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득공의 역사 인식과 역사 서술의 특징을 살핀 것이다. 유득공이 실질적인 역사서로 자부한 『사군지』를 저술한 것에는 나름의 이유가 있었다. 그는 자국사를 계통적으로 파악...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661240
장병진 (동북아역사재단)
2023
Korean
Yu Deukgong(柳得恭) ; Sagunji(四郡志) ; Four Han Commandery Units(漢四郡) ; Hwa’ih-Guan(華夷觀) ; orthodoxy(正統) ; History description ; 유득공 ; 사군지 ; 한사군 ; 화이관 ; 정통 ; 역사 서술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189-214(2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득공의 역사 인식과 역사 서술의 특징을 살핀 것이다. 유득공이 실질적인 역사서로 자부한 『사군지』를 저술한 것에는 나름의 이유가 있었다. 그는 자국사를 계통적으로 파악...
본 연구는 유득공의 역사 인식과 역사 서술의 특징을 살핀 것이다. 유득공이 실질적인 역사서로 자부한 『사군지』를 저술한 것에는 나름의 이유가 있었다. 그는 자국사를 계통적으로 파악하는 데 있어서 한사군의 역사를 온전히 정리하는 것이 관건이 된다고 생각했다. 그는 기자의 영토와 제도를 고구려에 주목하고, 고구려를 직접 계승한 발해를 자국사에 포함시키기 위한 논리적 근거를 확보하기 위해 발해고를 저술했다. 다만 자국사의 북방적 흐름을 강조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발해를 자신사의 범주에서 파악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했다. 특히 기자에 대한 존숭이 강화되는 현실에서 ‘마한정통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이에 버금가는 새로운 논리를 제시할 필요가 있었다.
유득공은 주나라에 대한 기자의 수봉과 조주를 인정하고 있었다. 그는 한나라가 한사군을 설치한 것이 옛 삼대의 영토를 회복한 것이라고 이해했다. 그리고 중원에서 영가의 난 이후에 유교적 보편 문명이 단절된 반면, 한사군 지역은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으로 연결되어 문명이 지속되었다고 보았다. 이와 같은 과거 역사는 당시 명나라가 멸망하고, 청나라가 중원을 차지하면서 유일한 문명으로 조선이 남은 상황과 비슷하다고 이해했다. 유득공이 유교 문명의 계승을 중시하면서 자국 역사의 계통을 수립하려는 노력 속에서 한사군의 역사를 정리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였다. 유득공이 북방을 중심으로 자국사의 정통을 세우려는 논의에서 한사군 문제는 기자 못지않게 중요했다. 그가 역사책으로서 사군지를 저술했던 이유가 바로 거기에 있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종복, "해제 : 유득공과 수정본"발해고"""정본 발해고" 책과함께 2018
2 鄭昌烈, "한국실학사상연구 1-철학・역사학편-" 혜안 2006
3 鄭求福, "한국사 31-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국사편찬위원회 2002
4 허태용, "조선후기 중화론과 역사인식" 아카넷 2009
5 정옥자, "조선후기 조선중화사상 연구" 일지사 1998
6 이민홍, "유득공의 二十一都懷古詩" 국학자료원 2008
7 최영옥, "역주 이십일도회고시" 푸른역사 2009
8 한영우, "역사학의 역사" 지식산업사 2002
9 정진헌, "실학자 유득공의 고대사 인식" 신서원 1998
10 김윤조, "실학의 학풍을 꽃 피운 전문적 저술가 유득공" 민속원 2013
1 김종복, "해제 : 유득공과 수정본"발해고"""정본 발해고" 책과함께 2018
2 鄭昌烈, "한국실학사상연구 1-철학・역사학편-" 혜안 2006
3 鄭求福, "한국사 31-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국사편찬위원회 2002
4 허태용, "조선후기 중화론과 역사인식" 아카넷 2009
5 정옥자, "조선후기 조선중화사상 연구" 일지사 1998
6 이민홍, "유득공의 二十一都懷古詩" 국학자료원 2008
7 최영옥, "역주 이십일도회고시" 푸른역사 2009
8 한영우, "역사학의 역사" 지식산업사 2002
9 정진헌, "실학자 유득공의 고대사 인식" 신서원 1998
10 김윤조, "실학의 학풍을 꽃 피운 전문적 저술가 유득공" 민속원 2013
11 李佑成, "韓國의 歷史認識下" 創作과批評社 1976
12 宋基豪, "韓國史市民講座, 12" 一潮閣 1993
13 鄭寅普, "薝園鄭寅普全集2" 연세대학교 출판부 1983
14 "渤海考"
15 "海東繹史"
16 "泠齋集"
17 "東國歷代總目"
18 "東國地誌"
19 趙誠乙, "朝鮮後期史學史硏究" 한울 2004
20 韓永愚, "朝鮮後期史學史硏究" 一志社 1989
21 "星湖全集"
22 "四郡志"
23 "修山集"
13세기 고려의 전쟁과 도제(道制) 운영의 일단면 - 도 단위 ‘군정(軍政) 외관’의 활동을 중심으로 -
1930년대 중반 조선사업공채 발행과 교통망 구축의 불균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