적으로 제트류가 약화하는 경향을 보이며, 동해 수온이 하강할 때는 제트류의 중심축이 남하하면서 제트류가 강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제트류의 강도 변화와 중심축의 남북 진동이 동해 표층 수온과 태평양 순년 진동의 커플링과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여름철의 약한 제트류와 겨울철 및 이른 봄철의 강한 동아시아 동계계절풍 효과는 동해와 태평양 순년 진동의 커플링이 가을철 외의 다른 계절에 잘 나타나지 않게 하는 이유로 생각해볼 수 있다.
      번역하기

      다양한 표층 수온 자료를 통해 1979년부터 2018년 기간 동안의 가을철 동해 공간 평균 표층 수온이 태평양 순년 진동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해역에서 제트류의 활동...

      다양한 표층 수온 자료를 통해 1979년부터 2018년 기간 동안의 가을철 동해 공간 평균 표층 수온이 태평양 순년 진동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해역에서 제트류의 활동이 가장 강한 200 hPa에서의 바람과 동해 표층 수온의 회귀 분석 결과, 가을철 동해 표층 수온이 상승할 때 제트류의 중심축이 북상하면서 전반적으로 제트류가 약화하는 경향을 보이며, 동해 수온이 하강할 때는 제트류의 중심축이 남하하면서 제트류가 강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제트류의 강도 변화와 중심축의 남북 진동이 동해 표층 수온과 태평양 순년 진동의 커플링과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여름철의 약한 제트류와 겨울철 및 이른 봄철의 강한 동아시아 동계계절풍 효과는 동해와 태평양 순년 진동의 커플링이 가을철 외의 다른 계절에 잘 나타나지 않게 하는 이유로 생각해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Mantua, N. J., "The Pacific Decadal Oscillation" 58 : 35-44, 2002

      2 Kalnay, E., "The NCEP/NCAR 40-year reanalysis project" 77 : 437-471, 1996

      3 Dee, D. P., "The ERA-Interim reanalysis : configuration and performance of the data assimilation system" 137 : 553-597, 2011

      4 Wallace, J. M., "Teleconnections in the Geopotential Height Field during the Northern Hemisphere Winter" 109 : 784-812, 1981

      5 Huang, G., "Simulation of the East Asian Subtropical Westerly Jet Stream with GFDL AGCM (AM2.1)" 4 : 24-29, 2011

      6 Zhang, L., "Responses of the East Asian jet stream to the North Pacific subtropical front in spring" 34 : 144-156, 2017

      7 Pak, G., "Regime-Dependent Nonstationary Relationship between the East Asian Winter Monsoon and North Pacific Oscillation" 27 : 8185-8204, 2014

      8 Park, Y. -H., "Recent Warming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in Relation to Rapid Changes in the Atmospheric Circulation of the Siberian High and Aleutian Low Systems" 25 : 3476-3493, 2012

      9 Yamamoto, M., "Possible modification of atmospheric circulation over the northwestern Pacific induced by a small semi-enclosed ocean" 38 : 2011

      10 Gordon, A. L., "Pacific decadal oscillation and sea level in the Japan/East sea" 51 : 653-663, 2004

      1 Mantua, N. J., "The Pacific Decadal Oscillation" 58 : 35-44, 2002

      2 Kalnay, E., "The NCEP/NCAR 40-year reanalysis project" 77 : 437-471, 1996

      3 Dee, D. P., "The ERA-Interim reanalysis : configuration and performance of the data assimilation system" 137 : 553-597, 2011

      4 Wallace, J. M., "Teleconnections in the Geopotential Height Field during the Northern Hemisphere Winter" 109 : 784-812, 1981

      5 Huang, G., "Simulation of the East Asian Subtropical Westerly Jet Stream with GFDL AGCM (AM2.1)" 4 : 24-29, 2011

      6 Zhang, L., "Responses of the East Asian jet stream to the North Pacific subtropical front in spring" 34 : 144-156, 2017

      7 Pak, G., "Regime-Dependent Nonstationary Relationship between the East Asian Winter Monsoon and North Pacific Oscillation" 27 : 8185-8204, 2014

      8 Park, Y. -H., "Recent Warming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in Relation to Rapid Changes in the Atmospheric Circulation of the Siberian High and Aleutian Low Systems" 25 : 3476-3493, 2012

      9 Yamamoto, M., "Possible modification of atmospheric circulation over the northwestern Pacific induced by a small semi-enclosed ocean" 38 : 2011

      10 Gordon, A. L., "Pacific decadal oscillation and sea level in the Japan/East sea" 51 : 653-663, 2004

      11 Seo, H., "On the effect of the East/Japan Sea SST variability on the North Pacific atmospheric circulation in a regional climate model" 119 : 418-444, 2014

      12 Hirose, N., "Observational evidence of a warm ocean current preceding a winter teleconnection pattern in the northwestern Pacific" 36 : L09705-, 2009

      13 Hirose, N., "Monitoring the Tsushima Warm Current Improves Seasonal Prediction of the Regional Snowfall" 2 : 61-63, 2006

      14 Rayner, N. A., "Global analyses of sea surface temperature, sea ice, and night marine air temperature since the late nineteenth century" 108 : 4407-, 2003

      15 Huang, B., "Extended Reconstructed Sea Surface Temperature, Version 5 (ERSSTv5): Upgrades, Validations, and Intercomparisons" 30 : 8179-8205, 2017

      16 Good, S. A., "EN4 : Quality controlled ocean temperature and salinity profiles and monthly objective analyses with uncertainty estimates" 118 : 6704-6716, 2013

      17 Reynolds, R. W., "An Improved In Situ and Satellite SST Analysis for Climate" 15 : 1609-1625, 2002

      18 Jo, H. -S., "A possible mechanism for the North Pacific regime shift in winter of 1998/1999" 40 : 4380-4385,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9-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 바다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9 0.933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