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에서는 역량 및 역량 교육의 개념을 명료히 하고 역량 교육의 방향을 정교화하도록 한다. 2장에서는 오늘날의 문화예술 현상을 이해하여 보고 문화예술 역량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논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18683
2017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장에서는 역량 및 역량 교육의 개념을 명료히 하고 역량 교육의 방향을 정교화하도록 한다. 2장에서는 오늘날의 문화예술 현상을 이해하여 보고 문화예술 역량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논의...
1장에서는 역량 및 역량 교육의 개념을 명료히 하고 역량 교육의 방향을 정교화하도록 한다.
2장에서는 오늘날의 문화예술 현상을 이해하여 보고 문화예술 역량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논의한다.
3장에서는 교육과정 총론에서의 공통의 핵심역량과 미술교과 교과 역량을 문화예술과 연관시켜 논의를 해보도록 한다. 미적 감수성, 창의·융합 능력, 시각적 소통 능력, 미술 문화 이해 능력,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등의 핵심 역량을 논의하여 역량의 구성 요소에 대한 개념을 명료히 하며 교육의 방향, 교육 내용 및 교수 방법, 유의점 등 수업 가능성 측면에서 살펴보도록 한다
4장에서는 미술문화(시각예술)은 핵심 역량과 어떠한 연관이 있고 어떻게 구현 적용시켜야 하는지 역량 중심으로 논의해보고 실제 수업에서 구현 방식을 보여주도록 내용을 저술할 것이다. 이 때 문화 이해 역량 형성에 중요한 내용을 선별하여 구체적으로 논의하도록 한다.
5장에서는 시각문화를 구성하는 영역(혹은 분야, 장르)별로 학문적인 심화와 더불어 구체적인 수업 구현의 사례를 보여주며 저술할 것이다.
6장에서는 수업 비평을 역량 중심 교육과정 구현에 적용하여 수업의 방향을 모색하는 심화된 논의를 할 것이다.
예상하는 저술 목차는 아래와 같다. 적절한 예시로 미술작품과 시각이미지, 작가 이야기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이론이 추상적이지 않고 구체적인 이해가 되도록 안내한다. 또한 이 내용에 기초하여 21세기 교육에서 학생들이 길러야 할 핵심 역량 교육 프로그램을 초·중등 학생 대상으로 설계하여 제시한다.
1장. 역량 및 역량 교육
1. 역량의 개념
2. 역량 교육의 방향
2장. 문화예술 현상 및 문화예술 역량
1. 시각예술 현상
2. 시각문화와 우리의 삶
3. 문화예술적 역량의 구성 요소
3장. 문화예술과 핵심 역량
1. 미적 감수성: 감성, 감수성, 지각 능력 / 미적 경험 / 시각적 사고 / 감수성과 창의성 / 미적 감수성과 도덕적 감수성(인성교육)
2. 시각적 소통 능력: 이미지 해석 능력(비주얼 리터러시, 미디어 리터러시) / 이미지 제작 능력
3. 창의·융합 능력: 융합 능력과 창의적 사고 / 창의적인 발상법 / 인문학적 사고와 상상력 / 문화 융합 능력
4. 미술 문화 이해 능력: 문화적 감수성 / 문화예술 비평과 비평 능력 / 즐기며 배우는 미술관
5.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문화예술 창조자들의 작업세계 들여다보기 / 문화예술을 통한 자기 성찰 및 계발하기 / 다른 사람과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며 문제해결하기
4장. 시각 예술로 핵심 역량 교육하기, 이론과 실제
1. 미술문화로 미적 감수성 교육하기
2. 미술문화와 인문학적 사고 및 창의적 사고 교육하기
3. 문화예술 비평과 비평 능력 교육하기
4. 미술관 교육으로 핵심 역량 교육하기
5. 시각 예술로 인성교육하기
5장. 시각 문화로 핵심 역량 교육하기, 이론과 실제
1. 시각 문화의 시각적 즐거움과 미적 감수성
2. 시각 문화 이미지의 의미 전달 방식으로 소통하기
3. 대중문화에 새겨진 의미와 비판적 해석
4. 영상 매체로 시각적 소통하기
5. 대중문화와 시각예술의 학습의 전이
6장. 역량 중심 수업 비평
1. 수업 비평
2, 역량 중심 관점에서 본 수업 비평의 실제