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산업에서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의 완성도가 높아짐에 따라 완전 자율주행 환경에 맞춘 정보 제공 방식의 제안이 필요하다. 부분 자율주행 상황에서의 정보 제공 방식은 제안된 바 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522576
서울 :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20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UX 전공 , 2020.2
2020
한국어
서울
A study on th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in autonomous driving environment : driving simulation experiment of how and why information
iv, 43장 : 삽화 ; 26 cm
지도교수: 최준호
I804:11046-00000052341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다양한 산업에서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의 완성도가 높아짐에 따라 완전 자율주행 환경에 맞춘 정보 제공 방식의 제안이 필요하다. 부분 자율주행 상황에서의 정보 제공 방식은 제안된 바 있...
다양한 산업에서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의 완성도가 높아짐에 따라 완전 자율주행 환경에 맞춘 정보 제공 방식의 제안이 필요하다. 부분 자율주행 상황에서의 정보 제공 방식은 제안된 바 있으나 부분 자율주행 환경과 완전 자율주행 환경에서의 운전자 경험은 상이하다는 다수의 연구 결과가 있다. 본 연구는 부분 자율주행 환경 연구에서 제안되었던 정보 제공 방식 중 완전 자율주행 환경에서 사용자 안전감을 가장 높일 수 있는 방식이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한다.
정보 제공의 방식을 How 정보와 Why 정보로 구분하고, 인지된 안전감과 불안, 사용의도라는 사용자 경험 요인을 측정하였다. 부분 자율주행 환경에서의 선행연구에서는 Why 정보가 운전자 선호도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본 연구에서는 완전 자율주행 환경에서 How 정보가 인지된 안전감과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사용자 불안에 대하여 정보 제공 방식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실험을 통해 완전 자율주행 환경에 적합한 How 정보 형태를 도출하였다. 실험 처치물 제작과정에서 실제 주행 영상을 활용한 자율주행 시뮬레이터 실험 방법을 새롭게 적용하였으며, 실무에 쓰일 수 있는 인터랙션 설계 방안을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autonomous vehicle technology is becoming more mature in various industries, it is necessary to propose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tailored to a fully autonomous driving environment. Although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in a partial au...
As autonomous vehicle technology is becoming more mature in various
industries, it is necessary to propose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tailored to a fully autonomous driving environment.
Although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in a partial autonomous
driving situation has been proposed, a number of studies have shown
that the driver experience in a partial autonomous driving environment
and a full autonomous driving environment has different re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o increase driver safety in
the fully autonomous driving environment.
The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was divided into How information
and Why information, and user factors such as perceived safety,
anxiety, and intention to use were measured. In previous studies in
partial autonomous driving environment, it was confirmed that Why
information had the most positive effect on driver preference.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confirmed that How information positively
affects perceived safety and intention to use in a fully autonomous
driving environment. Meanwhile, user anxiety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Through research experiments, How information type suitable for the
fully autonomous driving environment was derived.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experimental objects, a new experimental method of
autonomous driving simulator using real driving video was applied. Also
this study proposed an interaction design method that can be used in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