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지리과 내용요소로서 '지명'의 의미 탐색과 교수-학습의 실제 = Search for Meaning and Practice of Teaching and Learning of 'Place name' in Geography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50037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지리적 문해력' 습득을 위한 내용구성 요소로서 지명의 의미와 지리 교육적 의의 및 실제를 제시하였다. 먼저 '지명'이라는 요소를 학습자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 기호적 표상체계와 환경인지의 결과물로서 살펴보았다. 특히 지역의 특성과 학습자 의사소통의 수단인 언어의 결합으로 생성된 기호표상으로서의 지명과, 지역의 환경과 그에 대한 인간의 사유와 경험이 융합된 '의미의 집합체'로서 지명은 학습자 일상생활에서 매우 익숙해져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판단을 토대로 기존 교육과정에서 나열되었던 지명의 단순 암기가 아닌 학습자 일상생활과 연결된 맥락에서 지명학습이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학습자들이 직접 생활하는 지역에 대해 지리적 문해력이라는 지리교과의 목표 달성의 내용요소로서 지명의 적합성을 제시한 것이다.
      전술한 논거를 토대로 지리과 내용구성 요소로서 지명의 의의를 살펴본 후, 지명을 내용 요소로 한 지리 교수-학습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지명을 활용한 지리 수업에는 지명의 상징성을 통한 장소성 학습과 지명의 언어적 구조를 통한 환경인지, 그리고 추상적 공간인지로서 지명의 이해 등의 유형이 있다. 이들은 지명에 대해 서로 다른 측면에서 접근한 관점이지만 서로 분절적이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융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명을 활용한 교수-학습안 역사 다양한 수업모형의 장점을 수업 상황에서 적절히 배합하여 구성하였다. 그리고 실제적 예시는 지형적으로 상이한 청송군과 창녕군을 비교지역으로 삼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지리적 문해력' 습득을 위한 내용구성 요소로서 지명의 의미와 지리 교육적 의의 및 실제를 제시하였다. 먼저 '지명'이라는 요소를 학습자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 ...

      본 연구에서는 '지리적 문해력' 습득을 위한 내용구성 요소로서 지명의 의미와 지리 교육적 의의 및 실제를 제시하였다. 먼저 '지명'이라는 요소를 학습자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 기호적 표상체계와 환경인지의 결과물로서 살펴보았다. 특히 지역의 특성과 학습자 의사소통의 수단인 언어의 결합으로 생성된 기호표상으로서의 지명과, 지역의 환경과 그에 대한 인간의 사유와 경험이 융합된 '의미의 집합체'로서 지명은 학습자 일상생활에서 매우 익숙해져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판단을 토대로 기존 교육과정에서 나열되었던 지명의 단순 암기가 아닌 학습자 일상생활과 연결된 맥락에서 지명학습이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학습자들이 직접 생활하는 지역에 대해 지리적 문해력이라는 지리교과의 목표 달성의 내용요소로서 지명의 적합성을 제시한 것이다.
      전술한 논거를 토대로 지리과 내용구성 요소로서 지명의 의의를 살펴본 후, 지명을 내용 요소로 한 지리 교수-학습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지명을 활용한 지리 수업에는 지명의 상징성을 통한 장소성 학습과 지명의 언어적 구조를 통한 환경인지, 그리고 추상적 공간인지로서 지명의 이해 등의 유형이 있다. 이들은 지명에 대해 서로 다른 측면에서 접근한 관점이지만 서로 분절적이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융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명을 활용한 교수-학습안 역사 다양한 수업모형의 장점을 수업 상황에서 적절히 배합하여 구성하였다. 그리고 실제적 예시는 지형적으로 상이한 청송군과 창녕군을 비교지역으로 삼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present educational meaning and practice of place for improving the geographical literacy in geography education. Place name is classified into two dimension, semiotic representational system and out of environmental cognition. Especially, I took it granted that student was accustomed with place-name as symbolic presentation which is made up of combination between region's characteristic and student's communicational language and as node of meaning which is mixture of region's environments and men's thinking and experience. On the basis of this judgement, I found that place-name class that is linked with lerner's everyday life is available without mere memorizing listed place-name. Place-name is great elements to improve learner's geographical literacy to their living place and proper for making goal of geography subject matter, in case of Chung song Gun, Changnyeong Gun and their neighbor region.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present educational meaning and practice of place for improving the geographical literacy in geography education. Place name is classified into two dimension, semiotic representational system and out of environmental cognition. Especi...

      This study is to present educational meaning and practice of place for improving the geographical literacy in geography education. Place name is classified into two dimension, semiotic representational system and out of environmental cognition. Especially, I took it granted that student was accustomed with place-name as symbolic presentation which is made up of combination between region's characteristic and student's communicational language and as node of meaning which is mixture of region's environments and men's thinking and experience. On the basis of this judgement, I found that place-name class that is linked with lerner's everyday life is available without mere memorizing listed place-name. Place-name is great elements to improve learner's geographical literacy to their living place and proper for making goal of geography subject matter, in case of Chung song Gun, Changnyeong Gun and their neighbor reg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내용요약
      • Ⅰ. 머리말
      • Ⅱ. 지명의 의미탐색과 지리교육적 의의
      • Ⅲ. 내용요소로서 지명을 활용한 지리 교수-학습안의 실제
      • Ⅴ. 맺음말
      • 내용요약
      • Ⅰ. 머리말
      • Ⅱ. 지명의 의미탐색과 지리교육적 의의
      • Ⅲ. 내용요소로서 지명을 활용한 지리 교수-학습안의 실제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인의 환경지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2

      2 "한국 학생의 장소의 위계적 포섭관계에 대한 이해의 발달단계" 22 : 281-289, 1996

      3 "평야지역과 산지지역 촌락지명의 비교연구-창녕군과 청송군의 경우-"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4 "지역학습 내용구성의 대안적 논리 구상" 9 (9): 223-244, 2002b

      5 "지리교육의 탐구" 교육과학사 1999

      6 "지리교육에서 지명학습의 의의와 도입 방안" (6) : 79-94, 2004

      7 "지리교과 교수요소간 유기적 정합성-내용특성과 학습스타일, 스캐폴딩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8 "지리 교육 과정의 내용 구성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3

      9 "중학생의 공간 이해와 지도 읽기 능력 분석" 1-17, 1991

      10 "제7차 교육과정과 수행평가 대비-현대의 사회과교육" 학문사 2000

      1 "한국인의 환경지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2

      2 "한국 학생의 장소의 위계적 포섭관계에 대한 이해의 발달단계" 22 : 281-289, 1996

      3 "평야지역과 산지지역 촌락지명의 비교연구-창녕군과 청송군의 경우-"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4 "지역학습 내용구성의 대안적 논리 구상" 9 (9): 223-244, 2002b

      5 "지리교육의 탐구" 교육과학사 1999

      6 "지리교육에서 지명학습의 의의와 도입 방안" (6) : 79-94, 2004

      7 "지리교과 교수요소간 유기적 정합성-내용특성과 학습스타일, 스캐폴딩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8 "지리 교육 과정의 내용 구성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3

      9 "중학생의 공간 이해와 지도 읽기 능력 분석" 1-17, 1991

      10 "제7차 교육과정과 수행평가 대비-현대의 사회과교육" 학문사 2000

      11 "자연환경에서 인식된 촌락명의 연구" 9 : 1-12, 1998

      12 "영남지방 지명에 관한 연구-창녕군, 봉화군, 남해군의 경우-" 5 (5): 1-24, 1999

      13 "아동의 그림을 통해 본 공간인지와 조작능력" 6 (6): 83-99, 2000

      14 "아동의 공간 인지 능력의 발달에 관한 연구" 67-83, 1988

      15 "사회과에서 지역학습 내용구성의 실제에 관한 연구-연산지방을 사례로 한 내용구성의 scope와 sequence-" 37 (37): 177-190, 2002a

      16 "사회과 교육에서의 지리적 관점의 의의" (20) : 124-137, 1987

      17 "브루너 탐구학습의 비판적 재검토"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5

      18 "발생적 인식론과 교육" 교육과학사 1991

      19 "마을의 지명과 자연환경특성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1996

      20 "땅이름, 국토사랑" 집문당 1997

      21 "구조주의의 사유체계와 사상" 1999

      22 "교육연구와 현상학적 접근" 문음사 1995

      23 "고지명 『두모』연구" 36 : 116-125, 1996

      24 "경기도 서해안 ‘고지’系 지명고 기전향토문화연구회" 1987

      25 "가락의 거북신 상징" 한국지명학회 203-233, 1999

      26 "an introduction to human geograpy" 1972

      27 "The Power of Place" Unwin Hyman 1989

      28 "Sense of Place and Identity" 1995

      29 "Place or Space?" Routledge 1998

      30 "Langage de signes, 기호의 언어-정교한 상징의 세계" 시공사 1999

      31 "Geography in Education 교학연구사" 19801984

      32 "Chapter one Place Identity, in Hyperidentities: Relocating Place Identity in Narrative and Cyberspace," 1998

      33 "1970年代以降のわか國における地理敎育硏究の一潮流" 地理學評論 : 1988

      34 "'경관’과 ‘기호’ 표상을 활용한 지역 학습-수도권을 사례로-" 34 (34): 85-98,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21 1.269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